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추천의 글 - 004
책 머리에 - 008

● 강둑 따라 매화향 가득하고
1. 당신, 그대로가 꽃입니다
행복의 샘 | 행복은 지금 여기에 | 내 인생에 초대하고 싶은 것들 | 기적은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 고난과 근심 | 가불하지 말아요 | 세상을 가슴으로 안으면 | 나로 살아가는 용기 | 마음먹기에 따라 | 지금 행복하여라 | 행복의 분량 | 다 쓰고 죽어라 | 헐렁한 행복 | 이 또한 지나가리라

2. 시간의 산책자
멈추면 세상이 보인다 | 인생 여행법 | 재방송이 없는 인생 | 여행의 때 | 지나간 것은 지나간 것으로 | 시간의 걸음걸이 | 깨어 있는 마음으로 나를 만들라 | 지금 이 순간 | 습관이 나를 만든다 | 하루를 선물처럼 | 삶의 향기 | 시간 사용법 | 언제나 진행형 | 걸림돌 디딤돌 | 옷걸이 인생 | ‘지금까지’가 아니라 ‘지금부터’이다 | 빈손 연습 | 내일에 속지 말라

●● 푸르른 차밭 사잇길 걸으며
3. 오롯이 나로 산다는 것
마음의 자[尺]를 버리면 | 비워야 새것이 들어가고 메아리가 울린다 | 화합의 길 | 나를 내려놓는 일 | 두 손에 물건을 쥐고도 | 거리두기 | 단순하게 살기 | 완벽주의로부터의 자유 |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 휘어질수록 멀리 날아가는 화살처럼 | 문단속 | 스스로 새장을 찾는 사람들 | 버려야 할 것들 | 틀린 것과 다른 것 | 얻으려 하지 않으면 | 크게 버리면 크게 얻는다 | 무소유

4. 통하는 기쁨
인연법 | 용서는 과거에 묶여 있는 것 | 몇 번이나 용서해야 하는가 | 열어야 통한다 | 풀어주어야 자유로워진다 | 사람을 만난다는 것 | 영원한 관계는 없다 | 공존의 의미 | 베풂 | 홀로 또 더불어 | 아름다운 인연 | 사랑의 길

●●● 하늘 높은 바람, 구름을 따르고
5. 주인공, 다만 깨어 있어라
마음 밖에서 나를 바라보라 | 마음 챙기기 | 풍경 소리 | 깨어 있는 삶 | 누가 주인공인가 | 시간을 버리면 | 숲속 명상 | 열린 눈, 깨어 있는 마음으로 | 가장 소중한 만남 | 큰 틀에서 바라보기

6. 충만한 비움
날마다 죽고 날마다 태어나는 사람 | 누구를 위해 종을 울리나? | 비우는 기도, 고요로 충만해지는 기도 | 간절히 기도하라 | 해바라기 기도 | 아침 기도문 | 마음이 가난한 자의 기도

●●●● 후박나무 가지에 그리움 쌓이네
7. 사랑은 쉼표에서
청산은 흰 구름을 보고 | 사랑의 크기만큼 | 마음의 장난으로부터의 자유 | 내가 바뀌어야 세상이 바뀐다 |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당신 | 묻고 또 물으면 | 가슴으로 사는 사람 | 생각의 요리사가 되라 | 나만의 길을 가라 | 차별하지 않는 거울처럼 | 생각 줄이기 | 운명을 여는 열쇠

8. 말과 침묵
살리는 말, 죽이는 말 | 말과 침묵 | 침묵의 소통 | 경청의 지혜 | 궁극의 기도 | 침묵의 설법

이용현황보기

다시 여행을 시작하는 그대에게 : 길 위에서 읽는 마음 이야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99620 811.87 -22-12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99621 811.87 -22-12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47245 811.87 -22-125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매일 아침 하루를 시작하며 전해온
위안과 희망의 아포리즘 330여 편과 40여 개의 사진


법정 스님의 맏상좌(첫 번째 제자)인 덕조 스님이 10년 만에 다시 산문 밖으로 나왔다. 불안과 두려움, 번민과 좌절을 되풀이하는 이들을 위해 따뜻한 위로와 휴식, 삶의 통찰이 담긴 메시지를 건넨다. 한 장 넘길 때마다 도닥도닥 어깨를 두드리며 움츠러든 가슴을 펴게 해주는 글과 사진이 시원스레 펼쳐진다.

