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제출문 4

단계보고서 요약서 6

요약문 8

SUMMARY 11

CONTENTS 14

목차 16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8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18

1. 연구개발의 목적 18

2. 연구개발의 필요성 18

제2절 핵심 개발 기술 정의 24

1. AI 플랫폼 24

2. 지오빅데이터와 GeoAI 26

3. GeoAI 활용 플랫폼 및 핵심 기술 26

제3절 연구개발 범위 30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1

제1절 AI 플랫폼 기술 동향 분석 31

제2절 국내·외 시장 현황 분석 34

제3절 특허 조사를 통한 국내외 기술현황 분석 36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38

제1절 GeoAI 모델 서비스 환경 및 활용 플랫폼 구축 38

1. 플랫폼 개발을 위한 사전 분석, 요구사항 정의 및 상세 설계 38

2. 플랫폼 인프라 구축 및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구성 48

3. GeoAI 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 51

제2절 GeoAI 활용 플랫폼 탑재형 지오데이터 추론 모형 개발 61

1. 2차원 지오데이터 추론기법 개발 및 시범적용 61

2. 격자기반 지하공간모형 시뮬레이션 근사기능 설계 및 구현 97

3. 기계학습 기반 전기비저항 역산 모델 개발 154

4. 탐사정보/시추공정보 중합 기반 지반정보 추론을 위한 신경망 개발 167

제3절 동역학 해석-AI 연계 PIML 솔버 개발 180

1. 완화입자유체동역학(SPH) 기반 Geo-Flow 해석기술 개발 180

2. 입자군 데이터 특성공학 및 신경망 설계 190

3. PIML 시뮬레이터 S/W 개발 198

제4절 지오빅데이터 수집 및 구축 기술 개발 209

1. GeoAI 플랫폼용 파일 전처리 사용자함수 개발 209

2. 강진동 파형 데이터셋 구축 221

3. 암석 박편 이미지 데이터셋 구축 226

4. 국내 지질환경데이터 수집 229

5. 국내 전기비저항 측정자료, 역산모델, 시추공 정보 수집 237

제5절 GeoAI 플랫폼 중장기 발전 전략 수립을 위한 수요 분석 242

1. 연구의 목적 및 개요 242

2. 선행 연구 분석 및 설문 설계 243

3. 수요 조사 결과 250

4. 요약 및 시사점 25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57

제1절 목표달성도 257

1. 단계 연구 목표의 달성도 257

2. 당해연도 목표의 달성도 258

제2절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59

1. 기술적 측면 259

2. 경제·산업적 측면 260

3. 정책적 측면 260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및 발전전략 261

제1절 연구개발결과 활용 계획 261

제2절 플랫폼 발전 및 데이터 확보 전략 262

1. GeoAI 플랫폼의 향후 발전 전략 262

2. 장기적 연구데이터 확보 전략 262

제6장 참고 문헌 263

뒷표지 269

이용현황보기

지오빅데이터 구축 및 지질자원분야 GeoAI 활용 플랫폼 개발 = Construction of geo-bigdata and development of GeoAI platform for the application in the fields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82100 553.0285 -2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82101 553.0285 -2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