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아트컬처랩 조성 기본연구 연구진 4

목차 5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6

1. 연구배경 16

2. 연구목적 17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18

1. 연구범위 18

2. 연구방법 19

제2장 예술분야 환경변화와 아트컬처랩 조성의 필요성 24

제1절 예술분야 환경 변화와 대응현황 26

1. 예술분야 환경 변화 분석 26

2. 문화시설·공간 조성정책의 현황 및 한계 34

제2절 아트컬처랩의 의의 및 필요성 40

1. 예술+기술의 융합을 통한 디지털 전환 대응 40

2. 예술 기반 기업 등의 육성·성장을 위한 공간의 부재 53

3. 예술분야에 특화된 거점공간으로서 종합적 지원 플랫폼의 필요성 57

제3장 예술인 및 단체·기업의 수요분석 62

제1절 설문조사 개요 64

1. 설문조사 설계 64

2. 응답자 특성 65

제2절 관련 공간 및 사업 참여 경험 및 인식 68

1. 유사시설 이용 경험 68

2. 관련 지원사업 참여 경험 69

제3절 온라인 및 기술 관련 활동 현황 및 수요 71

1. 온라인 예술콘텐츠 창제작 참여 경험 및 수요 71

2. 예술+기술 융복합 창제작 참여 경험 및 수요 73

3. 창업 및 비즈니스 모델 시도 경험 및 수요 76

제4절 아트컬처랩 조성 및 운영방향에 대한 수요 78

1. 아트컬처랩의 주요 기능에 대한 수요 78

2. 아트컬처랩의 조성 및 운영방향에 대한 수요 79

3. 입지조건 및 이용의향 89

제5절 시사점 93

1. 아트컬처랩에 대한 예술인 및 예술기업 등의 수요 93

2. 아트컬처랩의 조성 및 운영방향의 시사점 94

제4장 국내·외 유사사례 분석 98

제1절 국내 유사사례 분석 100

1. 콘텐츠산업분야 100

2. 예술분야 136

제2절 해외 유사사례 분석 180

1. Watershed Media Centre 180

2. FACT(Foundation for Art and Creative Technology) 182

3. Le 104(Le Centquatre) 184

4. La Gaite Lyrique 187

5. Factory Berlin 190

6. Ars Electronica 192

7. Today at Apple Creative Studios 197

제3절 시사점 200

1. 유사시설의 비교 분석 200

2. 시사점 206

제5장 아트컬처랩 조성 기본구상 210

제1절 아트컬처랩 조성의 기본방향 설정 212

1. 아트컬처랩(Art-Culture Lab)의 비전과 미션, 목표와 기능 212

2. 운영프로그램의 방향성 215

3. 장소운영전략 및 공간 프로그래밍의 방향 216

제2절 아트컬처랩 운영방향 및 프로그램 구성방안 218

1. 운영 프로그램(안) 218

2. 운영체계(안) 239

제3절 아트컬처랩 공간 모형 구상 244

1. 도입기능간 관계설정 244

2. 스페이스 프로그램 245

3. 공간별 주요 내용 246

4. 배치 및 설계시 검토사항 265

5. 법규 검토사항 266

제4절 향후 추진방향 269

1. 시범모델 운영 269

2. 단계적 지역 거점 확산 269

참고문헌 272

부록 276

제1절 아트컬처랩 조성방향 설정을 위한 설문지 278

제2절 아트컬처랩 공간 및 장비 세부구상(안) 300

판권기 329

뒷표지 330

표목차 8

〈표 1-1〉 유사시설 현장방문 및 관계자 인터뷰 개요 20

〈표 1-2〉 전문가 및 사업관계자 대상 자문회의 개요 21

〈표 2-1〉 예술인 복지정책 예산(2020년~2021년) 33

〈표 2-2〉 전국 문화기반시설 현황(2020.1월 기준) 34

〈표 2-3〉 창작스튜디오의 기능별 분류 35

〈표 2-4〉 전국 광역문화재단이 운영하고 있는 문화예술공간/시설 현황 36

〈표 2-5〉 서울시 문화예술공간의 유형화 37

〈표 2-6〉 2021년 예술과 기술 융합지원사업 지원신청 유형 43

〈표 2-7〉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및 예술·기술 융합 지원사업 및 전용공간 현황 51

〈표 2-8〉 예술활동증명 완료 예술인의 지역별 분포(2021.6.1. 기준) 52

〈표 2-9〉 예술현장 성장기반 조성 사업 개요 53

〈표 2-10〉 예술기업 및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경제 조직 선정 현황 55

