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판권기 3

제출문 4

머리말 / 강태중 6

연구요약 7

목차 9

I. 서론 1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2. 연구 내용 19

3. 연구 방법 21

II. 선행 연구 24

1.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 평가 25

2.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 31

III.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위한 준거 개발 40

1. 개요 41

가. 주요 용어의 이해 41

나. 자료 개발 절차 및 구성 44

2. 국어 46

가. 듣기·말하기 영역 46

나. 읽기 영역 60

다. 쓰기 영역 89

라. 문법 영역 111

마. 문학 영역 125

3. 수학 142

가. 다항식 142

나. 방정식과 부등식 152

다. 도형의 방정식 172

라. 집합과 명제 191

마. 함수와 그래프 207

바. 경우의 수 218

4. 영어 227

가. 듣기 영역 227

나. 말하기 영역 242

다. 읽기 영역 260

라. 쓰기 영역 278

IV.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 지원 방안 294

1. 성취평가제 정착을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 295

가. 성취평가제 운영을 위한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의 필요성 295

나.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교수요목 개발 296

2. 최소 학업성취수준 준거 활용 방안 315

가. 개요 및 절차 315

나. 예시 수업 자료 활용 방안 318

다. 예시 평가 문항 활용 방안 320

참고문헌 325

뒷표지 329

표목차 11

〈표 I-3-1〉 과목별 워킹그룹 운영 개요 22

〈표 I-3-2〉 전문가 협의회 및 정책 협의회 개최 23

〈표 II-1-1〉 학점제형 교육과정의 과목별 통일된 성적 산출 방식(안) 26

〈표 II-1-2〉 성취평가제 확대에 따른 성적 산출 방식(예시) 26

〈표 II-1-3〉 일반계 고교학점제의 'Two track 접근' 평가 방안 28

〈표 II-1-4〉 성취평가제 컨설팅 연수 5개 모듈 29

〈표 II-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수행한 고등학교 성취평가제 관련 연구 및 자료 30

