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제1장 서론 25
제1절 연구의 목적 25
제2절 연구의 개요 27
제2장 국내ㆍ외 개인정보보호 분야 책임자 및 전문인력 지정 및 운영 현황 29
제1절 해외 현황 29
1. 독일 29
2. 미국 37
3. 프랑스 48
4/5. 벨기에 58
5/6. 스페인 61
6. 일본 64
제2절 국내 타 분야 전문인력 지정 관련 유사 제도 운영 현황 65
1. 신용정보관리ㆍ보호인 65
2. 준법감시인 74
3. 준법지원인 83
4. 지능정보화 책임관 88
제3장 국내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실질화 방안에 대한 정책 수요 조사 92
제1절 개인정보보호 관련 조직 운영 현황 92
1. 개인정보보호 전담 조직 및 담당 인력 현황 92
2. 개인정보보호 인력의 전문성 96
3. 개인정보의 규모 및 종류 100
제2절 기존 유사 제도(CPO) 지정 현황 101
제3절 DPO 지정 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 104
1. DPO 역량 104
2. DPO 자격 요건 105
3. DPO 직급 및 연봉 108
4. DPO 의무지정 범위 110
5. 기존 CPO 지정 제도 등과의 차별화 방안 114
6. 개인정보보호 업무 수행시 애로사항 119
제4절 개인정보 보호 전문인력(DPO) 지정제도 도입 방안에 대한 이해관계자 의견 122
1. 자격 요건 122
2. 의무 지정 대상 및 범위 126
3. 외부 지정 132
제4장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법제 개선 방안 134
제1절 국내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안) 및 전망 134
1. 의무지정 기준(안) 134
2. DPO 지정 대상 산출 방법 및 예측 143
3. DPO 지정 의무 대상 예측 시나리오 148
제2절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법안 개선방향 제안 159
1. 지정의 범위와 방식 159
2. 전문 CPO의 자격과 전문성 177
3. CPO의 업무 195
4. CPO의 지위와 독립성 195
제5장 결론 202
제1절 요약 202
1. 국내ㆍ외 개인정보보호 분야 책임자 및 전문인력 지정 및 운영 현황 202
2. 국내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실질화 방안에 대한 정책 수요 조사 208
3.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법제 개선 방안 211
제2절 시사점 및 제언 214
참고문헌 222
[부록 1] 미국 국토안보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224
[부록 2] 미국 CPO 관련 주요 내용 229
[부록 3] 일본 개인정보보호법 관련 주요 내용 234
[부록 4] DPO 의무 지정 관련 세부 기준 246
[부록 5] 2020년 개인정보 연차보고서 248
판권기 249
[그림 2-1] DPO 지정 설문조사 32
[그림 2-2] GFT Technologies사 영문, 독문 표기 비교 36
[그림 2-3] 독일의 DPO 연봉 수준 37
[그림 4-1] 3단계 DPO 의무 지정(단기) 155
[그림 4-2] 유사제도와 CPO 지정범위 비교 17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