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2
목차 3
1. 연구의 필요성 7
2. 조사내용 및 방법 9
2.1. 조사내용 9
2.1.1. 조사대상 호소 9
2.1.2. 시간적 범위 9
2.1.3. 공간적 범위 9
2.2. 조사 및 연구방법 10
2.2.1. 호소의 일반현황 및 이용현황 10
2.2.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11
2.2.3. 수질조사 11
2.2.4. 생물상 16
3. 부안호 조사결과 23
3.1. 호소의 일반현황 및 이용현황 23
3.1.1. 부안호 유역 일반현황 23
3.1.2. 기상현황 25
3.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 시설 현황 26
3.2.1. 인구현황 26
3.2.2. 토지이용 26
3.2.3. 가축사육현황 26
3.2.4. 환경기초시설 현황 27
3.3. 호소수질 분석 30
3.3.1. 수질조사지점 30
3.3.2. 호소수질 조사 결과 31
3.3.3. 호소 현장수질분석 결과 32
3.3.4. 호소 수질분석 결과 34
3.4. 호소의 생물상 조사 40
3.4.1. 식물플랑크톤 40
3.4.2. 동물플랑크톤[내용없음] 45
3.4.3. 대형수생식물 46
3.4.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59
3.4.5. 어류 70
3.2.5. 양서·파충류 78
4. 호소수질개선 대책 및 관리방안 제시 80
4.1. 육상식물상 관리방안 및 제언 80
4.2. 육상동물 및 육수동물 관리방안 및 제언 81
참고문헌[원문불량;p.77] 83
그림 1. 부안호 유역개황도 및 조사지점 10
그림 2. 호소에서의 채수 수심 결정방법 12
그림 3. 부안호 유역개황도 23
그림 4. 수질 조사지점 위치 30
그림 5. 부안호 수질조사 결과 (BOD) 37
그림 6. 부안호 수질조사 결과 (COD) 37
그림 7. 부안호 수질조사 결과 (SS) 38
그림 8. 부안호 수질조사 결과 (T-N) 38
그림 9. 부안호 수질조사 결과 (T-P) 39
그림 10. 출현 식물플랑크톤 사진(×200) 42
그림 11. 부안호 ST1 현존식생도 56
그림 12. 부안호 ST2 현존식생도 56
그림 13. 부안호 ST3 현존식생도 57
그림 14. 부안호 조사지점의 단면도 58
그림 15.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사진 69
그림 16. 1차조사 시 출현한 어류상 상대풍부도 72
그림 17. 2차조사 시 출현한 어류상 상대풍부도 72
그림 18. 3차조사 시 출현한 어류상 상대풍부도 72
그림 19. 출현한 담수어류 사진 7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