〈표 2-11〉 예술경영지원센터의 예술경영아카데미 프로그램 운영 현황(2021년 기준) 55

〈표 2-12〉 예술경영아카데미 교육참여접근성 및 교육운영지원만족도 결과(의견) 55

〈표 2-13〉 예술분야와 콘텐츠분야의 기능별 공간 비교 57

〈표 2-14〉 기존 예술분야 거점공간의 기능 및 한계 58

〈표 2-15〉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주요사업 및 전용공간 여부 58

〈표 2-16〉 콘텐츠종합지원센터의 주요 업무 60

〈표 2-17〉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및 예술·기술 융합 지원사업 및 전용공간 현황 60

〈표 2-18〉 예술분야 교육, 창업·창직, 상담 지원사업 및 전용공간 현황 60

〈표 3-1〉 아트컬처랩 조성방향 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개요 64

〈표 3-2〉 예술인 응답자의 주요 특성 65

〈표 3-3〉 예술기업 및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경제조직 응답기관의 주요 특성 67

〈표 3-4〉 유사시설(공간) 이용 경험 68

〈표 3-5〉 관련 사업 참여 경험 70

〈표 3-6〉 온라인 예술콘텐츠 창·제작 참여 경험 71

〈표 3-7〉 온라인 예술콘텐츠의 창제작에 활용한 공간 71

〈표 3-8〉 온라인 예술콘텐츠 창작/제작 비참여 이유(1순위) 72

〈표 3-9〉 온라인 예술콘텐츠의 창작/제작을 위한 공공스튜디오의 필요성 72

〈표 3-10〉 예술+기술 융복합 프로젝트 참여 경험 73

〈표 3-11〉 예술+기술 융복합 프로젝트에서 활용한 기술(복수응답) 73

〈표 3-12〉 예술+기술 융복합 프로젝트 시 활용 공간 74

〈표 3-13〉 관심이 있거나 향후 활용하고 싶은 기술 75

〈표 3-14〉 예술+기술 융합 프로젝트 창작/제작을 위한 공공공간의 필요성 76

〈표 3-15〉 예술기반 창업 또는 사업화 시도 경험 및 향후 의향 76

〈표 3-16〉 예술기반 창업 및 예술활용 사업화(상품화) 과정에서 가장 힘들었던 점 77

〈표 3-17〉 예술인의 아트컬처랩 주요 기능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78

〈표 3-18〉 예술기업 및 사회적경제 조직의 아트컬처랩 주요 기능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79

〈표 3-19〉 아이디어의 공유·협업·네트워킹을 위한 아트컬처랩 조성·운영방향 80

〈표 3-20〉 예술+기술 융복합 창제작 지원을 위한 아트컬처랩 조성·운영방향 81

〈표 3-21〉 아트컬처랩에 구비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장비 및 설비 82

