제1장 「가락국기」: 신화인가 역사인가 1. 이 땅 최초의 김씨와 허씨 2. 신화가 아니라 역사이다
제2장 김씨는 어디에서 왔을까 1. 이 세상 최초의 김씨 문무왕 비문의 이해 2. 「곽광김일제전」의 이해 투후 김일제, 도성후 김안상, 평은후 허광한 김일제, 김윤의 후손들 3. 왕망의 신나라와 김씨들의 향방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다 유수가 민란에 가담하다 왕망의 신나라 패망 외효의 빈객 김단지속 배신자 두융과 배김문(排金門) 공손술의 패망 만족의 저항 전쟁 2000년의 비밀 ‘金湯失險(김탕실험)’ 김수로왕의 할아버지 金湯(김탕)
제3장 허씨는 어디에서 왔을까_123 1. 아유타국은 어디인가 보주태후 허씨 기원전 180년대에 아요디아를 떠났다 파사석탑이 말할 것이다 2. 신나라 멸망과 후한의 천하 통일 물고기 두 마리
제4장 「가락국기」 읽기의 반성 1. 구旨봉이 아니라 구首봉이다 「가락국기」는 「화랑세기」를 보고 적었다 김수로의 출현 탈해와의 가락국 왕위 쟁탈전 2. 허황옥의 신행길 답사 지금의 유주암은 維舟岩이 아니다 망산도와 욕망산 가볍고 작은 배와 주포 상륙 배필을 만난 배필정고개와 결혼기념일 그들의 이상한 나이 인천 이씨의 유래 김수로왕이 문무왕의 15대조일 리가 없다 명(銘)이 잘못 되고 잘못 읽혔다 3. 금관가야 왕실 약사 「가락국기」의 거짓말들 「화랑세기」가 문제의 근원이다 필사본 「화랑세기」는 창작이 아니다
제5장 김수로왕 출생의 비밀 1. 수로왕은 도대체 몇 살에 혼인하였을까 2. 출현과 출생이 같은가 3. 아이를 비단에 싸서 땅속에 숨겼다
제6장 신라 왕실 박씨, 석씨, 김씨 1. 신라 왕위 계승 원리 2. 혁거세 출현과 박씨 왕들의 왕비 성 석탈해가 왕이 된 까닭 김알지 이전에도 서라벌에 김허루가 있었다 3. 탈해임금 출생의 비밀과 석씨 왕들의 왕비 김미추가 왕이 된 까닭 미추임금의 아버지 구도갈몬왕 4. 김알지의 출현 유물과 언어로 본 가야와 신라
제7장 문무왕의 15대조 성한왕 1. 문무왕의 15대조 김수로왕은 문무왕의 외가 15대조가 아니다 문무왕의 15대조 성한왕은 미추임금이다 김씨는 혼인계로 신라 왕이 되었다 내물임금은 미추임금의 사위가 아니다 2. 신라 김씨 왕실의 특급 비밀 미추-내물 사이에 3대가 실전되었다 신라와 흉노의 혼습 미추임금에서 문무왕까지 너와 나의 핏속에 흐르는 기마 유목의 인자
제8장 논의의 요약
*참고문헌 *찾아보기 *연표 찾아보기 *관여 가계도(家系圖) *발문(跋文)
이용현황보기
『삼국유사』 다시 읽기. 2, 「가락국기」: 너와 나의 뿌리를 찾아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55329
951.3 -22-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55330
951.3 -22-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83804
951.3 -22-5
v.2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이 책은 한반도의 동남쪽에 터 잡은 김씨를 통하여 너와 나의 뿌리를 찾아가는 미로로 우리를 안내합니다. 신라 왕실 김씨와 가락 왕실 김씨, 허씨는 어디에서 왔을까? 이 책은 이들의 유래와 한반도 이주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저자는, 이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어지는 책에서 이 두 집안 사이의 동맹과 배신에 의한 애증 관계를 통하여 통일 신라의 멸망을 설명하는 근본 원인을 찾으려고 한다. 책은 크게 두 가지 주제로 되어 있습니다. 그 내용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주제는 신라 왕실과 가락 왕실의 김씨가 흉노제국 번왕 휴저왕의 후예들이라는 것입니다. 휴저왕의 두 왕자가 BC 120년에 한 무제가 보낸 곽거병에게 포로가 되어 장안에 왔습니다. 이 왕자에게 무제는 김씨 성을 하사하였습니다. 큰아들 김일제의 8대가 신라 김알지이고 둘째 아들 김윤의 7대가 가락국 김수로입니다. 수로왕이 김알지의 15촌 아저씨입니다. 김알지의 7대 미추왕이 신라 13대 왕이 되었습니다. 미추왕의 사위(?) 17대 내물왕부터 김씨가 신라 왕위를 독점합니다. 둘째 주제는 수로왕비 허 왕후가 인도에서 온 것이 아니라 사천성에서 왔다는 것입니다. 아유타국은 원래 인도 바라나시 서북쪽에 있었습니다. 아유타국 왕족 허씨들은 불교 국가 마우리아 왕조가 브라만교 국가 슝가제국에 망한 뒤 종교적 탄압을 피하여 BC 180년 경에 사천성 보주(지금의 안악현)으로 이주하였습니다. 김씨는 전한 시대에 제후가 되었고 허씨는 한 선제의 황후를 배출하였습니다. 김씨는 투후(신라 김씨 왕실), 도성후(가락 왕실)이고, 허씨는 평은후입니다. 전한과 후한 사이, 왕망의 신나라 때 왕망의 이모집인 김씨가 후한 광무제와의 전쟁에서 지고 사천성으로 패주합니다. AD 36년 사천성 성도에 있던 공손술의 성가왕국이 후한에 패망하고 김씨들은 남쪽으로 도망갔습니다. 그곳에서 김씨와 허씨 어른들이 4-5세의 자녀가 자라면 혼인시키기로 약속하였습니다. 만족 허씨들은 40년대에 후한과 치열한 전쟁을 벌입니다. AD 42년 3월 초에 김수로가 김해의 구지봉에 나타났습니다. 그는 보름 만에 왕이 되었습니다. AD 48년 7월 27일 저녁 허황옥이 탄 배가 진해 용원동의 망산도에 닿았습니다. 10여 년 전 사천성 보주에서 조부모, 부모들이 맺은 혼인 약속이 48년 7월 28일 김해 지사리의 배필정고개 아래 천막 궁전에서 실현되었습니다. AD 49년에 맏아들 거등왕이 출생하였습니다. 그가 가락국 왕위와 김씨 성을 이었습니다. 두 아들이 허씨 성을 이었습니다. 나머지 일곱 아들은 성불하였다고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