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6

English abstract 8

용어정리 12

Ⅰ. 서론 14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4

1.1. 연구의 목적 14

1.2. 연구의 필요성 15

2. 연구의 범위 18

3. 사업 추진 체계 22

4. 사업 수행 방법 25

4.1. 사업 수행 접근 방법 25

4.2. 세부 수행 방법 26

5. 기대 효과 27

Ⅱ. 연구 내용 29

1.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운영 관련 법령과 규정 조사 및 분석 29

1.1. 국어기본법 29

1.2. 국어기본법 시행령 29

1.3. 국어기본법 시행규칙 32

2.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운영 현황 조사 및 분석 34

2.1. 한국어교원 자격증 취득 현황 34

2.2.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운영 현황 39

3. 한국어교원 자격증 발급 권한 위임 및 단체심사 신청 방안 마련 60

3.1. 대학, 대학원 등 자격증 발급 권한 위임 방안 마련 60

3.2. 학점은행제 운영기관 대상 '단체 심사 신청' 방안 마련 64

4. 양성기관 재심사 관련 유사 사례 조사 및 분석 66

4.1. 개요 66

4.2. 필요성 67

4.3. 조사 목적 68

4.4. 유사 사례 요약 68

4.5. 유사 자격 비교 72

5.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재심사 제도 관련 설문조사의 주요 내용 76

5.1. 한국어교원 설문조사 76

5.2.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설문조사 89

5.3. 예비 한국어교원 설문조사 103

6.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재심사 제도 관련 전문가 의견 111

7.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최초 심사 기준 정비 및 재심사 제도 도입 방안 115

7.1.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심사 시 고려사항 116

7.2. 한국어교원 양성기관의 최초 심사 기준 정비 방안 119

Ⅲ. 공청회 및 자문 150

1. 중간보고회 자문 150

2. 공청회 의견 157

3. 최종보고회 자문 167

3.1. '자문위원 1' 주요 의견 167

3.2. '자문위원 2' 주요 의견 168

3.3. '국립국어원' 의견 169

3.4. '문화체육관광부' 의견 170

4. 최종 자문 171

4.1. 자문위원 A 171

4.2. 자문위원 B 173

4.3. 자문위원 C 177

4.4. 자문위원 D 179

4.5. 최종 자문에 따른 의견 개진 181

5. 법률 자문 186

5.1. 법률자문위원 A(국립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187

5.2. 법률자문위원 B(법무법인 변호사) 191

5.3. 법률자문에 따른 의견 개진 194

Ⅳ. 결론 199

1. 연구 결과 정리 199

2. 제언 200

[부록] 인센티브 부여 관련 202

판권기 209

표목차

〈표 1〉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자 현황 35

〈표 2〉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운영 현황(학위과정) 40

〈표 3〉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운영 현황(학부) 40

〈표 4〉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운영 현황(대학원) 41

〈표 5〉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운영 현황(학점은행제) 41

〈표 6〉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운영 현황(비학위과정) 42

〈표 7〉 학위과정별 교과목 운영 현황 42

〈표 8〉 비학위과정 및 학점 은행 과정 운영 현황 48

〈표 9〉 비학위과정 및 학위과정(학점은행제) 교과목 수 49

그림목차

[그림 1] 연구의 목적 14

[그림 2] 세부 수행 방법 26

[그림 3] 기대 효과 28

[그림 4] 대학 등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 확인 온라인 신청 절차 34

[그림 5] 한국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운영 현황 조사 절차 39

이용현황보기

한국어교원 양성기관 재심사 제도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11871 411.07 -22-3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11872 411.07 -22-3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