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주한미군기지이전 기술자료집을 발간하며 / 안영호 4
기술자료집 발간에 대한 자문위원 등의 추천서 / 박찬식 ; 김예상 ; 김옥규 ; 장현승 ; 강승모 ; 김우영 ; 백명창 ; Judson Joyner 5
목차 7
1. 건설 기술 22
I. 기술분야 개요 23
1. 기술관리 수행기준 및 특성 23
2. 3단계 통제 절차 25
II. 토목분야 기술관리 27
1. YRP사업 토목공사 개요 27
2. 토목공사 주요 공종 및 시공사례 소개 35
3. 부대토목 공사기준 및 특성 83
4. 부지조성공사 시공 개선사례(VMF040 프로젝트) 85
5. 평택 팽성대교 확장공사 기술자료 94
2. 건축분야 기술관리 108
I. 건축분야 기술관리 109
1. YRP 사업 건축공사 개요 109
2. 건축공사 주요 공종 및 시공사례 소개 111
3. 건축결함사항 분석(워크샵 사례) 188
4. 결론 및 교훈 201
3. 기계분야 기술관리 204
I. 기계분야 기술관리 205
1. 기계공사 개요 205
2. 기계공사 주요 공정 205
3. 기타 시스템 222
4. 공통결함사항 및 워크샵 사례 238
4. 전기분야 기술관리 274
I. 전기분야 기술관리 275
1. YRP 사업에 적용되는 기술 기준 275
2. 용산기지이전(YRP) 사업 적용 특화시스템 소개 279
3. 전기공사 결함사항 조치 사례 358
5. 소방분야 기술관리 370
I. 소방분야 기술관리 371
1. YRP 사업 소방공사 개요 371
2. 소방공사 주요 공종 소개 372
3. 소방시설 인수인계 절차 및 결함사항 대책 440
4. 결론 451
약어 정리 453
YRP 총괄흐름도(YRP Master Flow Map) 467
판권기 470
뒷표지 471
1. 건설 기술 27
그림 2-1. YRP LDUI 공사구역 항공사진 27
그림 2-2. 각 공구의 부지면적 28
그림 2-3. 외부시설 연결 현황 29
그림 2-4. 2011년 다운타운 이전배치 개념도 31
그림 2-5. 2011MP 전후 시설배치 비교표 32
그림 2-6. 토목공사 프로젝트별 시설현황 35
그림 2-7. 부지조성 현황 36
그림 2-8. 부지계획 단면도 37
그림 2-9. 부지계획고 결정 프로세스 38
그림 2-10. 부지계획고 변경현황 39
그림 2-11. 토질별 동결코드 40
그림 2-12. 토공 시공순서 41
그림 2-13. 한미간 부지계획고 적용기준 42
그림 2-14. 지반개량 시공 사진 43
그림 2-15. 안성천의 하도 이력 분석 44
그림 2-16. 지층분포현황 44
그림 2-17. 연약지반 처리기준 45
그림 2-18. 토공 및 지반개량 흐름별 관리기준 45
그림 2-19. 설계 및 역해석 결과 비교 46
그림 2-20. 지반정수 역해석 결과분포 47
그림 2-21. 지반정수 역해석 결과를 이용한 침하량 추정 47
그림 2-22. 기지내 배수계통도 48
그림 2-23. 기지내 저류지역 현황 50
그림 2-24. 우수관로 접합부 연결 사례 53
그림 2-25. 기지내 오수처리 계통도 53
그림 2-26. 오수관로 시공 현황도 55
그림 2-27. 오수시설 시공 사례 55
그림 2-28. 오수맨홀 인버트 시공 사례 58
그림 2-29. 사업부지내 상수도 공급계통도 58
그림 2-30. 기지내 상수관망 및 고가수조 설치 현황도 61
그림 2-31. 상수관로 및 고가수조 설치 전경 61
그림 2-32. YRP 옥외소화전 설치 사례 63
그림 2-33. 터파기 및 기초공사 시공 사진 64
그림 2-34. 험프리 기지 내 도로 현황 68
그림 2-35. 주간선 도로 횡단구성 71
그림 2-36. 파형 종단 곡선 72
그림 2-37. OS041 철도차량기지 시공 사례 73
그림 2-38. 철도조차장 부지계획고 변경(평면 및 단면도) 75
그림 2-39. 포장방법별 합성입도 분포도 78
그림 2-40. 레미콘 포설 및 진동기에 대한 현장관리 전경 79
그림 2-41. PCC 타설후 양생기간 별 휨강도시험 결과 및 시료파괴 형상 80
그림 2-42. PCC 코어의 할렬 인장강도 시험 81
그림 2-43. 미국 장애인 보호법 적용 사례 83
그림 2-44. VMF040의 토공사 단면도 88
그림 2-45. 현장시험 시료채취 위치 89
그림 2-46. 고결재 30㎝ 치환(기초안정처리 공법) 93
그림 2-47. 팽성대교 확장공사 위치도 94
그림 2-48. 팽성대교 확장공사 노선도 95
그림 2-49. PUS 거더 개요도 96
그림 2-50. PUS 거더 제작 및 가설 현황 97
그림 2-51. RCD 공법 개요도 98
그림 2-52. RCD를 이용한 교량기초 시공 현황 99
그림 2-53. GTB 가설교량의 특징 100
그림 2-54. GTB 가설교량 시공 현황 101
