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9

가. 연구 배경 9

나. 임상추론 평가의 필요성 12

2. 연구 목적 13

Ⅱ. 임상추론능력의 평가 방법 고찰 14

1. 연구 내용과 방법 14

2. 임상추론 능력의 평가 방법 14

가. Clinical Reasoning components – 7가지 14

나. 비 근무지 기반(non-workplace) 평가 15

다. 시뮬레이션 된 임상환경에서의 평가 16

라. 근무지 기반 평가(workplace based assessment) 17

Ⅲ. 국내외 임상수행평가에서 임상추론능력 평가 시행 현황 22

1. 연구 내용과 방법 22

2. 국내외 임상수행평가에서 임상추론 능력 평가 시행 현황 22

가. 국내 22

나. 캐나다(국외) 24

다. 미국(국외) 35

라. 국내 국외 실기시험에서 임상추론 평가 방법 비교 44

Ⅳ. 주요 체크리스트(Key checklist: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를 활용한 임상추론능력 평가 46

1. 연구 내용과 방법 46

2. 주요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임상추론 능력 평가 46

가. 시나리오 개발 및 시험 시행 46

나. 개발된 CPX시나리오와 checklist 를 사용한 학생 평가 49

다.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산출 49

라.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의 내용타당도 및 일치도 분석 54

마. thoroughness checklist(TC)와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DC)를 이용한 점수 분석 54

바. 임상추론 능력에 대한 사이시험과 기존의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점수와의 상관성 조사 58

3.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를 활용한 임상추론 능력 평가 도입 가능성 62

Ⅴ. 임상추론능력을 평가하는 다양한 format의 사이시험 고안 및 평가 도입 가능성 조사 63

1. 연구 내용과 방법 63

가. 새로운 형태의 사이시험 형태 개발 63

나. 새로운 형태의 사이시험 모의시험 시행 63

다. global rating 시행 63

라. 각 사이시험의 형태마다 채점의 용이성, CPX총점, TC, DC 와의 correlation 분석 63

마. 모의시험 참여 학생들의 설문 분석 63

2. 임상추론 능력 평가 방법 도출 및 시행 63

가. 새로운 형태의 사이시험 형태 개발 63

나. 새로운 형태의 사이시험 모의시험 시행 67

다. global rating 시행 78

라. 각 사이시험의 형태마다 채점의 용이성, CPX총점, TC, DC 와의 상관관계 분석 80

마. 기존 실기시험과 새로운 임상추론 평가 방법 비교 90

바. 모의시험 참여 학생들의 설문 분석 91

사. 모의시험 채점 참여 교수들의 설문 결과 92

아. 사이시험 형태에 따른 특징, 장단점, global rating 과의 상관성 99

3. 임상추론능력 평가 도입에 대한 전문가 회의/공청회 102

가. 임상추론능력 평가 도입에 대한 전문가 회의 102

나. 국시 실기시험에서 임상추론 능력 평가에 대한 전문가 의견 111

Ⅵ. 결론 125

1. 임상추론 능력 평가 도입 가능성 및 타당성 검토 125

가. 의사 실기시험에서 임상추론능력 측정이 가능성 125

나. 의사 실기시험에서 임상추론 능력 측정의 당위성 125

2. 국시 실기시험에서 임상추론능력 평가에 대한 제언 126

가. 사이시험을 통한 임상추론 능력평가의 필요성 126

나. 임상추론 평가방법의 제안 126

Ⅶ. 참고문헌 128

부록 132

부록 1. 모의시험 후 학생 설문지 132

부록 2. 2021학년도 4학년 CPX 사이시험 설문결과 134

부록 3. 북미, 스위스 의사실기시험 현황 137

부록 4. Clinical reasoning evaluation 154

부록 5.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review 167

부록 6. 공청회 발표자료 171

부록 7. 체크리스트별 반응률 및 항목이 삭제된 경우 Cronbach's alpha(19하반기 복통(난소낭종) 문항예시) 185

표목차

〈표 Ⅱ-1〉 Clinical integrative puzzles 15

〈표 Ⅱ-2〉 script concordance tests 16

〈표 Ⅱ-3〉 임상추론 능력 평가방법 18

〈표 Ⅱ-4〉 Clinical integrative puzzles 19

〈표 Ⅲ-1〉 CPX 점수와 GPA, 임상추론점수와 진단 정확도 점수와의 연관성 23

〈표 Ⅲ-2〉 Exam blueprint for the MCCQE Part Ⅱ with weighted domains 26

〈표 Ⅲ-3〉 평가영역 출제목표 27

〈표 Ⅲ-4〉 환자 면담 평가 항목 28

〈표 Ⅲ-5〉 Patient encounter Probe 34

〈표 Ⅲ-6〉 국내외 실기시험에서 임상추론 평가방법 비교표 44

〈표 Ⅳ-1〉 2019 하반기 문항 47

〈표 Ⅳ-2〉 2020 상반기 문항 48

〈표 Ⅳ-3〉 2019 하반기 문항 49

〈표 Ⅳ-4〉 2020 상반기 문항 49

〈표 Ⅳ-5〉 급성 복통(난소낭종꼬임)사례의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50

〈표 Ⅳ-6〉 쓰러질 것 같아요(서맥)사례의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51

〈표 Ⅳ-7〉 토혈 사례의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1ˢᵗ round 결과 예시(2020하반기) 53

