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문: 팬데믹(Pandemic) 시대의 거버넌스와 맥락적 접근의 과제
일러두기

제Ⅰ장 선거와 선거관리 거버넌스
제1절 서론
제2절 선거의 자유와 공정: 두 마리 토끼 잡기
제3절 코로나-19 이후 한국 사회의 정치 환경
제4절 전자민주주의와 선거의 관계
제5절 선거개혁의 방향과 과제
제6절 결론

제Ⅱ장 가상의회와 의회 거버넌스
제1절 서론
제2절 대의민주주의의 한계와 전자민주주의
제3절 코로나-19 사태와 의회의 대응 전략
제4절 의회의 위기 대응과 대의민주주의
제5절 가상의회 전략의 한계와 과제
제6절 결론

제Ⅲ장 가족주의와 집행 거버넌스
제1절 서론
제2절 위기 대응 집행 거버넌스의 모색
제3절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국가
제4절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거버넌스
제5절 코로나-19 대응 집행 거버넌스의 성과
제6절 결론

제Ⅳ장 NGO와 협력적 거버넌스
제1절 서론
제2절 재난 대응의 접근 전략과 NGO
제3절 코로나-19 이후의 사회구조 변화와 NGO
제4절 사회 환경 변화와 NGO의 혁신전략
제5절 NGO의 대응 평가와 대안 개발
제6절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용현황보기

코로나-19 시대의 국가와 시민사회 = State and civil society in the era of COVID-19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26655 303.485 -22-3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26656 303.485 -22-3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44343 303.485 -22-30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0002944344 303.485 -22-30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B000071554 303.485 -22-30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국가와 시민사회의 협력적 공조,
무엇이 문제인가?

우리는 아직 코로나-19로부터 벗어나 온전한 일상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 그렇다고 지금도 코로나-19가 처음 확인되던 때만큼의 공포와 당혹 속에 사는 것은 아니다. 위드(With) 코로나-19의 시대 또는 뉴 노멀(New Normal) 상태에 진입했다고 보아야 하는 이유다. 문제는 이런 환경 속에서는 감염병의 의과학적인 위협이 여전한 가운데에서도 이에 대한 경각심이 형편없이 느슨해진다는 데 있다. 무엇보다도 경계해야 할 점은 코로나-19로 인해 빚어진 기존의 사회구조 변화나 권력관계 재편을 심각한 고민 없이 당연한 일상으로 수용하게 된다는 데 있다. 아니 재편된 사회구조가 불러올 파장과 문제점에 대한 인식과 정보 자체가 일천하기 짝이 없다. 감염병이라는 의과학적 위협의 긴박성에 눌려 거기에서 비롯되는 정치 및 사회경제적 파장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심도 깊은 검증과 경계를 게을리한 탓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책은 코로나-19의 확산이 불러온 사회구조적 변화를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투입, 전환, 산출, 평가의 단계에 따라 살펴보고, 거기에서 비롯되는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적인 경각심을 제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