2014년 5월부터 지금까지 에 8년 이상 하루도 빠짐없이 써온 글 가운데 330여 편을 가려 뽑았다. 계절의 변화에 맞춰 크게 4개 부로 나누어 자연의 변화와 마음의 성찰을 전한다. 계절마다 둘씩 모두 8개의 주제로 나누어 글을 묶었다.

덕조 스님은 30년 전 법정 스님께 카메라를 선물 받은 뒤부터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이 책에는 스님이 직접 찍은 자연과 사람, 세상의 변화를 사진과 함께 담았다. 법정 스님의 자취가 짙게 남아 있는 불일암 주변은 물론, 티베트 등 해외에서 마주친 다채로운 풍광이 40여 편의 컬러 사진과 함께 여운을 남긴다.

스님은 2005년 ‘템플스테이 사진전’에서 금상을 수상했고, 2007년 ‘티베트 사진전’을 열었으며, 2016년에는 인도의 수행 공동체 오로빌의 초청으로 ‘송광사의 사계’ 한국 사진전을 열기도 한 사진가이기도 하다.

● 봄 - 강둑 따라 매화향 가득하고

새싹이 움을 틔우고 맺힌 꽃망울들이 미소를 터트리는 봄. ‘행복’과 ‘시간’에 대한 성찰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우리는 존재 “그대로가 꽃”이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고, 지금 있는 이 자리이 순간의 충실함에 있다. 더하여,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면 일상이 새로워지고 지금 이 자리에서 행복을 느낄 수 있다. 지금 이 자리에서 틀에서 벗어나는 것, 생각의 방향, 바라보는 시각의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도 일상의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시냇물에서 돌을 치워버리면 냇물은 노래를 잃는다”는
서양 속담이 있습니다.
조용하던 우리의 삶에도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고통이 찾아올 때가 더러 있습니다.
음악에 박자와 멜로디가 있는 것처럼
우리의 생활에도 리듬이 있고 멜로디가 있게 마련입니다.
고독과 고통과 번민 중에도 희망은 있고
시냇물에는 돌이 있기에 노래가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_64쪽, 〈이 또한 지나가리라〉 중에서

● 여름 - 푸르른 차밭 사잇길 걸으며

녹음이 피어나고 비와 바람으로 더 굳세어지는 여름. 다른 이와 비교하지 않으며, 칭찬에도 비판에도 흔들리지 않으며 고요히 “나를 다스리는 즐거움”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우리는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는 것, “관계 속에서 단련되고 위로받는 존재”임을, 더불어 소통하며 살아가는 것이 삶이라는 이야기를 전한다.

사람을 안다는 것은
또 하나의 미지의 세계를 보는 것과 같습니다.
사람을 만나면, 또 다른 세상이 있구나, 하고 생각하십시오.
내 세계와 다른 사람을 만나면, 왜? 하고 생각하기보다
다른 세계가 있구나, 하고 느끼십시오.

사람을 안다는 것은 미지의 세계를 여행하는 것이니
조심스럽게 다가가야 합니다.
그래야 새로운 세계를 만날 수 있습니다.
_184쪽, 「사람을 만난다는 것」 중에서

● 가을 - 하늘 높은 바람, 구름을 따르고

뜨거운 태양과 천둥 번개 치는 폭풍도 견뎌내고 맞이한 “가을은 자신을 돌아보는 계절”이다. “한 그루 나무는 한 사람과 같아서” 그 크기에 따라 서 있는 자리가 달라지고, 단풍 든 잎새로 빛깔을 드러낸다. “나무는 서로 어울려 숲이 되고 자연이” 된다. 사람도 그렇게 저마다의 모양과 빛깔로 어울려 살아간다. 그 모양과 빛깔 그대로 오롯이 본래 자리를 찾기 위해, 다만 깨어 마음을 바라본다. 간절함과 정성이 깃든 “기도”가 삶에 향기를 더한다.

