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제출문

목차

Ⅰ. 연구배경 및 목표 8

1. 연구 추진배경 8

2. 연구목표 8

Ⅱ. 연구범위 및 추진방법 9

1. 연구범위 9

2. 연구 추진방법 10

Ⅲ. 정책 이슈별 석대법 개정(안) 검토 13

1. 「국제석유거래업(자)」 신설 13

1.1. 석대법 운영현황 및 검토 배경 13

1.2. 검토결과 15

2. 오일허브 내 부가가치활동 및 국내반입 20

2.1. 석대법 운영현황 및 검토 배경 20

2.2. 검토결과 20

3. 정제시설 등 보세구역 지정에 따른 수입부과금 업무 24

3.1. 수입부과금 과세 현황 및 검토 배경 24

3.2. 세부 지정방안 25

3.3. 검토결과 27

3.4. 기타 추가검토 사항 29

Ⅳ. 석유제품 품질·유통관리 방안 검토 34

1. 현행 품질·유통관리 현황 34

1.1. 품질관리 현황 34

1.2. 유통관리 현황 36

1.3. 수입품 통관과 품질검사 절차 36

2. 동북아 오일허브 구축에 따른 석유제품 품질·유통관리 방안 38

2.1. 검토 배경 38

2.2. 필요시 보세구역 내 검사 및 정보수집 체계 구축 38

2.2. 가짜석유 원료물질 다양화 가능성에 선제적 대응 40

2.3. 항공유, 선박유 품질·유통관리 체계 확립 41

2.4. 석유제품 수입 프로세스 개선 및 지원 43

Ⅴ. 세계 3대 오일허브 등 선진 품질·유통관리 사례 47

1. 국가별 품질·유통관리 현황 47

1.1. 싱가포르 47

1.2. 네덜란드 52

1.3. 미국(휴스턴) 56

1.4. 일본 64

2. 국가별 석유제품 품질기준 현황 68

2.1. 유럽 및 네덜란드 68

2.2. 미국 71

2.3. 싱가포르 75

2.4. 일본 76

3. 국가별 석유 및 석유제품 과세현황 78

3.1. 국가별 석유 관세 및 내국세 부과 흐름도 78

3.2. 국가별 석유 관세 및 수입부과금 부과현황 79

3.3. 국가별 석유제품 유류세(내국세) 부과현황 79

3.4. 국가별 석유제품 소비자가격 및 세금비중 80

4. 해외 사례 분석 및 시사점[원문불량;p.76] 81

4.1. 해외 오일허브 현황분석 81

4.2. 한국의 오일허브에 대한 시사점 81

Ⅵ. 연구결과 84

1. 오일허브 활성화를 위한 주요 이슈사항 84

2. 동북아 오일허브 구축에 따른 석유제품 품질·유통관리 방안 85

2.1. 필요시 보세구역 내 검사 및 정보수집 체계 구축 85

2.2. 가짜석유 원료물질 다양화 가능성에 선제적 대응 85

2.3. 항공유, 선박유 등의 품질·유통관리 체계 확립 86

2.4. 석유제품 수입 프로세스 개선 및 지원 86

참고 문헌 87

별첨 88

1. 석대법 개정(안) 신·구 조문 대조표 88

2. 석대법 시행령 개정(안) 신·구 조문 대조표 98

3. 석대법 시행규칙 개정(안) 신·구 조문 대조표 101

표목차

표 Ⅱ-1-1. 연구범위 9

표 Ⅱ-2-1. 유관기관 및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현황 10

표 Ⅱ-2-2. 세미나 및 포럼 등 참석현황 11

표 Ⅱ-2-3. 해외 오일허브 관련 운영현황 조사 11

표 Ⅲ-1-1. 석대법 석유사업자별 등록요건 13

표 Ⅲ-1-2. 석대법 업자별 등록·신고 사항 16

표 Ⅲ-1-3. 석대법 정제업자/수출입업자/국제석유거래업자 주요 의무 비교 19

표 Ⅲ-2-1. 보세구역 내 제조행위 허용 범위 22