그림 2-55. LRB 교량받침 구성도 102
그림 2-56. LRB 교량받침 시공 현황 103
그림 2-57. LB deck 설치 모식도 103
그림 2-58. LB deck 시공 현황 104
2. 건축분야 기술관리 110
그림 1-1. YRP 시설물 전경 110
그림 2-1. 사병숙소(Barracks) 골조작업 조닝도 112
그림 2-2. 사병숙소(Barracks) 단면도 113
그림 2-3. 트레미관 작업공간 확보 위한 방안 114
그림 2-4. 철근이음위치 변경 114
그림 2-5. 트래미관 설치위치 115
그림 2-6. 트래미관을 사용한 콘크리트 타설의 예 118
그림 2-7. 치장벽돌쌓기 시공 사례 125
그림 2-8. Air Barrier 주요 자재 128
그림 2-9. Air Barrier 시공 사례 129
그림 2-10. Air Barrier 시험 사진 129
그림 2-11. EIFS 시공개념도 130
그림 2-12. Mesh 및 Base Coat 시공 사진 133
그림 2-13. Carlisle Fully-Adhered Roofing Systems 개념도 137
그림 2-14. Insulation & Cover Board의 조합 시공사례 140
그림 2-15. 지붕 방수공사 부자재 카달로그 141
그림 2-16. EPDM 시공 사진 144
그림 2-17. EPDM 시공 상세도 146
그림 2-18. SSSMR Seam 방법 153
그림 2-19. SSSMR Mechanical Lock 시스템 153
그림 2-20. Double Lock System 개념도 154
그림 2-21. 방화벽 표기 위치계획서 164
그림 2-22. 노출벽 및 천장내부 방화벽 표기 사례 164
그림 2-23. 관통부 및 이질벽체 접합부 방화실런트 계약자례 165
그림 2-24. 방화벽 제3기관 확인점검 및 보고서 165
그림 2-25. Key Meeting 회의록 168
그림 2-26. Key Schedule Sample 168
그림 2-27. Handling 방향에 따른 용어 169
그림 2-28. Mortise Type 169
그림 2-29. Cylindrical Type 169
그림 2-30. NRP Butt Hinge 171
그림 2-31. 미국 표준 Butt Hinge 설치위치 171
그림 2-32. Regular Arm과 Parallel Aram 172
그림 2-33. Vertical Rod Type 172
그림 2-34. Rim Type 172
그림 2-35. 일반 경력벽체 시공상세도 176
그림 2-36. Metal Lath 설치상세도 및 설치사례 179
그림 2-37. Gypsum Board 천장 상세도 180
그림 2-38. Gypsum Board 천장 주요자재 구성 180
그림 2-39. GCWT Trim 종류 182
그림 2-40. Quarry Tile Isometric 182
그림 2-41. 벽 및 바닥타일 시공 특기사항 184
그림 2-42. Tile Joint 시공도면 사례 184
그림 2-43. 계약도면 평면도 및 입면도 187
그림 2-44. 변경도면 시공 사진 187
3. 기계분야 기술관리 207
그림 2-1. 공조기 자동제어 화면 207
그림 2-2. 냉동기 시스템 208
그림 2-3. 열회수 시스템 자동제어 화면 209
그림 2-4. 보일러 자동제어 시스템 211
그림 2-5. 휠형 전열교환기 자동제어 시스템 212
그림 2-6. 공조기 자동제어 시스템 213
그림 2-7. 배기휀 자동제어 시스템 215
그림 2-8. 가변 풍량 조정기 시스템 216
그림 2-9. TAB 주요 측정 장비 220
그림 2-10. 시운전 업무 흐름도 221
그림 2-11. 시운전 조직 221
그림 3-1. 용접 절차 사양(WPS) 양식 223
그림 3-2. 용접절차확인문서(WPQR) 양식 224
그림 3-3. 피복아크용접-수동용접 225
그림 3-4. 불활성아크용접-자동용접 225
그림 3-5. 불활성아크용접-TIG 용접 226
그림 3-6. 브리지 캠 게이지 227
그림 3-7. 하이로 게이지 227
그림 3-8. AWS 용접게이지#6 228
그림 3-9. 조절형 사면 용접게이지#3 228
그림 3-10. 경사모서리 용접게이지#9 228
그림 3-11. 용접 휠렛 게이지 228
그림 3-12. 용접결함 유형별 사례 229
그림 3-13. 소화배관 내진설비 사례 232
그림 3-14. 지진분리장치 설치 사례 233
그림 3-15. 관말 흔들림 방지대 설치 사례 233
그림 3-16. 종방향 흔들림 방지대 설치 사례 234
그림 3-17. 종방향 및 양방향 흔들림 방지대 설치 사례 234
그림 3-18. 기타 내진설계 사례 235
그림 3-19. 랙 냉각시스템 236
그림 3-20. CO₂ 분해시스템 236
그림 3-21. 무정전 전원공급 시스템 237
그림 3-22. 충격방지 시스템 237
