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제1장 서론 23
제1절 연구의 목적 23
제2절 연구의 개요 24
1. 해외 주요국의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및 운영현황 조사ㆍ분석 24
2. 국내 개인정보보호 분야 포함 유사분야별 전문인력 지정 관련 법ㆍ제도 및 운영 현황 파악, 조사ㆍ분석 25
3. 국내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도입 및 운영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제안 26
제2장 해외 주요국의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27
제1절 유럽연합(EU) 27
1. DPO의 지정 28
2. DPO의 지위 39
3. DPO의 임무 45
제2절 독일 48
1. DPO 제도의 개관 48
2. DPO의 지정 50
3. DPO의 지위 57
4. DPO의 임무 63
5. 제재 68
제3절 영국 68
1. DPO의 지정 68
2. DPO의 임무 72
제4절 프랑스 73
1. DPO의 지정 73
제5절 벨기에 78
1. DPO의 지정 78
2. DPO의 지위 및 임무 81
제6절 스페인 82
1. DPO의 지정 82
2. DPO 인증 84
제7절 싱가포르 85
1. DPO의 지정 85
2. DPO의 임무 86
3. DPO의 자격 요건 89
제8절 태국 95
제9절 필리핀 96
1. DPO의 지정 97
2. DPO의 지정 요건 98
3. DPO의 임무 99
제3장 국내 전문인력 관련 제도 및 운영현황 101
제1절 국내 전문인력 지정 관련 제도 101
1. 국내 개인정보보호 또는 정보보호 인력 의무 지정제도 근거 법률 101
2. 국내 다른 분야에서의 전문인력 의무 지정제도 109
제2절 국내 개인정보보호 인력 운영 현황 119
1. 개인정보보호 및 정보보호 책임자 지정 현황 119
2. 개인정보보호 조직 운영 행태 121
3. 개인정보보호업무 인력의 요건 124
4. 개인정보보호 업무 130
5.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 현황 및 전망 134
제4장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운영방안 및 법제도 마련 140
제1절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도입에 관한 이해관계자 인식 조사 140
1. 조사 방법 140
2. 이해관계자 심층인터뷰 결과 140
제2절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도입을 위한 법안 제안 163
1. 지정제도 도입 법안 마련을 위한 착안점 163
2. 지정제도 도입 법안 168
제5장 결론 171
제1절 요약 171
1.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및 운영현황 171
2. 국내 전문인력 관련 제도 및 운영 현황 179
3. 개인정보보호 전문인력 지정제도 운영 방안 및 법제도 마련 183
제2절 시사점 및 제언 185
참고문헌 188
판권기 192
[그림 2-1] CNIL의 개인정보보호 75
[그림 2-2] UDPO가 발급하는 전문가 자격증 77
[그림 2-3] DPO 역량 90
[그림 2-4] 직무별 역량 및 숙련도 9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