〈표 3-22〉 예술기업 및 사회적경제 조직의 인큐베이팅·엑셀러레이팅에 필요한 지원 84

〈표 3-23〉 아트컬처랩 입주공간 제공이 필요한 단계 85

〈표 3-24〉 아트컬처랩 입주공간에 필요한 공간 및 시설 85

〈표 3-25〉 아트컬처랩 입주공간 선호규모 86

〈표 3-26〉 예술분야 환경변화에 따라 새로 요구되는 전문역량 제고 교육과정에 대한 선호 86

〈표 3-27〉 선호하는 교육방식 88

〈표 3-28〉 예술인·단체·기업에 필요한 종합지원·상담기능 89

〈표 3-29〉 아트컬처랩의 입지조건에 대한 선호 90

〈표 3-30〉 향후 아트컬처랩 이용의향 90

〈표 3-31〉 아트컬처랩 기능별 이용의향 선호도 91

〈표 3-32〉 아트컬처랩 이용 시간에 대한 선호 91

〈표 4-1〉 콘텐츠코리아랩 연혁 100

〈표 4-2〉 콘텐츠코리아랩 주요 사업 및 계획안(2021년 기준) 105

〈표 4-3〉 서울 콘텐츠코리아랩 공간 구성 106

〈표 4-4〉 전용 제작시설별 보유 전문장비 108

〈표 4-5〉 전북 콘텐츠기업지원센터 공간 구성 114

〈표 4-6〉 전북 콘텐츠기업지원센터 장비 구성 115

〈표 4-7〉 지역기반형 콘텐츠코리아랩 주요 운영 성과(2018-2019년도 기준) 115

〈표 4-8〉 콘텐츠인재캠퍼스 시설 구성 120

〈표 4-9〉 콘텐츠인재캠퍼스 공간 세부 구성 121

〈표 4-10〉 글로벌게임허브센터 연혁 125

〈표 4-11〉 디지털매직스페이스 연혁 133

〈표 4-12〉 ACC 창제작센터 운영 프로그램 138

〈표 4-13〉 ACC_R 프로그램 138

〈표 4-14〉 ACC_R 지원사항 139

〈표 4-15〉 창제작 스튜디오별 면적 140

〈표 4-16〉 개관 당시 장비구입비 145

〈표 4-17〉 개관 이후 연간 장비 유지·보수비 145

〈표 4-18〉 술술센터 층당 면적 148

〈표 4-19〉 창동레지던시 시설 개요 159

〈표 4-20〉 고양레지던시 시설 개요 160

〈표 4-21〉 공예메이커 스페이스 기능 및 역할 162

〈표 4-22〉 공예메이커스페이스 지원예산 163

〈표 4-23〉 공예메이커스페이스 예산사용 범위 163

〈표 4-24〉 공연예술연습공간 개설지역 165

〈표 4-25〉 지역별 공연예술연습공간 위탁 운영기관 165

〈표 4-26〉 운영 연차별 지원예산액 비율 166

〈표 4-27〉 음악창작소 연도별 개소 현황 167

〈표 4-28〉 지역별 음악창작소 위탁 운영기관 167

〈표 4-29〉 음악창작소별 주요 프로그램 168

〈표 4-30〉 음악창작소별 시설개요 168

〈표 4-31〉 꿈꾸는 예술터 유형별 지원예산 175

〈표 4-32〉 썽꺄트르 공간 구성 185

〈표 4-33〉 게떼 리릭크 진행 프로그램 189

〈표 4-34〉 Factory Berlin 멤버십 191

〈표 4-35〉 Ars Electronica 개요 193

〈표 4-36〉 퓨처랩(Future Lab) 운영 프로그램 194

〈표 4-37〉 유사시설의 비교 200

〈표 5-1〉 아트컬처랩의 기능 수행을 위해 필요한 공간의 방향성 217

〈표 5-2〉 아트컬처랩의 운영프로그램(안)의 주요 내용 218

〈표 5-3〉 예술기업 성장지원사업 및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경제조직 활성화 지원사업 주요내용 225

〈표 5-4〉 예술경영지원센터 창업보육 프로그램 중 교육 및 컨설팅 교육내용 227

〈표 5-5〉 예술경영아카데미 교육과정(안) 229

〈표 5-6〉 참고사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인력양성사업 개요 230

〈표 5-7〉 아트컬처랩 공유DB의 주요 내용 237

〈표 5-8〉 1단계 조직의 주요업무(안) 240

〈표 5-9〉 2단계 조직의 주요업무(안) 241

〈표 5-10〉 아트컬처랩 중장기 프로그램 예산(안)〉 242

〈표 5-11〉 기능별 공간 및 소요면적(안) 245

〈표 5-12〉 VR/AR/XR 스튜디오 246

〈표 5-13〉 모션캡쳐 스튜디오 248

〈표 5-14〉 영상촬영 스튜디오 249

〈표 5-15〉 크로마키 스튜디오 251

〈표 5-16〉 녹음(사운드) 스튜디오 253

〈표 5-17〉 1인 미디어실 254

〈표 5-18〉 편집실 256

〈표 5-19〉 블랙박스형 피칭 및 시연공간 257

〈표 5-20〉 목공방 258

〈표 5-21〉 금속공방 258

〈표 5-22〉 Art & Tech 아카데미 교육실 259

〈표 5-23〉 입주공간 및 공유오피스 공간 260

〈표 5-24〉 예술경영아카데미 교육공간 261

〈표 5-25〉 개방형 네트워킹 공간 및 까페 261

〈표 5-26〉 쇼륨/팝업스토어/전시 등 홍보·마케팅 공간 262

〈표 5-27〉 Biz센터 및 (가칭)예술인종합지원센터 등 상담·컨설팅 공간 263

〈표 5-28〉 전체 공간별 조성면적 및 예산 종합 264

그림목차 12

[그림 1-1] 연구의 수행방법 및 과정 22

[그림 2-1] 공연시설 및 단체 매출액(2012~2019) 30

[그림 2-2] 미술시장 거래규모(2009~2019) 31

[그림 2-3] 서울시 문화예술공간의 분포 38

[그림 2-4]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통합 홈페이지 41

[그림 2-5] 2020년 아트앤테크 활성화 창작지원사업 추진 결과 45

[그림 2-6] 2020년 아트앤테크 활성화 창작지원사업 사례 46

[그림 2-7] 아트앤테크 플랫폼 사이트 46

[그림 2-8] 예술과기술융합주간 사이트 47

[그림 2-9]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참여 경험(2020.1월~8월) 48

