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친족, 가족, 성(姓)과 본(本) Ⅰ. 친 족… 3 1. 친족의 의의 및 종류 3 2. 친족의 범위 4 3. 친계와 촌수 4 4. 친족관계의 발생과 소멸 5 Ⅱ. 가족의 범위… 6 1. 생계를 같이 하지 않더라도 가족인 경우 6 2. 생계를 같이 해야 가족인 경우 6 Ⅲ. 자의 성(姓)과 본(本)… 7 1. 자의 성과 본의 결정 7 2. 종전의 성과 본의 계속 사용 7 3. 자의 성과 본의 변경 7 Ⅳ. 가족관계등록제도… 8 1. 가족관계등록제도의 의의 8 2. 가족관계등록부의 종류 9 * 사례문답: 친족의 범위와 친족관계의 효력…12 * 사례문답: 재혼한 남편의 성과 본으로 전남편 자녀들의 성과 본의 변경…13
제12장 직장생활과 성희롱 Ⅰ. 성희롱의 개념183 Ⅱ. 성희롱 관련법183 1. 여성발전기본법 183 2. 국가인권위원회법 183 3.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남녀고용평등법) 184 Ⅲ. 성희롱 판단기준184 1. 성희롱 여부의 판단기준 184 2. 성희롱에 대한 잘못된 통념 184 Ⅳ. 성희롱이 발생하는 이유185 1. 성적 고정관념 185 2. 사회문화적 규범 185 3. 조직 내 집단문화 185 4. 조직 내 힘의 권력관계 185 5. 습관의 무서움 185 Ⅴ. 성희롱이 근절되지 않는 이유185 Ⅵ. 성희롱의 성립요건186 1. 행위주체가 공공기관의 종사자, 사용자, 상급자, 근로자 등일 것 186 2. 직장 내의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와 관련하여 이루어질 것 186 3. 성적 언동이나 성적 요구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고용 상 불이익을 줄 것 186 4. 성적인 언동 등으로 성적 굴욕감 또는 혐오감을 유발하여 고용환경을 악화시킬 것 186 Ⅶ. 성희롱의 유형187 1. 육체적 행위 187 2. 언어적 행위 187 3. 시각적 행위 187 4. 기 타 187 Ⅷ. 성희롱 사례188 Ⅸ. 성희롱 피해 시 대처방법?피해자의 대처방법188 1. 기관 내 자체 처리 의뢰 188 2. 고용노동부에 진정, 고소·고발 188 3. 국가인권위원회에 구제신청 제기 188 4. 민사소송의 제기 188 Ⅹ. 형사 처벌189 1. 육체적 성희롱의 경우 189 2. 언어적 성희롱 189 3. 시각적 성희롱 190 * 사례문답198
제13장 성 폭 력 Ⅰ. 성폭력의 개념201 Ⅱ. 성폭력의 유형201 1. 성희롱 201 2. 성추행 201 3. 성폭행 202 4. 디지털 성범죄 202 5. 데이트 성폭력 203 6. 친족 성폭력 203 7. 사이버 성폭력 203 8. 공공장소에서의 성추행 203 Ⅲ. 성폭력 발생원인204 1. 성폭력에 대한 오해와 편견 204 2. 우리나라의 법정형보다 낮은 성폭력 처벌 실태 204 3. 권위주의적 조직문화 204 Ⅳ. 성폭력 관련법과 제도204 1. 성범죄자 신상공개 제도 204 2. 아동, 청소년 관련기관 취업제한 205 3. 성범죄자 약물치료(화학적 거세) 205 4. 전자발찌 부착 205 Ⅴ. 성폭력 범죄 척결을 위한 정부의 법과 정책205 Ⅵ. 성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지원제도206 1. 형사사법 절차상 피해자 보호 강화 206 2. 피해자 중심 지원체제 확충 206 3. 안전한 지역사회 환경조성 206 4. 성폭력 예방교육 확대 및 인프라 구축 206 * 사례문답218
제14장 법률구조 Ⅰ. 법률구조제도221 1. 법률구조의 의의 221 2. 법률구조의 대상 업무 및 대상자 221 Ⅱ. 법률구조기관222 1. 대한법률구조공단 222 2. 한국가정법률상담소 224 3. 대한가정법률복지상담원 225 4. 대한변호사협회 법률구조재단 226
〈부 록〉 전문용어 해설233
이용현황보기
(현대인에게 필요한) 법과 생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