표 Ⅲ-2-2. 보세구역에서 석유제품의 국내반입 주체 23

표 Ⅲ-3-1. 수입부과금 징수 및 환급 현황 24

표 Ⅲ-3-2. 용도별 수입부과금 환급 현황 25

표 Ⅲ-3-3. 지정보세구역 운영현황 31

표 Ⅲ-3-4. 특허보세구역 운영현황 31

표 Ⅲ-3-5. 종합보세구역 지정 현황('14.6.18 기준) 32

표 Ⅲ-3-6. 지정·특허·종합보세구역 비교 33

표 Ⅳ-1-1. 석대법 품질검사 대상 및 방법 34

표 Ⅳ-1-2. 석대법 석유사업자 현황 34

표 Ⅳ-1-3. 석대법 가짜석유 정의 및 유형 35

표 Ⅳ-2-1. 수급상황보고 변경(안) 40

표 Ⅳ-2-2. 석대법 시행령 별표3(석유 수입부과금 및 석유대체연료 수입부과금 징수 대상) 45

표 Ⅴ-1-1. 싱가포르 정유 A社 유종별 생산규격 항목 48

표 Ⅴ-1-2. 싱가포르 석유제품 품질기준 운영현황 49

표 Ⅴ-1-3. 싱가포르 석유제품 품질기준 개정검토 49

표 Ⅴ-1-4. 싱가포르 GTP 프로그램 현황 51

표 Ⅴ-1-5. 네덜란드 보세구역(BondedWarehouse)및 블렌딩 종류 52

표 Ⅴ-1-6. 네덜란드 Customs Warehouse 종류 52

표 Ⅴ-1-7. 네덜란드 블렌딩 면허 종류 53

표 Ⅴ-1-8. 네덜란드 관세부과 시스템 55

표 Ⅴ-1-9. 미국 연방 주요항목 품질기준('12.7월 기준) 59

표 Ⅴ-1-10. 미국 내 수송용 연료의 세금현황('14.1월 기준) 60

표 Ⅴ-1-11. 미국 내 주별 수송용 연료의 세금 현황 62

표 Ⅴ-1-12. 일본 정유사 원료과세 과세량 산출방식 65

표 Ⅴ-2-1. 유럽(네덜란드) 휘발유 품질기준 69

표 Ⅴ-2-2. 유럽(네덜란드) 경유 품질기준 70

표 Ⅴ-2-3. 미국 경유 등급 분류 72

표 Ⅴ-2-4. 미국 휘발유 품질기준 73

표 Ⅴ-2-5. 미국 경유 품질기준 74

표 Ⅴ-2-6. 싱가포르 NEA 휘발유 품질기준 및 개정(안) 75

표 Ⅴ-2-7. 싱가포르 NEA 경유 품질기준 및 개정(안) 76

표 Ⅴ-2-8. 일본 품질확보법 휘발유 품질기준 77

표 Ⅴ-2-9. 일본 품질확보법 경유 품질기준 77

표 Ⅴ-3-1. 국가별 석유 관세 및 수입부과금 부과현황 79

표 Ⅴ-3-2. 국가별 석유제품 유류세(내국세) 부과현황 79

표 Ⅴ-3-3. 국가별 석유제품 소비자가격 및 세금비중 80

표 Ⅴ-4-1. 세계 3대 오일허브 운영현황 비교[원문불량;p.76] 82

그림목차

그림 Ⅱ-2-1. 연구 추진방법 10

그림 Ⅲ-3-1. 현행 수입부과금 과세체제 24

그림 Ⅲ-3-2. 단일법인 보세구역 체제 27

그림 Ⅲ-3-3. 복수법인 보세구역 체제 28

그림 Ⅲ-3-4. 정제시설만 보세구역 체제 28

그림 Ⅳ-1-1. 석대법 품질검사 대상유종 35

그림 Ⅳ-1-2. 수입 석유제품 품질검사 절차 37

그림 Ⅴ-1-1. 싱가포르 정유사 유통단계 품질관리 체계 50

그림 Ⅴ-1-2. 미국 내 휘발유, 경유 가격구성 현황('14.5월 기준) 61

그림 Ⅴ-1-3. 미국 내 송유관 현황 63

그림 Ⅴ-1-4. 미국 내 정유공장 분포 현황 63

그림 Ⅴ-1-5. 일본의 품확법 품질검사 체계 66

그림 Ⅴ-1-6. 일본의 석유 및 석유제품 과세체계 67

그림 Ⅴ-3-1. 국가별 석유 관세 및 내국세 부과 흐름도 78

그림 Ⅴ-3-2. 각국의 유종별 세금현황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