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제출문 2

목차 3

1. 연구의 필요성 7

2. 조사내용 및 방법 9

2.1. 조사내용 9

2.1.1. 조사대상 호소 9

2.1.2. 시간적 범위 9

2.1.3. 공간적 범위 9

2.2. 조사 및 연구방법 10

2.2.1. 호소의 일반현황 및 이용현황 10

2.2.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11

2.2.3. 수질조사 11

2.2.4. 생물상 16

3. 부안호 조사결과 23

3.1. 호소의 일반현황 및 이용현황 23

3.1.1. 부안호 유역 일반현황 23

3.1.2. 기상현황 25

3.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 시설 현황 26

3.2.1. 인구현황 26

3.2.2. 토지이용 26

3.2.3. 가축사육현황 26

3.2.4. 환경기초시설 현황 27

3.3. 호소수질 분석 30

3.3.1. 수질조사지점 30

3.3.2. 호소수질 조사 결과 31

3.3.3. 호소 현장수질분석 결과 32

3.3.4. 호소 수질분석 결과 34

3.4. 호소의 생물상 조사 40

3.4.1. 식물플랑크톤 40

3.4.2. 동물플랑크톤[내용없음] 45

3.4.3. 대형수생식물 46

3.4.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59

3.4.5. 어류 70

3.2.5. 양서·파충류 78

4. 호소수질개선 대책 및 관리방안 제시 80

4.1. 육상식물상 관리방안 및 제언 80

4.2. 육상동물 및 육수동물 관리방안 및 제언 81

참고문헌[원문불량;p.77] 83

표목차 4

표 1. 조사대상 호소 9

표 2. 부안호 조사지점 9

표 3. 항목별 조사 및 분석방법 13

표 4.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KO) 13

표 5. 한국형 호소 부영양화지수의 평가 지수 및 보조지수 14

표 6. 생활환경 기준(호소) 14

표 7. 저서동물지수(BMI 지수) 19

표 8. 저서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등급 20

표 9.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메트릭의 구간 설정 21

표 10. 어류평가지수(FAI : Fish Assessment index) 등급구분 21

표 11. 군집지수 분석 방법 22

표 12. 종 다양도 범위에 따른 군집안정도 기준 22

표 13. 부안호 일반현황 및 이용현황 24

표 14. 부안군 기상개황 25

표 15. 세대 및 인구 26

표 16. 유역내 토지이용 현황 26

표 17. 부안호 가축사육 현황 27

표 18.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 27

표 19. 환경오염배출시설업소 28

표 20. 하수 및 분뇨발생량 및 처리현황 28

표 21. 하수종말처리장 28

표 22. 급수사용량 29

표 23. 하수도 인구 및 보급률 29

표 24. 수질 조사지점 위치 및 좌표 30

표 25. 부안호 과거 10년 수질추이 31

표 26. 부안호 COD, T-P, Chl-a 농도 31

표 27. 부안호 부영양화 평가지수 및 부영양화 등급 32

표 28. 5월 부안호 현장수질측정 결과 32

표 29. 7월 부안호 현장수질측정 결과 33

표 30. 9월 부안호 현장수질측정 결과 33

표 31. 5월 부안호 호소수질 분석 결과 34

표 32. 7월 부안호 호소수질 분석 결과 35

표 33. 9월 부안호 호소수질 분석 결과 36

표 34. 각 차수별 출현종수 및 구성비 40

표 35. 각 차수별 출현개체수 및 구성비 41

표 36. 각 차수별 우점종 현황 42

표 37. 각 차수별 군집지수 분석결과 42

표 38. 각 차수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목록 43

표 39. 각 차수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목록(계속) 44

표 40. 부안호 관속식물 분류 47

표 41. 부안호의 수생식물(조사지침 별표 3의 조사대상 수생식물) 48

표 42. 부안호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48

표 43. 부안호의 귀화식물 목록 49

표 44. 부안호의 관속식물 목록 49

표 45. 수생식물상 비교 54

표 46. 귀화식물 비교 55

표 47. 각 조사저점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및 구성비 63

표 48. 각 조사저점의 분류군별 개체수현존량 및 구성비 64

표 49. 우점종 및 우점율 64

표 50. 각 차수별 및 지점별 군집지수 65

표 51. 각 차수별 및 지점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등급(BMI지수) 66

표 52. 부안호에서 확인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목록 67

표 53. 각 차수별 및 지점별 군집지수 71

표 54. 각 차수별 및 지점별 어류평가지수(FAI) 결과 73

표 55. 부안댐에서 확인된 어류 목록 75

표 56. 부안댐에서 확인된 양서·파충류 목록 79

그림목차 6

그림 1. 부안호 유역개황도 및 조사지점 10

그림 2. 호소에서의 채수 수심 결정방법 12

그림 3. 부안호 유역개황도 23

그림 4. 수질 조사지점 위치 30

그림 5. 부안호 수질조사 결과 (BOD) 37

그림 6. 부안호 수질조사 결과 (COD) 37

그림 7. 부안호 수질조사 결과 (SS) 38

그림 8. 부안호 수질조사 결과 (T-N) 38

그림 9. 부안호 수질조사 결과 (T-P) 39

그림 10. 출현 식물플랑크톤 사진(×200) 42

그림 11. 부안호 ST1 현존식생도 56

그림 12. 부안호 ST2 현존식생도 56

그림 13. 부안호 ST3 현존식생도 57

그림 14. 부안호 조사지점의 단면도 58

그림 15.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사진 69

그림 16. 1차조사 시 출현한 어류상 상대풍부도 72

그림 17. 2차조사 시 출현한 어류상 상대풍부도 72

그림 18. 3차조사 시 출현한 어류상 상대풍부도 72

그림 19. 출현한 담수어류 사진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