〈표 II-2-1〉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의 개념 및 의미 33

〈표 II-2-2〉 미이수 예방 방안 34

〈표 II-2-3〉 미이수 후속 지원 방안 및 운영 방식(안) 34

〈표 II-2-4〉 최소 학업성취수준 지도 과정 35

〈표 III-1-1〉 고교학점제의 과목 이수 기준 42

〈표 III-1-2〉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표 43

〈표 III-2-1〉 듣기·말하기 영역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46

〈표 III-2-2〉 듣기·말하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47

〈표 III-2-3〉 듣기·말하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51

〈표 III-2-4〉 듣기·말하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56

〈표 III-2-5〉 읽기 영역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60

〈표 III-2-6〉 읽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60

〈표 III-2-7〉 읽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66

〈표 III-2-8〉 읽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75

〈표 III-2-9〉 읽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83

〈표 III-2-10〉 쓰기 영역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89

〈표 III-2-11〉 쓰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89

〈표 III-2-12〉 쓰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95

〈표 III-2-13〉 쓰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101

〈표 III-2-14〉 쓰기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106

〈표 III-2-15〉 문법 영역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111

〈표 III-2-16〉 문법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112

〈표 III-2-17〉 문법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116

〈표 III-2-18〉 문법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120

〈표 III-2-19〉 문학 영역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125

〈표 III-2-20〉 문학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125

〈표 III-2-21〉 문학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130

〈표 III-2-22〉 문학 영역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 136

〈표 III-3-1〉 다항식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142

〈표 III-3-2〉 다항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43

〈표 III-3-3〉 다항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45

〈표 III-3-4〉 다항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48

〈표 III-3-5〉 다항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50

〈표 III-3-6〉 방정식과 부등식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152

〈표 III-3-7〉 방정식과 부등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53

〈표 III-3-8〉 방정식과 부등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56

〈표 III-3-9〉 방정식과 부등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59

〈표 III-3-10〉 방정식과 부등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62

〈표 III-3-11〉 방정식과 부등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65

〈표 III-3-12〉 방정식과 부등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69

〈표 III-3-13〉 도형의 방정식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172

〈표 III-3-14〉 도형의 방정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72

〈표 III-3-15〉 도형의 방정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75

〈표 III-3-16〉 도형의 방정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78

〈표 III-3-17〉 도형의 방정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81

〈표 III-3-18〉 도형의 방정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84

〈표 III-3-19〉 도형의 방정식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87

〈표 III-3-20〉 집합과 명제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191

〈표 III-3-21〉 집합과 명제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91

〈표 III-3-22〉 집합과 명제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95

〈표 III-3-23〉 집합과 명제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198

〈표 III-3-24〉 집합과 명제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201

〈표 III-3-25〉 집합과 명제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204

〈표 III-3-26〉 함수와 그래프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207

〈표 III-3-27〉 함수와 그래프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208

〈표 III-3-28〉 함수와 그래프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211

〈표 III-3-29〉 함수와 그래프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213

〈표 III-3-30〉 함수와 그래프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216

〈표 III-3-31〉 경우의 수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219

〈표 III-3-32〉 경우의 수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219

〈표 III-3-33〉 경우의 수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222

〈표 III-3-34〉 경우의 수의 수행 활동/판단 근거 ㉰와 ㉱ 224

〈표 III-4-1〉 듣기 영역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227

〈표 III-4-2〉 듣기 영역의 성취수준별 구분 방식 228

〈표 III-4-3〉 듣기 영역의 수준별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229

〈표 III-4-4〉 공통 과목 〈영어〉 듣기 영역의 내용 요소 230

〈표 III-4-5〉 말하기 영역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242

〈표 III-4-6〉 말하기 영역의 성취수준별 구분 방식 243

〈표 III-4-7〉 말하기 영역의 수준별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243

〈표 III-4-8〉 공통 과목 〈영어〉 말하기 영역의 내용 요소 244

〈표 III-4-9〉 읽기 영역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260

〈표 III-4-10〉 읽기 영역의 성취수준별 구분 방식 262

〈표 III-4-11〉 읽기 영역의 수준별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262

〈표 III-4-12〉 공통 과목 〈영어〉 읽기 영역의 내용 요소 263

〈표 III-4-13〉 쓰기 영역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278

〈표 III-4-14〉 쓰기 영역의 성취수준별 구분 방식 279

〈표 III-4-15〉 쓰기 영역의 수준별 학업성취수준 진술문 280

〈표 III-4-16〉 공통 과목 〈영어〉 쓰기 영역의 내용 요소 281

〈표 IV-1-1〉 고교학점제에서의 평가 연수 프로그램 개요 297

〈표 IV-1-2〉 성취평가제 개요 298

〈표 IV-1-3〉 평가 계획 수립 300

〈표 IV-1-4〉 평가 도구 개발 303

〈표 IV-1-5〉 평가 결과 산출 및 분석 308

〈표 IV-1-6〉 성적보고 및 피드백 311

그림목차 14

[그림 I-1-1]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로드맵 17

[그림 I-2-1] 판단 준거 개발 방향 수립 19

[그림 I-2-2] 판단 준거 개발 절차 20

[그림 II-1-1] 고교학점제 과목 이수 기준 적용 25

[그림 II-2-1]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로드맵 32

[그림 II-2-2] 경기 부명고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프로그램 운영 내용 36

[그림 II-2-3] 위례 한빛고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 37

[그림 II-2-4] 함안고의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 38

[그림 III-1-1] 고교학점제의 성취평가제 수정안 42

[그림 III-1-2] 자료 개발 절차 44

[그림 IV-2-1]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위한 절차 315

[그림 IV-2-2]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 단계별 준거 자료 활용 방안 316

[그림 IV-2-3] E 수준 예시 평가 문항 활용 방안 323

이용현황보기

고교학점제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위한 준거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iteria for guiding the minimum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68743 373.126 -2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