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제출문 3

목차 5

요약 11

제1장 연구개요 21

1. 연구 배경 21

1.1. 연구의 배경 21

1.2. 연구의 필요성 22

2. 연구 방법 24

2.1. 국외 치매관리 정책 문헌고찰 24

2.2. 국내 치매환자 케어 현황 분석 24

2.3. 치매환자 케어플랜 및 지역사회 연계 가이드라인 도출 25

제2장 국외 치매 관리 정책 문헌고찰 27

1. 국가별 치매 관리 체계 개요 27

1.1. 문헌 최종 선정 결과 27

1.2. 국가별 치매 관련 현황 27

1.3. 국가별 치매환자 케어플랜 29

2. 국가별 치매 관리 체계 문헌고찰 결과 30

2.1. 미국 30

2.2. 일본 32

2.3. 프랑스 34

2.4. 네덜란드 36

2.5. 캐나다 38

제3장 치매안심센터 지역사회 연계 현황 분석 41

1. 설문조사 대상의 특성 41

1.1. 설문조사 응답 기관 41

1.2. 조사대상자의 특성 46

2. 치매안심센터의 지역사회 연계 현황 50

2.1. 치매안심센터의 지역사회 기관과 연계 현황 50

2.2. 치매안심센터와 지역사회 기관과의 대상자/서비스/정보 연계 현황 54

3. 치매안심센터의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59

3.1. 도시유형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59

3.2. 광역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4

3.3. 광역별 지역사회 연계 추가 분석 71

3.4. 지역사회 연계 개선사항에 대한 기타 의견 74

제4장 FGI 77

1. FGI 대상의 특성 77

1.1. Group 1(수요자 그룹) 77

1.2. Group 2(공급자 그룹) 78

2. FGI 결과 79

1.1. Group 1(수요자 그룹) 79

1.2. Group 2(공급자 그룹) 82

제5장 치매환자 케어플랜 및 지역사회 연계 가이드라인 도출 87

1. 치매환자 케어플랜 87

1.1. 심층삼당 및 응급응대 87

1.2. 맞춤형 사례관리 신청 및 분류 88

1.3. 포괄적 사정 89

1.4. 욕구 및 문제 파악 89

1.5. 우선순위 설정 및 목표설정(장단기 목표) 89

1.6. 실행계획 수립 90

1.7. 이행(직접 서비스 제공과 자원연계) 90

1.8. 평가 92

1.9. 종결 92

2. 사례관리 초기평가서 10개 영역(요약본) 알고리즘 93

2.1. 치매노인 투약문제 94

2.2. 치매노인 정신행동증상(망상, 환각, 공격성, 우울 등) 문제 95

2.3. 치매노인 학대/방임의 문제 96

2.4. 치매노인 의/식/주 문제 97

2.5. 치매노인 장기요양 서비스 필요 98

2.6. 치매노인 가족 및 보호자의 돌봄 부담 99

2.7. 치매노인 병원동행 서비스 필요 100

2.8. 치매노인 경제위기 101

2.9. 치매노인 생활안전 위기 102

2.10. 치매노인 기타 복합적 문제(만성질환 또는 중독이나 배회 관련문제) 103

3. 치매안심센터 자원 연계 104

제6장 결론 및 제언 109

1. 결론 109

2. 제언 110

REFERENCES 113

부록 115

부록1. IRB 115

부록2. 설문조사 115

부록3. 전문가 자문 125

뒷표지 128

표목차 9

〈표2-1-1〉 국가별 치매 유병률 28

〈표2-1-2〉 국가별 치매환자 케어플랜 특성 30

〈표3-1-1〉 도시 유형별 및 광역별 치매안심센터 42

〈표3-1-2〉 28개 지역사회 연계 기관 44

〈표3-1-3〉 기타 지역사회 연계 기관 45

〈표3-1-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6

〈표3-1-5〉 조사대상자의 업무적 특성(중복응답) 48

〈표3-1-6〉 조사대상자의 업무(중복응답) 49

〈표3-2-1〉 지역사회 기관(28개) 연계 상위 10개 치매안심센터 51

〈표3-2-2〉 치매안심센터의 저명도 51

〈표3-2-3〉 지역사회 다빈도 연계 기관 53

〈표3-2-4〉 대상자 연계 현황 54

〈표3-2-5〉 서비스 연계 현황 56

〈표3-2-6〉 정보 연계 현황 57

〈표3-3-1〉 도시형 지역사회 기관 연계 상위 10개 기관 59

〈표3-3-2〉 도농복합형 지역사회 기관 연계 상위 10개 기관 60

〈표3-3-3〉 농촌형 지역사회 기관 연계 상위 10개 기관 62

〈표3-3-4〉 도시유형별 지역사회 기관 연계 상위 10개 기관 63

〈표3-3-5〉 광역별 지역사회 기관 연계 상관성 분석 72

〈표3-3-6〉 지역사회 기관 연계 활발성 및 만족도 73

〈표3-3-8〉 지역사회 연계 개선사항 의견 74

〈표4-1-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GROUP 1) 77

