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제출문 2

목차 3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2

3. 연구의 방법 13

4.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7

II. 지식재산 교육과정 현황 조사 18

1. 대학(원)의 IP 교육과정 현황 조사 결과 18

가. 대학(원)의 IP 교육과정 현황 조사 대상 18

나. 대학(원)별 IP 교육과정 현황 조사 결과 25

2. 대학(원) 외 기관의 IP 교육과정 현황 조사 결과 62

3. IP 교육과정 현황에 대한 시사점 71

4. 국외 IP 전문인력 양성 대학(원) 및 기관의 IP 교육과정 현황 조사 결과 74

가. 국외 대학(원) 및 기관의 IP 교육과정 현황 조사 결과 74

나. 국외 대학(원)별 IP 교육과정 현황 조사 결과 74

다. 해외 유수 대학의 지식재산 교육 우수사례 85

라. 국외 IP 전문인력 양성 대학(원) 및 기관의 IP 교육과정 현황에 대한 시사점 92

III. 지식재산 전문분야별 필요 역량과 교과목 도출 93

1. 지식재산 전문분야별 필요 역량 도출 결과 93

가. 지식재산 역량에 대한 선행 문헌 93

나. 지식재산 전문분야별 필요 역량 도출 결과 102

2. 지식재산 전문분야별 교과목 도출 결과 108

3. 지식재산 전문분야별 교과목과 역량 매칭 결과 120

4. 지식재산 전문분야별 필요 역량과 교과목 도출에 대한 시사점 125

IV. 지식재산 전문분야별 IP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 127

1. IP융합전공 전공기초 과정 127

가. 교육과정 설계 127

나. 강의계획 127

2. IP금융분야 전공심화 과정 142

가. 교육과정 설계 142

나. 강의계획 143

3. IP빅데이터분야 전공심화 과정 159

가. 교육과정 설계 159

나. 강의계획 160

4. IP가치평가분야 전공심화 과정 181

가. 교육과정 설계 181

나. 강의계획 182

V. 지식재산 전문분야의 IP융합과정에 대한 제언 204

1. 지식재산과 전문분야별 IP융합과정의 이수체계도 수립 / 일반화 204

2. 지식재산교육 디지털콘텐츠 플랫폼 구축 206

3. 지식재산 핵심역량 설정 및 역량별 교육과정 구성, 콘텐츠 제작 207

4. 지식재산학과(학과)를 선발하는 입시 대학에 대한 초기정착 지원 208

5. IP중점대학사업의 개방형 혁신체계(Open Innovation System) 구축 209

참고문헌 210

판권기 212

[뒷표지] 213

표목차 4

〈표 I-1〉 전문가 FGI 개요 14

〈표 I-2〉 CWS와 전문가 FGI 참여자 명단 15

〈표 I-3〉 지식재산 교과목 교육과정 틀(frame) 15

〈표 I-4〉 지식재산 교과목 강의계획서 틀(frame) 16

〈표 II-1〉 IP 교육과정 현황조사 대상 선정 기준과 학교 수 18

〈표 II-2〉 조사대상 대학 지역별 분류표(2020년 기준) 20

〈표 II-3〉 ○○○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조사 분석틀 22

〈표 II-4〉 대학(원) IP 교육과정 현황에 따른 IP 전문분야 분류체계 22

〈표 II-5〉 가톨릭관동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25

〈표 II-6〉 한라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26

〈표 II-7〉 한림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26

〈표 II-8〉 단국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27

〈표 II-9〉 단국대학교 MIP IP 교육과정 현황 27

〈표 II-10〉 대진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30

〈표 II-11〉 안양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31

〈표 II-12〉 경상국립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31

〈표 II-13〉 금오공과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32

〈표 II-14〉 안동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33

〈표 II-15〉 영남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34

〈표 II-16〉 전남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34

〈표 II-17〉 충남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35

〈표 II-18〉 한국과학기술원 IP 교육과정 현황 36

〈표 II-19〉 한국과학기술대학교 MIP IP 교육과정 현황 36

〈표 II-20〉 한밭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39

〈표 II-21〉 경성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39

〈표 II-22〉 동명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0

〈표 II-23〉 동서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0

〈표 II-24〉 동의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1

〈표 II-25〉 부경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2

〈표 II-26〉 신라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2

〈표 II-27〉 고려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학부) 43

〈표 II-28〉 고려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기술경영전문대학원(MOT) 지식재산전략학과) 43

