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요약문 16
ABSTRACT 18
제1장 서론 20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1.1.1. 연구의 배경 20
1.1.2. 연구의 필요성 23
1.1.3. 연구의 목적 26
1.2. 연구내용 및 범위 27
제2장 문헌연구 30
2.1. 국내 비점오염저감시설 관리 현황 30
2.1.1. 비점오염원 및 시설의 정의 31
2.1.2.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종류 및 특성 32
2.2. 국외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사례 33
2.2.1. 선행연구 33
2.2.2. BMPs 시설별 유지관리 37
제3장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현황 분석 51
3.1. 전국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현황 51
3.2. 전국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전수조사 55
3.2.1. 현장조사방법 55
3.2.2. 비점오염저감시설 현장점검 결과 62
3.3. 유지관리 담당자 설문조사 70
3.3.1. 조사 방법 70
3.3.2.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담당자 설문조사 결과 71
제4장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모니터링 92
4.1. 비점오염저감시설 모니터링 92
4.1.1. 비점오염저감시설 개보수 모니터링 개요 92
4.1.2. 모니터링 대상 시설 선정 95
4.1.3. 모니터링 방법 97
4.2. 비점오염저감시설 개보수 102
4.2.1. 소규모저류지 102
4.2.2. 모래여과시설 103
4.2.3. 식생수로 104
4.2.4. 침투도랑 106
4.3. 비점오염저감시설 모니터링 결과 108
4.3.1.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개요 108
4.3.2. 소규모 저류지 모니터링 결과 109
4.3.3. 모래여과시설 모니터링 결과 127
4.3.4. 식생수로 모니터링 결과 145
4.3.5. 침투도랑 모니터링 결과 162
4.4. 비점오염시설 개보수 효과평가 177
4.4.1. 비점오염저감시설 개보수 효과 평가 방법 177
4.4.2.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효과 평가 178
4.4.3.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효과 평가 181
4.4.4. 식생수로 개보수 효과 평가 184
4.4.5. 침투도랑 개보수 효과 평가 187
제5장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관리체계 수립 190
5.1.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비용 산정 190
5.2. 설계 메뉴얼 작성 192
5.3. 유지관리 매뉴얼 작성 198
5.3.1. 유지관리 기준 마련 198
5.3.2. 유지관리 메뉴얼 작성 200
5.4. 개보수 기준(안) 203
제6장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207
6.1.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207
6.1.1. 배경 및 필요성 207
6.1.2.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의 문제 207
6.1.3. QR(Quick Response)code 208
6.2. 유지관리 시스템화 방안 210
6.2.1. 유지관리 시스템 개요 210
6.2.2. 유지관리 시스템 세부계획(안) 211
6.2.3. 유지관리 시스템 앱(Application) 개발(안) 213
6.2.4. 유지관리 시스템의 기대효과 216
제7장 요약 및 결론 217
7.1.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현황 분석 217
7.2.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모니터링 217
7.3.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관리체계 수립 219
7.4.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220
참고문헌 221
Appendix 224
도서정보(INFORMATION) 232
보고서 집필 내역 234
판권기 235
뒷표지 236
그림 1.1.1. [그림없음] 11
그림 1.1.2. 한국도로공사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문제점 25
그림 1.1.3. 과업의 목적 26
그림 1.2.1. 주요 연구 내용 및 수행절차 28
그림 2.2.1. BMP 유지관리 피라미드 34
그림 2.2.2. 주기적인 유지관리에 필요한 작업소요시간 34
그림 3.1.1. 전국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 현황 1 53
그림 3.1.2. 전국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 현황 2 54
그림 3.2.1. 비점오염저감시설 GIS 분석 56
그림 3.2.2. 전수조사를 위한 점검양식의 간소화 58
그림 3.2.3. 현장점검표 (1/2)[원문불량;p.40] 59
그림 3.2.4. 비점오염저감시설 미조사 사례 63
그림 3.2.5. 비점오염저감시설 현장점검 평과결과 69
그림 3.2.6.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필요 시설 사례 69
그림 3.3.1. 유지관리 담당자 인터뷰 70
그림 4.1.1. 모니터링 및 개보수 절차 92
그림 4.1.2. 도로퇴적물내 중금속 함유량에 대한 문헌조사 결과 분석 94
그림 4.1.3. 비점오염저감시설에서 시료채취지점과 유량측정지점 97
그림 4.1.4. 프로펠러 유속계(3000-LX) 100
그림 4.1.5. 유량측정방법 100
그림 4.1.6. 유량 및 수질모니터링 101
그림 4.2.1.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전 현황 102
그림 4.2.2. 소규모저류지 유입부청소 및 상부그레이팅 덮개설치 102
그림 4.2.3. 소규모저류지 유입부 구조개선 및 식생관리 103
그림 4.2.4.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전 현황 103
그림 4.2.5. 모래여과시설 여과조 준설 및 여재교체 104
그림 4.2.6. 모래여과시설 집수정 준설 및 청소 104
그림 4.2.7. 식생수로 개보수 이전 현황 105
그림 4.2.8. 식생수로 준설 및 식재 105
그림 4.2.9. 식생수로 집수정 준설 및 배수로 정비 105
그림 4.2.10. 침투도랑 개보수 이전 현황 106
그림 4.2.11. 침투도랑 준설 및 여재교체 106
그림 4.2.12. 침투도랑 준설 및 여재교체 107
그림 4.3.1.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전 1차 모니터링 결과(1/2) 110