4. 전기분야 기술관리 280
그림 2-1. 비콘힐 변전소 전력배전시스템 단선도 280
그림 2-2. 주 변전소 전력배전시스템 단선도 281
그림 2-3. 험프리기지 전력배전시스템 281
그림 2-4. 3개 스위치반 배전계통도 283
그림 2-5. 주 변전소 단선도 289
그림 2-6. 회로보호 다이아그램 291
그림 2-7. VCB(회로 차단기)와 VCB간 시간 간격 294
그림 2-8. VCB(회로 차단기)와 VCB간 시간 간격 294
그림 2-9. SCADA 시스템 305
그림 2-10. P2A 및 기존기지 지역 SCADA 시스템 분포 현황 306
그림 2-11. P2B 지역 전력계통 SCADA 시스템 분포 현황 307
그림 2-12. 험프리기지 SCADA 개념도 308
그림 2-13. 회로보호 계전기 구성 308
그림 2-14. 자동화 회로망 통신체계 개요 및 동작순서 309
그림 2-15. 전력배전계통 SCADA 시스템 구성 및 상세 310
그림 2-16. 험프리기지 SCADA 시스템 전체구성도 311
그림 2-17. 관제실 소프트웨어 표출 메뉴(주 메뉴 화면) 312
그림 2-18. 관제실 소프트웨어 표출 메뉴... 312
그림 2-19. 관제실 소프트웨어 표출 메뉴(차단기 상태표시 화면) 313
그림 2-20. 관제실 소프트웨어 표출 메뉴(보호계전기 상태표시 화면) 313
그림 2-21. DRUPS 구성도 315
그림 2-22. DRUP 설치 현황도 316
그림 2-23. NO-BREAK KS 장비 구성 316
그림 2-24. NO-BREAK KS 장비-조절모드 운전도 317
그림 2-25. NO-BREAK KS 장비-독립모드에서의 전환 318
그림 2-26. NO-BREAK KS 장비-독립모드 운전도 319
그림 2-27. NO-Break KS-SB2 320
그림 2-28. NO-Break KS-SB1 321
그림 2-29. NO-Break KS-SB0 321
그림 2-30. 3개로 구성된 고압시스템 322
그림 2-31. 분산형 이중구성 323
그림 2-32. 병렬 이중구성 324
그림 2-33. KS-VISION HMI : 홈페이지 화면 / 전기적인 측정값 표출화면 325
그림 2-34. KS-VISION HMI : KS 측정치 화면 / 경보 데이타 이력 표출화면 325
그림 2-35. NO-BREAK KS 시스템 성능 및 사양 327
그림 2-36. 전원계통 발전기 단선도 340
그림 2-37. UPS 구성 단선도 357
5. 소방분야 기술관리 373
그림 2-1. 상수라인과 고가수조와의 조합시스템 373
그림 2-2. 역류 방지 장치 374
그림 2-3. PIV 374
그림 2-4. 고가 저수조 374
그림 2-5. 유수 시험 실시방법 374
그림 2-6. 유수시험 장소 374
그림 2-7. 유수시험 보고서 375
그림 2-8. 옥외에 설치된 펌프하우스 379
그림 2-9. 펌프 시스템 구성도 381
그림 2-10. 펌프 인입배관 배열 388
그림 2-11. 펌프 압력 감지장치 389
그림 2-12. 저수조 ANTI-VORTEX 390
그림 2-13. FINAL ACCEPTANCE TEST REPORT 394
그림 2-14. 습식스프링클러 SYSTEM RISER 400
그림 2-15. ESFR 설치 400
그림 2-16. 차수판 403
그림 2-17.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시스템 405
그림 2-18. 인랙 스프링클러 설치 및 스프링클러헤드 차수판설치 사례 405
그림 2-19. SEISMIC BRACING CALCULATIONS 406
그림 2-20. Load Calculation 407
그림 2-21. 스프링클러 시공상세도 예 407
그림 2-22. 가요성 커프링 설치기준 408
그림 2-23. 가요성 커플링과 급수관 연결 시 408
그림 2-24. Seismic separation assembly 409
그림 2-25. Flexible coupling 409
그림 2-26. 창고시설 선반과 건물과의 유연성 처리 409
그림 2-27. 종방향 및 횡방향 흔들림 방지대 411
그림 2-28. 입상관 4-Way Bracing 412
그림 2-29. Seismic Separation Assembly 412
그림 2-30. 4-way sway bracing 시공 412
그림 2-31. 가지배관 고정 시공상세도 413
그림 2-32. Branch line restraint 413
그림 2-33. FA/MNS 시스템 결선도 417
그림 2-34. FA/MNS 시스템 구성도 417
그림 2-35. SPEAKER & STROBE 418
그림 2-36. 수동 발신기 418
그림 2-37. TEXT DISPLAY 418
그림 2-38. COMBINATION FA/MNS 시스템 420
그림 2-39. FMCP 및 LOC 421
