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제1편 계획수립과 배경 22
제1장 계획의 개요 24
제1절 계획의 배경 및 목적 25
제2절 계획의 성격 28
제3절 계획의 범위 29
제4절 계획의 수립과정 31
제2장 지역현황 및 여건분석 34
제1절 지역현황 및 특성 35
제2절 여건변화 전망 52
제3절 상위 및 관련 계획 검토 60
제4절 기존계획평가 74
제5절 도민의식 및 수요조사 75
제2편 계획의 기본방향 100
제1장 계획의 기본방향 102
제1절 계획 비전과 목표 103
제2절 주요 계획지표 107
제3절 공간구상 113
제3편 전략별 추진계획 128
제1장 누구나 살기 좋은 활력있는 공간 조성 130
제1절 지역특성별 맞춤형 공간기능 강화 131
제2절 유연한 성장 관리를 통한 지역 활성화 141
제3절 광역·지역 간 SOC 재편 및 확충 153
제2장 환경과 공존하는 스마트 농수산생태계 구축 166
제1절 저탄소기반 고부가가치 미래 농생명 산업 육성 167
제2절 미래산업화를 통한 수산업 혁신동력 창출 184
제3장 그린·디지털 중심 산업 대전환 선도 거점 육성 198
제1절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지속성장 기반 구축 199
제2절 에너지, 뉴모빌리티 신산업 생태계 조성 215
제3절 차세대 바이오 기술 기반 글로벌 허브 구축 237
제4장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안심 생활공간 조성 254
제1절 편안하고 안전한 삶터 조성을 위한 주거권 강화 255
제2절 신기술과 공공의료 강화로 도민 평생 건강보장 274
제3절 도민의 존엄을 보장하는 촘촘한 복지 안전망 구축 293
제4절 도민 안전을 책임지는 스마트 재난대응체계 구축 303
제5장 지속가능한 생태·환경 및 경관 조성 316
제1절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 조성 317
제2절 정감있고 문화가 깃든 남도경관 연출 358
제6장 글로컬 신성장 관광벨트 구축 394
제1절 가장 한국다운 매력관광 중심지 구축 395
제2절 전남 고유 역사문화 관광자원화 417
제4편 계획의 실행방안 426
제1장 행정계획 428
제1절 현황 429
제2절 공공가치를 지향하는 행정 432
제3절 정책추진 과정의 민주적 참여와 협력 435
제4절 창의적이고 일 잘하는 유능한 조직문화 혁신 438
제2장 재정계획 444
제1절 재정 현황 분석 445
제2절 현황 분석에 따른 시사점 449
제3절 재정운용 기본방향 451
제4절 투자재원 조달계획 453
제5편 시군별 발전방향 456
제1장 광주근교권 458
제1절 나주시 459
제2절 담양군 462
제3절 곡성군 465
제4절 화순군 468
제5절 함평군 471
제6절 영광군 475
제7절 장성군 478
제2장 동부권 482
제1절 여수시 483
제2절 순천시 486
제3절 광양시 489
제4절 구례군 492
제5절 고흥군 495
제3장 서남권 500
제1절 목포시 501
제2절 해남군 505
제3절 영암군 509
제4절 무안군 513
제5절 진도군 516
제6절 신안군 519
제4장 중남부권 524
제1절 보성군 525
제2절 장흥군 528
제3절 강진군 532
제4절 완도군 536
참여연구진 539
뒷표지 540
그림 I-1-1. 계획의 배경과 목적 26
그림 I-1-2. 계획의 성격 28
그림 I-1-3. 전라남도의 공간적 범위 29
그림 I-1-4. 계획의 범위 30
그림 I-1-5. 계획의 수립과정 31
그림 I-2-1. 월별 평균기온과 강수량 36
그림 I-2-2. 연도별 기온변화 37
그림 I-2-3. 여건변화와 국토영향(제5차 국토종합계획) 54
그림 I-2-4. 정책환경 변화 및 대응 키워드 54
그림 I-2-5. 지방소멸위기 시군 55
그림 I-2-6. 수인성 감염병 발생, 자연재난 피해 56
그림 I-2-7. 전라남도 산업 대전환 추진전략 57
그림 I-2-8. 여건변화에 따른 전라남도의 대응과제 59
그림 I-2-9. 제5차 국토종합계획의 기조 : 비전, 목표, 전략 60