오롯이 간절함으로 기도를 해 보셨나요?
삶은 그냥 살아질 수도 있지만
간절함과 정성이 없으면 향기가 없습니다.
무슨 일을 하려면 절실함이 가득해야 이룰 수 있습니다.
간절함은 나에게 주어진 장벽을 극복하게 합니다.
그 벽을 넘어서지 않으면 한 걸음 더 나갈 수 없습니다.
그 벽은 자신이 만들었기 때문에 그 벽을 깨는 무기는 간절함입니다.
_255~256쪽, 「간절히 기도하라」 중에서

● 겨울 - 후박나무 가지에 그리움 쌓이네

“벌거벗은 자연처럼 우리도 청빈한 모습으로 돌아가는 계절” 겨울. 새로운 시작을 위한 쉼의 시간이며 침묵을 음미하기 좋은 때이다. “쉼이란 놓음”이다. 놓음은 “마음으로 짓고 마음으로 되받는 관념의 울타리를 벗어나는 것”이기도 하다. “쉼이란 충전”이기도 하다. 쳇바퀴 구르듯 구르는 삶 속에서 쉼을 통한 충전이 있어야 여유가 생긴다. 여유로워야 주변을 돌아볼 수 있다. 잘 산다는 것은 여유가 있는 삶이다. 뚝 떨어진 기온으로 몸은 추위에 떨더라도 마음이 따스하고 여유로우면 영하의 기온도 비껴간다.

누구나 마음속에 방이 있습니다.
찬 바람이 불 때면 따스하게 데워야 합니다.
욕심이 가득할 때면 살며시 비워 진심으로 채워야 합니다.
채우고 비우는 일은 내가 날마다 해야 할 일
비우면 충만한 마음이 되어 행복해집니다.
_268쪽에서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52] 세상에 나 혼자가 아닙니다.
점 하나 찍어서 길게 연결하면
당신이 있습니다.
점이 선이 되고
선이 관계가 됩니다.
당신이 없으면 나도 없습니다.
나는 당신의 한 부분입니다.
한 점을 없애면 당신도 점 하나에 불과합니다.
그래서 상대를 인정해야 합니다.
우리는 하나입니다.
_ 「
[P. 64~65] 마음먹기에 따라」
[P. 107~108] 중에서
자신의 삶에 변화를 원한다면 충분히 아파해야 합니다.
하루아침에 세상이 바뀌지 않듯이
삶의 변화를 원하는 사람은 끝없이 인내해야 합니다.
가장 향기로운 향수의 원액은
발칸산맥에서 피어나는 장미에서 추출된다고 합니다.
장미는 가장 춥고 어두운 자정에서 새벽 2시 사이에 따는데
한밤중에 가장 아름다운 향기를 뿜어내기 때문이랍니다.
인생의 향기도 가장 극심한 고통 중에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닐까요?
인내하십시오. 지금 주어진 고통은 나의 시험대이고
이 시간이 지나면 진한 향수 같은 선물이 돌아올 것입니다.
_ 「
이 또한 지나가리라」
중에서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수많은 삶의 돌을 만납니다.
그 돌을 대하는 마음가짐에 따라
어떤 사람은 걸림돌이라 말하고
또 어떤 사람은 디딤돌이라고 말합니다.
나를 힘들게 하는 것들이라고 생각해온 걸림돌을
오늘부터는 디딤돌로 삼으면
편안하고 행복한 걸음이 될 것입니다.
_ 「
걸림돌 디딤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