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제출문 2

목차 3

약어 7

보고서 요약 9

Executive Summary 15

I. 서론 22

1. 타당성조사 목적 22

(1) 조사 배경과 목적 22

(2) 조사 대상과 내용 22

2. 타당성조사 방법 24

(1) 문헌조사 24

(2) 면담조사 24

(3) 현지조사 24

(4) 사례조사 25

II. 사업대상국 현황 26

1. 국가개황 26

(1) 기초 현황 26

(2) 인구 현황 27

(3) 사회경제개발 현황 29

(4) ODA 현황 30

2. 협력국 보건의료 현황 34

(1) 국가 보건의료계획 및 전략 34

(2) 건강수준 및 의료비 지출 37

(3) 보건의료 기관 현황 38

(4) 보건의료 인력 현황 40

(5) 감염병 현황 41

(6) 감염병 대응시스템 현황 42

(7) 시사점 44

3. 사업대상지역 보건의료 현황 45

(1) 일반현황 및 보건 현황 45

(2) 보건의료 기관 현황 45

(3) 감염병 관련 사업 현황 48

III. 사업내용 및 타당성 분석 53

1. 사업 내용 및 개요 53

(1) 사업명 및 사업목적 53

(2) 총 사업기간 및 규모 53

(3) 대상 지역 및 협력기관 53

(4) 수혜자(규모, 특성 등) 53

(5) 사업배경 및 필요성 53

(6) 사업내용 54

(7) 사업투입내용 54

2. 사업 타당성분석 57

(1) 협력국 개발전략, 이행 역량 분석 57

(2) 기술적 타당성 62

(3) 경제적 타당성 63

(4) 사회 문화적 타당성(협력국 제도 및 지역문화와의 조화) 64

(5) 사업 지속 가능성(사업 파급효과 및 지속가능성) 65

(6) 범분야 이슈(젠더, 환경 등) 66

(7) 지원성과 제고 가능성(기지원사업, 유무상, 무무상 연계 등) 67

3. 이해관계자 분석 69

4. 사업 수행 계획 71

(1) 사업개요 71

(2) 사업 목표 및 기대효과 71

(3) 사업 구성요소 71

(4) 사업 구성계획 74

(5) 위험분석 및 대처 전략 78

(6) 사업관리, 모니터링 및 평가(PDM 포함) 81

(7) 사후관리 83

(8) 기타(협력국 PCP 및 공식요청서한) 83

IV. 결론 및 제언 84

참고문헌 88

첨부. 주요 이해관계자 인터뷰 결과 92

판권기 116

[뒷표지] 117

표목차 5

〈표 1〉 캄보디아 개황 26

〈표 2〉 캄보디아 인구 현황 27

〈표 3〉 캄보디아 경제 지표 30

〈표 4〉 캄보디아 프로젝트 지원현황 30

〈표 5〉 2020년 캄보디아 보건 분야 지원 현황 32

〈표 6〉 캄보디아 보건 분야 사업 현황 33

〈표 7〉 캄보디아 국가전략개발계획 2019-2023 보건분야 지원영역 35

〈표 8〉 2019년 캄보디아 공공 보건 인력 현황 40

〈표 9〉 사업대상지역 인구 현황 45

〈표 10〉 사업대상지역 공공 보건의료 기관 현황 46

〈표 11〉 KOICA 캄보디아 감염병 예방 및 대응체계 강화사업 개요 49

〈표 12〉 Health Equity and Quality Improvement Project for Cambodia 개요 49

〈표 13〉 USAID Enhancing Quality of Health Care Activity(EQHA) Project 개요 51

〈표 14〉 협력국 개발전략, 이행 역량 분석 체크 항목 57

〈표 15〉 KOICA 사업과의 비교 60

〈표 16〉 기술적 타당성 체크 항목 62

〈표 17〉 경제적 타당성 체크 항목 63

〈표 18〉 사업 일정 63

〈표 19〉 사업 예산 63

〈표 20〉 사회 문화적 타당성 체크 항목 64

〈표 21〉 사업 지속 가능성 체크 항목 65

〈표 22〉 범분야 이슈 체크 항목 66

〈표 23〉 이해관계자 분석 69

〈표 24〉 4개도 국경 보건소 현황 74

〈표 25〉 사업 일정 77

〈표 26〉 사업 예산 77

〈표 27〉 사업 PDM(Project Design Matrix) 81

그림목차 6

[그림 1] 캄보디아의 2020년 인구구성비 29

[그림 2] 한국의 캄보디아 지원실적(총지출 기준) 32

[그림 3] 캄보디아 보건부 조직 및 구조 39

[그림 4] 캄보디아 도보건국 구조 40

[그림 5] 캄보디아의 코로나19 대응체계 43

[그림 6] CamEWARN 내 각 의료기관별 보고 흐름 44

[그림 7] 캄보디아 감염병 대응체계 문제나무 48

[그림 8] 수행체계 도식도 76

이용현황보기

캄보디아 서북부 국경지역 감염병 및 코로나19 대응 역량 강화사업 타당성조사 결과보고서 = Strengthening for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and COVID-19 response of the border region in northwest Cambodia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04359 362.10425 -22-2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04360 362.10425 -22-2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