[그림 2-10]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관련 애로사항 48

[그림 2-11]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수익 49

[그림 2-12]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창·제작 참여경험[원문불량;p.37] 50

[그림 2-13] 향후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창·제작 참여의향 50

[그림 2-14]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전망 및 참여의향 50

[그림 2-15] 온라인·비대면 콘텐츠 창작·제작 관련 필요한 지원에 대한 수요 51

[그림 2-16] 전문예술법인·단체 지정현황(2021.6) 53

[그림 2-17]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 소재지역 53

[그림 2-18] 예술기업 경영에 있어 가장 어려운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56

[그림 2-19] 예술기업 지원사업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56

[그림 2-20]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상담창구 모습 59

[그림 2-21] 콘텐츠분야 콘텐츠종합지원센터 59

[그림 4-1] 콘텐츠코리아랩과 기업지원센터 주요 기능 103

[그림 4-2] 콘텐츠코리아랩 기업육성센터 운영사무국 및 입주자 휴식 공간 107

[그림 4-3] 콘텐츠코리아랩 창작 지원 공간 및 공연장 108

[그림 4-4] 콘텐츠코리아랩 기업지원센터 성과(2014-2020) 110

[그림 4-5] 전북 콘텐츠기업지원센터 조직도 112

[그림 4-6] 전북 콘텐츠기업지원센터 체험 장비 117

[그림 4-7] 전북 콘텐츠기업지원센터 구축 장비 118

[그림 4-8] 콘텐츠인재캠퍼스 배출 인재 전시자료(2013-2020) 122

[그림 4-9] 글로벌게임허브센터 전경 126

[그림 4-10] 뉴콘텐츠센터 공간 현황 130

[그림 4-11] 스튜디오큐브 전경 133

[그림 4-12] 디지털매직스페이스 전경 135

[그림 4-13] 창제작센터의 정체성 137

[그림 4-14] ACT스튜디오1 내부 141

[그림 4-15] ACT스튜디오2 내부 142

[그림 4-16] ACT스튜디오2 내부 143

[그림 4-17] 술술센터 내부 149

[그림 4-18] 청년예술청 내부 153

[그림 4-19] 예술가의 집 층별 공간안내도 156

[그림 4-20] 창동레지던시 내부 159

[그림 4-21] 고양레지던시 내부 160

[그림 4-22] 4호기 공간 활용 계획 171

[그림 4-23] 5호기 공간 활용 계획 173

[그림 4-24] 부산 창의예술교육 랩 〈아이(AI)농악〉 프로그램 모형도 177

[그림 4-25] 제주 창의예술교육 랩 과업구조도 178

[그림 4-26] 경북 창의예술교육 랩 프로그램 연구방향 178

[그림 4-27] WaterShed Media Centre 공간 및 시설 181

[그림 4-28] WaterShed Media Centre 공간 및 시설 181

[그림 4-29] FACT 시설 및 프로그램 진행 사진 183

[그림 4-30] Le Centquatre 관련 이미지 186

[그림 4-31]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La Gaite Lyrique 공간 188

[그림 4-32] 게떼 리릭크 층별 구성 189

[그림 4-33] Factory Berlin 전경 및 프로그램 192

[그림 4-34] 아르크 일렉트로니카 협력 대학 및 행사 책임자 193

[그림 4-35]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전시 및 연구 이미지 195

[그림 4-36]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조직도 195

[그림 4-37]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전시 및 연구 이미지 196

[그림 4-38] 멘토로 참여하는 아티스트들 198

[그림 5-1] 아트컬처랩의 비전, 미션, 목표, 기능 216

[그림 5-2] 아트컬처랩의 기능 수행을 위해 필요한 운영 프로그램(안) 218

[그림 5-3] 참고사례: 홍릉 콘텐츠인재캠퍼스의 시설 및 장비 222

[그림 5-4] 2020년 파라다이스 아트랩 선정작 224

[그림 5-5] 청년예술청의 개방형 공유오피스 232

[그림 5-6] 위워크(WeWork) 코워킹 스페이스 232

[그림 5-7] 홍릉 콘텐츠코리아랩의 아카이빙 전시 238

[그림 5-8] 콘텐츠코리아랩(CKL)의 Biz센터 239

[그림 5-9] 아트컬처랩의 1단계 조직구성(안) 240

[그림 5-10] 아트컬처랩의 2단계 조직구성(안) 241

[그림 5-11] 아트컬처랩 도입기능 간 관계 244

이용현황보기

아트 컬쳐랩(art-culture lab) 조성 기본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03197 353.7 -22-3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03198 353.7 -22-3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