〈표 II-29〉 동국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6

〈표 II-30〉 동국대학교 MIP IP 교육과정 현황 46

〈표 II-3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7

〈표 II-32〉 성균관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8

〈표 II-33〉 숭실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8

〈표 II-34〉 연세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9

〈표 II-35〉 한성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49

〈표 II-36〉 홍익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50

〈표 II-37〉 홍익대학교 MIP IP 교육과정 현황(박사과정-법과대학 지식재산학과) 51

〈표 II-38〉 제주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54

〈표 II-39〉 청주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55

〈표 II-40〉 충북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56

〈표 II-41〉 경기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56

〈표 II-42〉 목원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58

〈표 II-43〉 상명대학교 IP 교육과정 현황 59

〈표 II-44〉 대학(원)의 IP 교육과정 현황 집계 60

〈표 II-45〉 특허청 국제지식재산연수원(IIPTI) IP 교육과정 현황 62

〈표 II-46〉 한국발명진흥회 IP 교육과정 현황 63

〈표 II-47〉 한국특허전략개발원 IP 교육과정 현황 65

〈표 II-48〉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특허 빅데이터 전문가 교육과정 65

〈표 II-49〉 2021년 특허 빅데이터 전문가 교육 과정(충청권) 사례 66

〈표 II-50〉 대한변리사회 IP 교육과정 현황 67

〈표 II-5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IP 교육과정 현황 68

〈표 II-52〉 WIPS IP 교육센터 IP 교육과정 현황 69

〈표 II-53〉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특허지원센터 IP 교육과정 현황 70

〈표 II-54〉 한국금융연수원 IP 교육과정 현황(기업금융 분야) 70

〈표 II-55〉 한국금융연수원 IP금융 교육과정 71

〈표 II-56〉 3개 IP전문분야의 교육과정 현황과 운영 대학 72

〈표 II-57〉 국외 IP 교육과정 현황조사 대상 74

〈표 II-58〉 UNH 프랭클린 피어스 로스쿨 IP 교육과정 현황 75

〈표 II-59〉 조지워싱턴대학교 로스쿨 IP 교육과정 현황 76

〈표 II-60〉 뮌헨 지적재산권 법률 센터 IP 교육과정 현황 77

〈표 II-61〉 퀸메리 대학 IP 교육과정 현황 82

〈표 II-62〉 일본 오사카공업대학 IP 교육과정 현황 83

〈표 II-63〉 중국 지난대학 IP 교육과정 현황 84

〈표 II-64〉 MIT 'Managing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혁신 관리 프로세스 90

〈표 II-65〉 스탠포드 공과대학의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온라인 프로그램 90

〈표 III-1〉 지식재산 분야와 기초 역량 95

〈표 III-2〉 NCS 지식재산관리 분야의 능력단위(요소) 96

〈표 III-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IP 전문분야별 전문인력 필요 역량 101