〈표 Ⅳ-8〉 Mean item difficulty index of Thoroughness and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Scores for Fourth-Year Medical students on Fourteen Standardized Patient Encounters 55

〈표 Ⅳ-9〉 Mean item discrimination index of Thoroughness and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Scores for Fourth-Year Medical students on Fourteen Standardized Patient Encounters 55

〈표 Ⅳ-10〉 Internal consistency of reliability(Cronbach's alpha) of Thoroughness and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Scores for Fourth-Year Medical students on Fourteen Standardized Patient Encounters 56

〈표 Ⅳ-11〉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of Thoroughness and Clinically Discriminating Checklist Scores for Fourth-Year Medical s tudents on Fourteen Standardized Patient Encounters 57

〈표 Ⅳ-12〉 사이시험 형식 60

〈표 Ⅳ-13〉 복통, 서맥, 기침 항목에서 총점, TC, DC와 CR간의 상관관계 61

〈표 Ⅳ-14〉 체중감소, 두통, 흉통 항목에서 총점, TC, DC와 CR간의 상관 관계 62

〈표 Ⅴ-1〉 1형 사이시험 64

〈표 Ⅴ-2〉 2형 사이시험 65

〈표 Ⅴ-3〉 3형 사이시험 66

〈표 Ⅴ-4〉 2020 하반기 문항 67

〈표 Ⅴ-5〉 문항별 CPX총점, TC총점, DC총점, 진단총점 및 추론 총점 80

〈표 Ⅴ-6〉 1번문항의 CPX, TC, DC, 진단점수 및 추론 총점의 백분율 점수 80

〈표 Ⅴ-7〉 5번문항의 CPX, TC, DC, 진단점수 및 추론 총점의 백분율 점수 81

〈표 Ⅴ-8〉 8번문항의 CPX, TC, DC, 진단점수 및 추론 총점의 백분율 점수 81

〈표 Ⅴ-9〉 11번문항의 CPX, TC, DC, 진단점수 및 추론 총점의 백분율 점 수 81

〈표 Ⅴ-10〉 문항의 CPX 총점, TC, DC 그리고 임상추론 점수와 상관관계 82

〈표 Ⅴ-11〉 문항별 추론점수의 상관관계 85

〈표 Ⅴ-12〉 항목별 CPX 총점과 global rating, 진단점수, 추론점수 상관관계 86

〈표 Ⅴ-13〉 항목별 global rating과 TC, DC, 추론점수, 진단총점 상관관계 87

〈표 Ⅴ-14〉 모의시험 일반화 연구 결과 88

〈표 Ⅴ-15〉 의사 국가시험 결정 연구 결과 88

〈표 Ⅴ-16〉 모의시험 일반화 연구 결과 89

〈표 Ⅴ-17〉 항목별 채점의 용이성 90

〈표 Ⅴ-18〉 기존 실기시험과 새로운 임상추론 평가 방법 비교표 91

〈표 Ⅴ-19〉 keyword 중심의 평가점수와 global rating 점수와의 상관성 99

〈표 Ⅴ-20〉 사이시험 형태에 따른 특징, 장단점, global rating와의 상관성 정리표 100

그림목차

[그림 Ⅰ-1] Analytic process of clinical reasoning 11

[그림 Ⅰ-2] Non-analytic process of clinical reasoning 12

[그림 Ⅱ-1] modified essay questions 16

[그림 Ⅱ-2] Short essay question 예시 20

[그림 Ⅱ-3] KFE 예시 21

[그림 Ⅲ-1] 캐나다 의사 면허시험 체계 24

[그림 Ⅲ-2] PE recruitment requirments 30

[그림 Ⅲ-3] 응시자의 영역별 점수분포 그래프 33

[그림 Ⅲ-4] 표준화환자 진료의 개요 37

[그림 Ⅲ-5] 환자 기록 양식 38

[그림 Ⅲ-6] 표준화환자 진료문항 전체의 흐름도 39

[그림 Ⅲ-7] 신체진찰 소견 기록 방법 예시 42

[그림 Ⅲ-8] 2019년 USMLE Step 2 CS 결과 43

[그림 Ⅴ-1] 학생을 위한 임상추론 사이시험 안내 - 전반적 내용 71

[그림 Ⅴ-2] 학생을 위한 임상추론 사이시험 안내 - 1형 72

[그림 Ⅴ-3] 학생을 위한 임상추론 사이시험 안내 - 2형 73

[그림 Ⅴ-4] 학생을 위한 임상추론 사이시험 안내 - 3형 74

[그림 Ⅴ-5] 토혈 항목 1형 정답 75

[그림 Ⅴ-6] 토혈 항목 2형 정답 76

[그림 Ⅴ-7] 토혈 항목 3형 정답 77

이용현황보기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에서 효과적으로 임상추론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방법 및 실행방안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69996 610.76 -22-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69997 610.76 -22-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