〈표4-1-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GROUP 2) 78

〈표5-2-1〉 사례관리 초기평가서 10개 영역(요약본) 알고리즘 93

〈표5-3-1〉 지역사회 연계 기관 및 내용 105

그림목차 9

[그림1-1-1] 우리나라 인구증가율 및 치매환자 추이 21

[그림2-2-1] 네덜란드 국가 치매 전략에 대한 설계도 37

[그림3-2-1] 지역사회 다빈도 연계기관 54

[그림3-2-2] 대상자 연계 현황 55

[그림3-2-3] 서비스 연계 현황 57

[그림3-2-4] 정보 연계 현황 58

[그림3-3-1] 도시형 지역사회 기관 연계 네트워크 분석 59

[그림3-3-2] 도시형 지역사회 기관 연계 네트워크분석(종합-기타포함) 60

[그림3-3-3] 도농복합형 지역사회 기관 연계 네트워크 분석 61

[그림3-3-4] 도농복합형 지역사회 기관 연계 네트워크 분석(종합-기타포함) 61

[그림3-3-5] 농촌형 지역사회 기관 연계 네트워크 분석 62

[그림3-3-6] 농촌형 지역사회 기관 연계 네트워크 분석(종합-기타포함) 62

[그림3-3-7] 서울특별시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4

[그림3-3-8] 부산광역시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4

[그림3-3-9] 대구광역시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5

[그림3-3-10] 인천광역시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5

[그림3-3-11] 광주광역시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6

[그림3-3-12] 대전광역시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6

[그림3-3-13] 울산광역시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7

[그림3-3-14] 경기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7

[그림3-3-15] 강원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8

[그림3-3-16] 충청북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8

[그림3-3-17] 충청남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9

[그림3-3-18] 전라북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69

[그림3-3-19] 전라남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70

[그림3-3-20] 경상북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70

[그림3-3-21] 경상남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분석 71

[그림3-3-22] 지역사회 기관 연계의 활발성과 만족도 74

[그림5-1-1] 치매환자 케어플랜 87

[그림5-1-2] 응급 응대 절차 88

[그림5-2-1] 치매노인 투약문제 알고리즘 94

[그림5-2-2] 치매노인 정신행동증상(망상, 환각, 공격성, 우울 등) 문제 알고리즘 95

[그림5-2-3] 치매노인 학대/방임의 문제 알고리즘 96

[그림5-2-4] 치매노인 의/식/주 문제 알고리즘 97

[그림5-2-5] 치매노인 장기요양 서비스 필요 알고리즘 98

[그림5-2-6] 치매노인 가족 및 보호자의 돌봄 부담 알고리즘 99

[그림5-2-7] 치매노인 병원동행 서비스 필요 알고리즘 100

[그림5-2-8] 치매노인 경제위기 알고리즘 101

[그림5-2-9] 치매노인 생활안전 위기 알고리즘 102

[그림5-2-10] 치매노인 기타 복합적 문제(만성질환 또는 중독이나 배회 관련문제)알고리즘 103

[그림5-3-1] 치매안심센터 지역사회 연계 기관 104

이용현황보기

치매환자 케어플랜 및 지역사회 연계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mentia patient care plans and community-linked guideline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80668 362.19683 -22-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80669 362.19683 -22-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