그림 I-2-10. 연대와 협력을 통한 유연한 스마트국토 구상 62
그림 I-2-11. 전남 권역별 비전 및 특화방향(제3차 전라남도 종합계획 수정계획) 63
그림 I-2-12. 전남 균형발전 공간구상 66
그림 I-2-13. 남해안 신성장 관광벨트 구축의 비전 및 목표 67
그림 I-2-14.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 공간 구상도 69
그림 I-2-15. 제6차 전남권 관광개발계획 비전 및 목표 69
그림 I-2-16. 전남권 권역별 관광개발 공간 구상 71
그림 I-2-17. 서남권 종합발전 기본구상 비전 체계도 72
그림 I-2-18. 도민 의식 및 수요조사 개요 75
그림 I-2-19. 전라남도에 대한 인식 76
그림 I-2-20. 권역별 전라남도 인식 차이 77
그림 I-2-21. 도농간 전라남도 인식 차이 77
그림 I-2-22. 권역별 지역발전 인식도(100점 만점) 81
그림 I-2-23. 권역별 발전요인 인식 84
그림 I-2-24. 전라남도의 미래 가치 85
그림 I-2-25. 블루이코노미 분야별 중요도 86
그림 I-2-26. 전라남도 미래발전 방향 86
그림 I-2-27. 전라남도 미래발전을 위한 선결과제 87
그림 I-2-28. 전라남도의 미래모습 88
그림 II-1-1. 추진전략별 주요 키워드 105
그림 II-1-2. 추진전략별 주요 프로젝트 106
그림 II-1-3. 전라남도 인구추계치 107
그림 II-1-4. 전라남도 총인구 변화 109
그림 II-1-5. 전라남도 가임여성 인구변화 109
그림 II-1-6. 전라남도 고령화율 변화 110
그림 II-1-7. 전라남도 SOC 구상도 112
그림 II-1-8. 남해안남중권 신성장 거점 113
그림 II-1-9. 남해안남부권 초광역 메가시티 구상 114
그림 II-1-10. 빛고을 스마트 메가시티 구상 115
그림 II-1-11. 전라남도 4대 권역 설정 117
그림 II-1-12. 전라남도 시군간 공간 상호작용 지수 118
그림 II-1-13. 야간 인공위성에서 본 전라남도 118
그림 II-1-14. 광주근교권 특화 방향 119
그림 II-1-15. 동부권 특화 방향 120
그림 II-1-16. 서남권 특화 방향 121
그림 II-1-17. 중남부권 특화 방향 122
그림 II-1-18. 전라남도 지역발전축 설정 123
그림 II-1-19. 고속철도 및 광역철도 추진 현황 124
그림 II-1-20. 전라남도 국도 승격 현황 126
그림 III-1-1. 전라남도 읍면동 별 소멸지수 분포(인구총조사 결과) 133
그림 III-1-2. 빛가람 혁신도시 135
그림 III-1-3. (사례)고금권역 어촌종합개발사업 계획도 136
그림 III-1-4. 도시공간 관리체계 예시 144
그림 III-1-5. 도시공간 재편과 스마트한 공간 재배치 147
그림 III-1-6. 비시가화지역 성장관리정책의 통합적 활용방안 152
그림 III-1-7. 항만별 특화 전략 156
그림 III-1-8. (예시) 첨단 항만 육성 157
그림 III-1-9. (예시) 거점 공항 발전 구상 158
그림 III-1-10. (사례)남해안 해양관광벨트 158
그림 III-1-11. 전라남도 SOC 현황 160
그림 III-2-1. 전라남도 어업생산량 및 어업생산금액 186
그림 III-2-2. 전라남도 신안갯벌 생물권보전지역 193
그림 III-2-3. 콜드체인 및 공급 인프라 개념도 194
그림 III-2-4. 해조류 활성소재 생산시설 기능 196
그림 III-3-1. 목포 남항 항만재개발사업 부지(용해동 1059 / 65,000㎡) 206
그림 III-3-2. 친환경 선박기술 실증 인프라 구축 조감도 206
그림 III-3-3. 중소형 선박수리 및 소형선박 건조 대상지 207
그림 III-3-4. 스마트그린산단 구축 추진전략 208
그림 III-3-5. 스마트공장 선도모델 210
그림 III-3-6. 창원 스마트업 파크 조성 211
그림 III-3-7. 스마트산단 구성안 211
그림 III-3-8. RE100 전용 산단 조성 계획도(안) 212
