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아트컬처랩 조성 기본연구 연구진 4
목차 5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6
1. 연구배경 16
2. 연구목적 17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18
1. 연구범위 18
2. 연구방법 19
제2장 예술분야 환경변화와 아트컬처랩 조성의 필요성 24
제1절 예술분야 환경 변화와 대응현황 26
1. 예술분야 환경 변화 분석 26
2. 문화시설·공간 조성정책의 현황 및 한계 34
제2절 아트컬처랩의 의의 및 필요성 40
1. 예술+기술의 융합을 통한 디지털 전환 대응 40
2. 예술 기반 기업 등의 육성·성장을 위한 공간의 부재 53
3. 예술분야에 특화된 거점공간으로서 종합적 지원 플랫폼의 필요성 57
제3장 예술인 및 단체·기업의 수요분석 62
제1절 설문조사 개요 64
1. 설문조사 설계 64
2. 응답자 특성 65
제2절 관련 공간 및 사업 참여 경험 및 인식 68
1. 유사시설 이용 경험 68
2. 관련 지원사업 참여 경험 69
제3절 온라인 및 기술 관련 활동 현황 및 수요 71
1. 온라인 예술콘텐츠 창제작 참여 경험 및 수요 71
2. 예술+기술 융복합 창제작 참여 경험 및 수요 73
3. 창업 및 비즈니스 모델 시도 경험 및 수요 76
제4절 아트컬처랩 조성 및 운영방향에 대한 수요 78
1. 아트컬처랩의 주요 기능에 대한 수요 78
2. 아트컬처랩의 조성 및 운영방향에 대한 수요 79
3. 입지조건 및 이용의향 89
제5절 시사점 93
1. 아트컬처랩에 대한 예술인 및 예술기업 등의 수요 93
2. 아트컬처랩의 조성 및 운영방향의 시사점 94
제4장 국내·외 유사사례 분석 98
제1절 국내 유사사례 분석 100
1. 콘텐츠산업분야 100
2. 예술분야 136
제2절 해외 유사사례 분석 180
1. Watershed Media Centre 180
2. FACT(Foundation for Art and Creative Technology) 182
3. Le 104(Le Centquatre) 184
4. La Gaite Lyrique 187
5. Factory Berlin 190
6. Ars Electronica 192
7. Today at Apple Creative Studios 197
제3절 시사점 200
1. 유사시설의 비교 분석 200
2. 시사점 206
제5장 아트컬처랩 조성 기본구상 210
제1절 아트컬처랩 조성의 기본방향 설정 212
1. 아트컬처랩(Art-Culture Lab)의 비전과 미션, 목표와 기능 212
2. 운영프로그램의 방향성 215
3. 장소운영전략 및 공간 프로그래밍의 방향 216
제2절 아트컬처랩 운영방향 및 프로그램 구성방안 218
1. 운영 프로그램(안) 218
2. 운영체계(안) 239
제3절 아트컬처랩 공간 모형 구상 244
1. 도입기능간 관계설정 244
2. 스페이스 프로그램 245
3. 공간별 주요 내용 246
4. 배치 및 설계시 검토사항 265
5. 법규 검토사항 266
제4절 향후 추진방향 269
1. 시범모델 운영 269
2. 단계적 지역 거점 확산 269
참고문헌 272
부록 276
제1절 아트컬처랩 조성방향 설정을 위한 설문지 278
제2절 아트컬처랩 공간 및 장비 세부구상(안) 300
판권기 329
뒷표지 330
[그림 1-1] 연구의 수행방법 및 과정 22
[그림 2-1] 공연시설 및 단체 매출액(2012~2019) 30
[그림 2-2] 미술시장 거래규모(2009~2019) 31
[그림 2-3] 서울시 문화예술공간의 분포 38
[그림 2-4]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통합 홈페이지 41
[그림 2-5] 2020년 아트앤테크 활성화 창작지원사업 추진 결과 45
[그림 2-6] 2020년 아트앤테크 활성화 창작지원사업 사례 46
[그림 2-7] 아트앤테크 플랫폼 사이트 46
[그림 2-8] 예술과기술융합주간 사이트 47
[그림 2-9]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참여 경험(2020.1월~8월) 48
[그림 2-10]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관련 애로사항 48
[그림 2-11]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수익 49
[그림 2-12]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창·제작 참여경험[원문불량;p.37] 50
[그림 2-13] 향후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창·제작 참여의향 50
[그림 2-14]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전망 및 참여의향 50