그림 2-40. CIS Test Report 422
그림 2-41. 소방대 BT Zone List 423
그림 2-42. Flow control valve 426
그림 2-43. 포 원액 및 포 원액 탱크 426
그림 2-44. 포혼합기 및 설치도 427
그림 2-45. 스프링클러 감압밸브 427
그림 2-46. 포 방출구 구성도 및 설치 예 428
그림 2-47. 불꽃감지기 428
그림 2-48. START/STOP STATION 428
그림 2-49. BLUE BEACON 428
그림 2-50. 고 팽창폼 시스템 구성도 429
그림 2-51. Fire Test Plan 및 위치 430
그림 2-52. 비행기 실루엣과 1미터 콘 431
그림 2-53. 포 방출 시작 431
그림 2-54. 포 방출 중 및 완료 431
그림 2-55. 포 원액 채취, 포 수용액 Conductivity 검사, 발포된 포 농도 측정 432
그림 2-56. 포 농도 측정 검사표 432
그림 2-57. Refractive index와 Percent Concentration 433
그림 2-58. HEF SYSTEM TEST REPORT 434
그림 2-59. 청정소화약제 시스템 설치 사례 436
그림 2-60. Room Integrity Test 438
그림 2-61. DOOR FAN TEST REPORT 439
그림 2-62. DOOR FAN TEST GRAPH: 침강시간 439
그림 3-1. 시험절차 및 일정 442
Additional Explanation목차 21
1. 건설 기술 40
Additional Explanation 1. 토질별 동결민감도와 동결코드 40
Additional Explanation 2. 포장공사 설계프로그램(PCASE) 및 설계강도법(RSS) 70
2. 건축분야 기술관리 116
Additional Explanation 1. 트래미관 설치 시공사례 116
Additional Explanation 2. EPDM하자 원인분석 및 보수대책 사례 147
Additional Explanation 3. 방화설계 착오로 인한 재시공 사례 166
Additional Explanation 4. 차음경량벽체 시공 사례 177
Additional Explanation 5. 장애인 화장실 설계변경 사례 186
4. 전기분야 기술관리 335
Additional Explanation 1. 비상발전기 용량산정 계산 예시 335
Additional Explanation 2. C4I060 건물에 적용된 비상발전설비 설치 현황 339
Additional Explanation 3. C4I060 건물에 적용된 무 정전 전원설비(UPS) 상세 356
Sidebar목차 21
Sidebar 1. 부지계획고 적용기준에 대한 한·미간 검토 42
Sidebar 2. 연약지반 역해석을 통한 토공설계 최적화 46
Sidebar 3. LDUI-Vertical 프로젝트간 오수관로 접속부 단차에 대한 해소사례 56
Sidebar 4. 소화전 시험 압력 적용규정에 대한 처리절차 62
Sidebar 5. 철로 배선길이 및 구배연장을 통해 부지계획고 조정 사례 7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893102 | 355.70951 -22-1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93103 | 355.70951 -22-1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93104 | 355.70951 -22-1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93105 | 355.70951 -22-1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93106 | 355.70951 -22-1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93107 | 355.70951 -22-1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93108 | 355.70951 -22-1 | v.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93109 | 355.70951 -22-1 | v.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93110 | 355.70951 -22-1 | v.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93111 | 355.70951 -22-1 | v.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