그림 4.3.2.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전 1차 모니터링 결과(2/2) 111
그림 4.3.3.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전 2차 모니터링 결과(1/2) 113
그림 4.3.4.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전 2차 모니터링 결과(2/2) 114
그림 4.3.5.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전 3차 모니터링 결과(1/2) 116
그림 4.3.6.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전 3차 모니터링 결과(2/2) 117
그림 4.3.7.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후 1차 모니터링 결과(1/2) 119
그림 4.3.8.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후 1차 모니터링 결과(2/2) 120
그림 4.3.9.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후 2차 모니터링 결과(1/2) 122
그림 4.3.10.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후 2차 모니터링 결과(2/2) 123
그림 4.3.11.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후 3차 모니터링 결과(1/2) 125
그림 4.3.12. 소규모저류지 개보수 이후 3차 모니터링 결과(2/2) 126
그림 4.3.13.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전 1차 모니터링 결과(1/2) 128
그림 4.3.14.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전 1차 모니터링 결과(2/2) 129
그림 4.3.15.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전 2차 모니터링 결과(1/2) 131
그림 4.3.16.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전 2차 모니터링 결과(2/2) 132
그림 4.3.17.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전 3차 모니터링 결과(1/2) 134
그림 4.3.18.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전 3차 모니터링 결과(2/2) 135
그림 4.3.19.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후 1차 모니터링 결과(1/2) 137
그림 4.3.20.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후 1차 모니터링 결과(2/2) 138
그림 4.3.21.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후 2차 모니터링 결과(1/2) 140
그림 4.3.22.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후 2차 모니터링 결과(2/2) 141
그림 4.3.23.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후 3차 모니터링 결과(1/2) 143
그림 4.3.24. 모래여과시설 개보수 이후 3차 모니터링 결과(2/2) 144
그림 4.3.25. 식생수로 개보수 이전 1차 모니터링 결과(1/2) 146
그림 4.3.26. 식생수로 개보수 이전 1차 모니터링 결과(2/2) 147
그림 4.3.27. 식생수로 개보수 이전 2차 모니터링 결과(1/2) 149
그림 4.3.28. 식생수로 개보수 이전 2차 모니터링 결과(2/2) 150
그림 4.3.29. 식생수로 개보수 이전 3차 모니터링 결과(1/2) 152
그림 4.3.30. 식생수로 개보수 이전 3차 모니터링 결과(2/2) 153
그림 4.3.31. 식생수로 개보수 이후 1차 모니터링 결과(1/2) 155
그림 4.3.32. 식생수로 개보수 이후 1차 모니터링 결과(2/2) 156
그림 4.3.33. 식생수로 개보수 이후 2차 모니터링 결과(1/2) 158
그림 4.3.34. 식생수로 개보수 이후 2차 모니터링 결과(2/2) 159
그림 4.3.35. 식생수로 개보수 이후 3차 모니터링 결과(1/2) 160
그림 4.3.36. 식생수로 개보수 이후 3차 모니터링 결과(2/2) 161
그림 4.3.37. 침투도랑 개보수 이전 1차 모니터링 결과(1/2) 163
그림 4.3.38. 침투도랑 개보수 이전 1차 모니터링 결과(2/2) 164
그림 4.3.39. 침투도랑 개보수 이전 2차 모니터링 결과(1/2) 166
그림 4.3.40. 침투도랑 개보수 이전 2차 모니터링 결과(2/2) 167
그림 4.3.41. 침투도랑 개보수 이전 3차 모니터링 결과(1/2) 169
그림 4.3.42. 침투도랑 개보수 이전 3차 모니터링 결과(2/2) 170
그림 4.3.43. 침투도랑 개보수 이후 1차 모니터링 결과(1/2) 171
그림 4.3.44. 침투도랑 개보수 이후 1차 모니터링 결과(2/2) 172
그림 4.3.45. 침투도랑 개보수 이후 2차 모니터링 결과(1/2) 173
그림 4.3.46. 침투도랑 개보수 이후 2차 모니터링 결과(2/2) 174
그림 4.3.47. 침투도랑 개보수 이후 3차 모니터링 결과(1/2) 175
그림 4.3.48. 침투도랑 개보수 이후 3차 모니터링 결과(2/2) 176
그림 5.1.1. 유지관리 비용 산정 절차 190
그림 5.1.2. 유지관리 비용 산정 결과 191
그림 5.2.1. 설계 매뉴얼 - 시설별 기준1(침투도랑) 193
그림 5.2.2. 설계 매뉴얼 - 시설별 기준2(침투도랑) 194
그림 5.2.3. 설계 매뉴얼 - 형식별 계산 예시(침투도랑) 195
그림 5.2.4. 설계 매뉴얼 - 표준도(침투도랑) 196
그림 5.2.5. 설계 매뉴얼 - 오류사례(침투도랑) 197
그림 5.3.1. 유지관리 목표설정 198
그림 5.3.2. 유지관리 매뉴얼 - 총칙 200
그림 5.3.3. 유지관리 매뉴얼 - 시설별 점검표 및 평가기준(소규모저류지) 201
그림 5.3.4. 유지관리 매뉴얼 - 시설별 관리기준(소규모저류지) 201
그림 5.3.5. 유지관리 매뉴얼 - 도로청소 202
그림 5.3.6. 유지관리 매뉴얼 - 개보수 사례 202
그림 5.4.1. 개보수 평가 기준 설정 203
그림 6.1.1. 비점오염저감시설 표지판 209
그림 6.2.2. 유지관리 시스템 개요 210
그림 6.2.3. 유지관리 시스템에 의한 유지관리 단계변화 211
그림 6.2.4.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211
그림 6.2.5. 신규 시설 등록(예시) 213
그림 6.2.6. 비점오염저감시설 정보 확인(예시) 214
그림 6.2.7. 체크리스트 작성 및 상태등급평가(예시) 215
그림 6.2.8. 통계분석(예시) 215
그림 6.2.9. 보고서 자동작성(예시) 21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00398 | 363.7394 -22-3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00399 | 363.7394 -22-3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