〈표 III-4〉 NCS 빅데이터 분석 분야의 능력단위(요소) 103

〈표 III-5〉 IP금융, IP빅데이터, IP가치평가 분야의 필요 역량 문헌 고찰 결과(수정 전) 104

〈표 III-6〉 CWS 참석 전문가 105

〈표 III-7〉 IP금융, IP빅데이터, IP가치평가 분야의 필요 역량 1차 수정 결과 105

〈표 III-8〉 IP금융, IP빅데이터, IP가치평가 분야의 필요 역량 2차 수정 결과 107

〈표 III-9〉 IP금융 교과목의 1차 수정 결과 108

〈표 III-10〉 IP금융 전공기초과목 이수체계 109

〈표 III-11〉 IP금융 교과목의 2차 수정 결과와 대학(원) 교육과정 111

〈표 III-12〉 IP빅데이터 교과목의 1차 수정 결과 112

〈표 III-13〉 IP빅데이터 전공기초과목 이수체계 113

〈표 III-14〉 IP빅데이터 교과목의 2차 수정 결과와 대학(원) 교육과정 114

〈표 III-15〉 IP가치평가 교과목의 1차 수정 결과 116

〈표 III-16〉 IP가치평가 전공기초과목 이수체계 117

〈표 III-17〉 IP가치평가 교과목의 2차 수정 결과와 대학(원) 교육과정 118

〈표 III-18〉 IP경영 교과목 도출 결과 119

〈표 III-19〉 IP 전문분야의 IP 역량(IP 기초 공통 역량, IP 융합 전공 역량) 121

〈표 III-20〉 IP금융 교과목과 역량의 매칭 결과 122

〈표 III-21〉 IP빅데이터 교과목과 역량의 매칭 결과 123

〈표 III-22〉 IP가치평가 교과목과 역량의 매칭 결과 124

〈표 IV-1〉 전공기초과목 교육과정 설계 127

〈표 IV-2〉 "과학기술과 지식재산" 강의 계획(syllabus) 128

〈표 IV-3〉 "지식재산 관련 법·제도의 이해" 강의 계획(syllabus) 130

〈표 IV-4〉 "지식재산정보조사분석" 강의 계획(syllabus) 132

〈표 IV-5〉 "지식재산침해·분쟁" 강의 계획(syllabus) 134

〈표 IV-6〉 "기술경영개론" 강의 계획(syllabus) 137

〈표 IV-7〉 "지식재산과 창업" 강의 계획(syllabus) 138

〈표 IV-8〉 "지식재산회계세무" 강의 계획(syllabus) 140

〈표 IV-9〉 IP금융 전공심화과목 교육과정 설계 142

〈표 IV-10〉 "IP가치평가" 강의 계획(syllabus) 143

〈표 IV-11〉 "지재권 회수전략" 강의 계획(syllabus) 145

〈표 IV-12〉 "창업과 IP금융" 강의 계획(syllabus) 147

〈표 IV-13〉 "IP 금융기법과 제도" 강의 계획(syllabus) 149

〈표 IV-14〉 "IP금융 이해" 강의 계획(syllabus) 150

〈표 IV-15〉 "종합 설계(캡스톤 디자인)" 강의 계획(syllabus) 152

〈표 IV-16〉 "기업가치평가" 강의 계획(syllabus) 154

〈표 IV-17〉 "지식재산재무분석론" 강의 계획(syllabus) 156

〈표 IV-18〉 IP빅데이터 전공심화 교육과정 설계 159

〈표 IV-19〉 "특허명세서 일반" 강의 계획(syllabus) 160

〈표 IV-20〉 "IP 데이터 시각화" 강의 계획(syllabus) 162

〈표 IV-21〉 "R-프로그래밍 분석" 강의 계획(syllabus) 163

〈표 IV-22〉 "R-프로그래밍 이해" 강의 계획(syllabus) 165

〈표 IV-23〉 "기술분야별 특허조사" 강의 계획(syllabus) 167

〈표 IV-24〉 "특허 랜드스케이프 분석" 강의 계획(syllabus) 169

〈표 IV-25〉 "특허맵의 이해" 강의 계획(syllabus) 171

〈표 IV-26〉 "특허분류의 이해" 강의 계획(syllabus) 173

〈표 IV-27〉 "특허지수분석" 강의 계획(syllabus) 175

〈표 IV-28〉 "특허 DB의 이해" 강의 계획(syllabus) 177

〈표 IV-29〉 "종합 설계(캡스톤 디자인)" 강의 계획(syllabus) 179

〈표 IV-30〉 IP가치평가분야 전공심화 교육과정 설계 181

〈표 IV-31〉 "지식재산 재무분석개론" 강의 계획(syllabus) 182

〈표 IV-32〉 "특허권리분석" 강의 계획(syllabus) 184

〈표 IV-33〉 "특허명세서 이해(작성)" 강의 계획(syllabus) 187

〈표 IV-34〉 "지식재산분석 방법론" 강의 계획(syllabus) 189

〈표 IV-35〉 "가치평가실무" 강의 계획(syllabus) 191

〈표 IV-36〉 "기술가치평가개론" 강의 계획(syllabus) 193

〈표 IV-37〉 "기술이전과 사업화" 강의 계획(syllabus) 195

〈표 IV-38〉 "IP R&D 컨설팅" 강의 계획(syllabus) 197

〈표 IV-39〉 "기술경영과 혁신" 강의 계획(syllabus) 199

〈표 IV-40〉 "기술시장조사와 분석" 강의 계획(syllabus) 201

〈표 IV-41〉 "종합 설계(캡스톤 디자인)" 강의 계획(syllabus) 202

〈표 V-1〉 해외 대학의 개방형 혁신체계 사례 209

그림목차 8

〈그림 I-1〉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 사례 10

〈그림 I-2〉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의 인재유형 사례 10

〈그림 I-3〉 연구의 절차 및 방법 13

〈그림 II-1〉 Patents, Design Rights, and Standards 86

〈그림 II-2〉 'Sloan School of Management Entrepreneur Course' 교육과정 88

〈그림 III-1〉 역량의 개념 94

〈그림 V-1〉 IP금융 과정 이수체계도 예시 204

〈그림 V-2〉 IP빅데이터 과정 이수체계도 예시 204

〈그림 V-3〉 IP가치평가 과정 이수체계도 예시 205

이용현황보기

지식재산 전문인력양성 중점대학 공통 커리큘럼 연구 = A study on the common curriculum of intellectual property professional training universitie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64651 608.07 -2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64652 608.07 -2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