[그림 2-15]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창작·제작 관련 필요한 지원에 대한 수요 51
[그림 2-16] 전문예술법인·단체 지정현황(2021.6) 53
[그림 2-17]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 소재지역 53
[그림 2-18] 예술기업 경영에 있어 가장 어려운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56
[그림 2-19] 예술기업 지원사업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56
[그림 2-20]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상담창구 모습 59
[그림 2-21] 콘텐츠분야 콘텐츠종합지원센터 59
[그림 4-1] 콘텐츠코리아랩과 기업지원센터 주요 기능 103
[그림 4-2] 콘텐츠코리아랩 기업육성센터 운영사무국 및 입주자 휴식 공간 107
[그림 4-3] 콘텐츠코리아랩 창작 지원 공간 및 공연장 108
[그림 4-4] 콘텐츠코리아랩 기업지원센터 성과(2014-2020) 110
[그림 4-5] 전북 콘텐츠기업지원센터 조직도 112
[그림 4-6] 전북 콘텐츠기업지원센터 체험 장비 117
[그림 4-7] 전북 콘텐츠기업지원센터 구축 장비 118
[그림 4-8] 콘텐츠인재캠퍼스 배출 인재 전시자료(2013-2020) 122
[그림 4-9] 글로벌게임허브센터 전경 126
[그림 4-10] 뉴콘텐츠센터 공간 현황 130
[그림 4-11] 스튜디오큐브 전경 133
[그림 4-12] 디지털매직스페이스 전경 135
[그림 4-13] 창제작센터의 정체성 137
[그림 4-14] ACT스튜디오1 내부 141
[그림 4-15] ACT스튜디오2 내부 142
[그림 4-16] ACT스튜디오2 내부 143
[그림 4-17] 술술센터 내부 149
[그림 4-18] 청년예술청 내부 153
[그림 4-19] 예술가의 집 층별 공간안내도 156
[그림 4-20] 창동레지던시 내부 159
[그림 4-21] 고양레지던시 내부 160
[그림 4-22] 4호기 공간 활용 계획 171
[그림 4-23] 5호기 공간 활용 계획 173
[그림 4-24] 부산 창의예술교육 랩 〈아이(AI)농악〉 프로그램 모형도 177
[그림 4-25] 제주 창의예술교육 랩 과업구조도 178
[그림 4-26] 경북 창의예술교육 랩 프로그램 연구방향 178
[그림 4-27] WaterShed Media Centre 공간 및 시설 181
[그림 4-28] WaterShed Media Centre 공간 및 시설 181
[그림 4-29] FACT 시설 및 프로그램 진행 사진 183
[그림 4-30] Le Centquatre 관련 이미지 186
[그림 4-31]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La Gaite Lyrique 공간 188
[그림 4-32] 게떼 리릭크 층별 구성 189
[그림 4-33] Factory Berlin 전경 및 프로그램 192
[그림 4-34] 아르크 일렉트로니카 협력 대학 및 행사 책임자 193
[그림 4-35]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전시 및 연구 이미지 195
[그림 4-36]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조직도 195
[그림 4-37]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전시 및 연구 이미지 196
[그림 4-38] 멘토로 참여하는 아티스트들 198
[그림 5-1] 아트컬처랩의 비전, 미션, 목표, 기능 216
[그림 5-2] 아트컬처랩의 기능 수행을 위해 필요한 운영 프로그램(안) 218
[그림 5-3] 참고사례: 홍릉 콘텐츠인재캠퍼스의 시설 및 장비 222
[그림 5-4] 2020년 파라다이스 아트랩 선정작 224
[그림 5-5] 청년예술청의 개방형 공유오피스 232
[그림 5-6] 위워크(WeWork) 코워킹 스페이스 232
[그림 5-7] 홍릉 콘텐츠코리아랩의 아카이빙 전시 238
[그림 5-8] 콘텐츠코리아랩(CKL)의 Biz센터 239
[그림 5-9] 아트컬처랩의 1단계 조직구성(안) 240
[그림 5-10] 아트컬처랩의 2단계 조직구성(안) 241
[그림 5-11] 아트컬처랩 도입기능 간 관계 24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03197 | 353.7 -22-3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03198 | 353.7 -22-3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