그림 III-3-9. 율촌 제2·3 산단 조성 계획(안) 213
그림 III-3-10. 묘도 동북아 LNG 허브터미널 구축(안) 213
그림 III-3-11. 해상풍력과 조선 산업 구성 요소 간 연계성 214
그림 III-3-12. 전라남도 해상풍력 산업육성 기업집적화 예정단지 214
그림 III-3-13.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추이 216
그림 III-3-14. 국가종합비행성능 시험장 조감도 218
그림 III-3-15. 한국에너지공대 부지 및 조감도 219
그림 III-3-16. 허브 구상도 226
그림 III-3-17. 해상풍력 발전단지 228
그림 III-3-18. 에너지 섬 구상도 231
그림 III-3-19. 전남 RE100 산업벨트 위치도 231
그림 III-3-20. 전라남도 바이오산업 클러스터 현황 238
그림 III-3-21. 2035년까지의 바이오헬스 미래기술 실현 전망 240
그림 III-3-22. 국내 바이오산업의 퍼스트무버로 전환 241
그림 III-3-23. 신약개발의 기술플랫폼 다양화 242
그림 III-3-24. 합성 생물학 응용 사례 243
그림 III-4-1. 광역시도별 천명당 주택수 현황 255
그림 III-4-2. 전라남도 빈집 등급별 유형조사 결과 262
그림 III-4-3. 빈집철거 이후 마을쉼터 활용 사례 270
그림 III-4-4. 에너지 패시브 주택 개념 271
그림 III-4-5. 에너지 주거단지 사례(독일 비스마르크) 271
그림 III-4-6. 헬스케어 주택단지 개념도 272
그림 III-4-7. 그린빌딩 사례(싱가포르 사례) 273
그림 III-4-8. 전라남도 관외 진료비 증가 추이 275
그림 III-4-9. 전국 시도별 응급의학 전문의 및 전담의사 근무 충족률 276
그림 III-4-10. 전국 응급의료 전용헬기 출동 현황(2019년) 277
그림 III-4-11. 인구십만명당 감염병 발생 추이 및 주요원인('01~'19) 278
그림 III-4-12. 전라남도 제7기 지역보건의료 계획 전략별 중장기 성과지표 283
그림 III-4-13. 전라남도 진료권별 의료현황 286
그림 III-4-14. 암연령표준화 사망률 287
그림 III-4-15. 자살 연령표준화 사망률 289
그림 III-4-16. 2067년 인구 10만명 당 의대졸업생 수 추정 291
그림 III-4-17. 지역별 의사 수 현황 291
그림 III-4-18. 전라남도 인구추이 및 연령별 인구현황 293
그림 III-4-19. 시군별 사회복지시설 현황 295
그림 III-4-20. 전체 예산 중 사회복지예산 비율 / 복지예산 증가수준 타 지역과 비교 그래프 296
그림 III-4-21. 지역복지 지원체계 300
그림 III-4-22. 전라남도의 폭염일수 전망(RCP 8.5 시나리오) 307
그림 III-4-23. 전라남도의 한파일수 전망(RCP 8.5 시나리오) 308
그림 III-4-24. 2004년 전후 재난관리계획체계 309
그림 III-4-25.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행정안전부) 310
그림 III-5-1. 미세먼지 평균 농도 변화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 318
그림 III-5-2. 연평균기온 변화 및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액 319
그림 III-5-3. 폐기물 발생량 현황 및 2018년 기준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 320
그림 III-5-4.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전남의 폭염일수 전망 321
그림 III-5-5.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종 손실 예측 321
그림 III-5-6. 정부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 경로 및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322
그림 III-5-7. 전남의 PM-10 농도 추이 334
그림 III-5-8. 전남의 PM-2.5 농도 및 미세먼지 나쁨 일수 335
그림 III-5-9. 전남의 대기오염측정망 분포 현황(2020년 기준) 335
그림 III-5-10. 대기오염 이동측정 시스템 336
그림 III-5-11. 드론 이용 대기오염 실시간 측정 336
그림 III-5-12.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위해성 평가 사례(울산) 337
그림 III-5-13. 최근 10년간 전남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337
그림 III-5-14. 미세먼지의 건강 영향 339
그림 III-5-15. 시·도별 화학물질 유통량 및 배출량(2018년 기준) 340
그림 III-5-16. 화학사고 발생 현황(2014년 이후) 342
그림 III-5-17. 화학시설 안전장비(차량) 342
그림 III-5-18. AI 기반 화학사고 대응 플랫폼(안) 343
그림 III-5-19. 화학물질 누출 피해저감을 위한 완충시설 343
그림 III-5-20. 시·도별 온실가스 직접배출량 및 전남의 연도별 온실가스 배출량 344
그림 III-5-21. 2050 전라남도 탄소중립 비전 체계 345
그림 III-5-22. 철강 및 석유화학 산업의 저탄소 공정 345
그림 III-5-23. 도내 산림면적 변화(2000년 vs. 2015년) 347
그림 III-5-24. 전남의 최근 30년간(1991~2020년) 강수량 및 강수일수 변화 348
그림 III-5-25. 전남의 가뭄피해 현황 348
그림 III-5-26. 물수급 네트워크 개념 349
그림 III-5-27. LID 기법이 적용된 도시설계 모식도 349
그림 III-5-28. 비점오염원 관리시설 350
그림 III-5-29. 전남의 가뭄피해 현황 350
그림 III-5-30.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발생현황(2009~2018년) 352
그림 III-5-31. 최근 10년간 생활계폐기물 발생현황 353
그림 III-5-32. 2018년 기준 생활계폐기물 처리현황 354
그림 III-5-33. 환경시장 규모 355
그림 III-5-34. 스마트 상하수도 시스템 개념도 356
그림 III-5-35. CCUS 개념도 357
그림 III-5-36. 법성포 숲쟁이 공원입구의 부조화한 페인팅벽화(영광) 358
그림 III-5-37. 축령산 진입부 상업시설 및 간이시설의 부조화(장성) 358
그림 III-5-38. 법성포 매립지역의 해안선 처리와 갯벌훼손(영광) 359
그림 III-5-39. 율포해수욕장 배후 송림 사이로 도로가 통과함(보성) 359
그림 III-5-40. 과도한 보라색 사용으로 자연경관과 부조화한 퍼플섬 색채사용(신안) 360
그림 III-5-41. 섬진강 변의 과도한 보도교(곡성) 360
그림 III-5-42. 주암호 주변의 과도하게 데크시설이 되어 있는 습지(보성) 360
그림 III-5-43. 과도한 시설하우스가 전원경관 훼손(담양) 361
그림 III-5-44. 컬러마케팅으로 추진되고 있는 과도한 원색 지붕(장성) 361
그림 III-5-45. 향교 옆 원색의 간이시설(강진) 362
그림 III-5-46. 향교 주변의 산만한 경관(영암) 362
그림 III-5-47. 과도하게 인공적으로 디자인 된 상징보형물(강진 마량항) 363
그림 III-5-48. 도로의 공공디자인의 단순미와는 맞지 않는 상징조형물(보성) 363
그림 III-5-49. 가로변 특정 상업건물이 과도한 원색사용으로 경관훼손(무안) 364
그림 III-5-50. 가로변의 어지러운 안내판(보성) 364
그림 III-5-51. 스카이라인과 색채가 부조화한 나홀로 아파트(보성) 364
그림 III-5-52. 과도한 옥외광고물, 벽화 등 시각적 혼란 초래 상업건물(좌 보성, 우 무안) 365
그림 III-5-53. 취가정에서 조망되는 평촌 들녘과 무등산 경관 366
그림 III-5-54. 월출산과 유채꽃 축제(영암) 366
그림 III-5-55. 대동저수지(영암) 367
그림 III-5-56. 영산강 하천죽림 녹화(담양) 367
그림 III-5-57. 득량만 일원의 해안풍경(보성) 368
그림 III-5-58. 돌산도 주변 다도해와 연안풍경과 여수 선소(여수) 368
그림 III-5-59. 법성포 숲쟁이 공원(영광) 및 완도수목원 일원 난대림의 잠재력(완도) 369
그림 III-5-60. 서해안의 갯벌(보성) 369
그림 III-5-61. 신안군 병풍리 일원의 갯벌(신안) 369
그림 III-5-62. 메타프로방스(담양) 371
그림 III-5-63. 메타프로방스(담양) 371
그림 III-5-64.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담양) 371
그림 III-5-65. 주요 상업시설 종합안내판 디자인(담양) 372
그림 III-5-66. 승강장과 그늘 쉼터 디자인(담양) 372
그림 III-5-67. 병영성 홍교(강진) 373
그림 III-5-68. 선암사 홍교(순천) 373
그림 III-5-69. 유마사 보안교(화순) 373
그림 III-5-70. 고흥읍성홍교(고흥) 373
그림 III-5-71. 경전선 옥곡역(광양) 374
그림 III-5-72. 경전선 예당역(보성) 374
그림 III-5-73. 초연정과 수석(순천) 375
그림 III-5-74. 열화정(보성) 375
그림 III-5-75. 함허정(곡성) 375
그림 III-5-76. 남희정(담양) 376
그림 III-5-77. 산악경관회랑축 381
그림 III-5-78. 산악경관축 381
그림 III-5-79. 산줄기연결망 보전 382
그림 III-5-80. 훼손 경관 녹화 382
그림 III-5-81. 전라남도 주요 어항 위치도 383
그림 III-5-82. 전라남도 섬 경관 및 해안경관 384
그림 III-5-83. 전라남도 해안 및 하천 경관축 385
그림 III-5-84. 베란다나 가로기둥 등에 화분 장식을 통해 경관향상(영국) 389
그림 III-5-85. 주민 삶의 질 향상과 관광자원 활용으로 지역활성화 기여(싱가포르 Gardens by the bay) 389
그림 III-5-86. 양질의 정원을 공급함으로써 휴식과 힐링 공간제공(싱가포르 Botanical Garden) 389
그림 III-5-87. 업무빌딩이나 주차빌딩 등의 입면녹화사례(싱가포르) 390
그림 III-5-88. 순천만국가정원(순천) 390
그림 III-5-89. 기차마을 장미정원(곡성) 391
그림 III-5-90. 쌍산재 정원풍경(구례) 391
그림 III-6-1. 전라남도 방문 내외국인 관광객 추이 395
그림 III-6-2. 전라남도 권역별 해양·생태관광자원 현황 396
그림 III-6-3. 전라남도 해양 생태관광 추진 방향 396
그림 III-6-4. 전라남도 관광자원의 잠재력 397
그림 III-6-5. 관광거점도시간 네트워크 구축 406
그림 III-6-6. 해안·내륙 연계 관광루트 구축 415
그림 III-6-7. 전라남도지역 마한 유적 분포 417
그림 III-6-8. 남도 의병 역사박물관 계획 418
그림 IV-1-1. 전라남도가 추구할 미래사회적 가치 432
그림 IV-2-1. 전라남도 본청 재정규모 추이 445
그림 IV-2-2. 전라남도 본청 세입 중 각 항목 비중 추이 446
그림 IV-2-3. 전라남도 본청 주요 세출 비중 추이 44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39370 | 307.10951983 -22-1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939371 | 307.10951983 -22-1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939372 | 307.10951983 -22-1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939373 | 307.10951983 -22-1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