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 작곡노트 … 5

2. 곡해설 … 7

3. 스코어 … 9

4. 파트보 … 63
1) 소금 … 65
2) 대금 … 73
3) 피리 … 81
4) 생황 … 87
5) 개량대피리 … 93
6) 태평소 … 99
7) 해금 … 103
8) 소아쟁 … 111
9) 대아쟁 … 119
10) 25현금 … 127
11) 거문고 … 139
12) 신디사이저 … 147
13) 팀파니 … 157
14) 장구, 꽹과리, 제금 … 167
15) 대고 … 177
16) 공, 징 … 187
17) 특수악기(심벌, 트라이앵글, 윈드차임) … 197
18) 오케스트라 차임벨 … 207
19) 타악 전체 … 215
20) 소리 … 233
21) 합창 … 241

이용현황보기

합창과 진도씻김굿, 국악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 requiem)'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40885 789 -22-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40886 789 -22-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합창과 진도씻김굿, 국악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Requiem)’ 작곡 이정호

“... 삶의 모든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으려면 아주 깊이 이해해야 할 것이 세 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시간, 슬픔, 그리고 죽음이다. 시간을 이해하고, 슬픔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며, 죽음과 함께 하는 것 - 이것들 모두 맑고 투명한 사랑을 요구한다...”
- 저서 <삶과 죽음에 대하여> P.11 중에서... 저자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합창과 진도씻김굿, 국악 관현악을 위한 [진혼]’은 무속음악 ‘진도씻김굿’을 모티브로 하여 쓴 국악레퀴엠이다.

라틴어로 된 가톨릭 미사의 합창 가사와 진도씻김굿 길닦음 중 ‘애소리’, ‘하적소리’, ‘재화’, ‘나무아미타불’, ‘천궁’을 차용하여 가톨릭, 불교 등 종교를 뛰어넘어선, 죽은 자의 영혼을 위로하는 진혼곡이다. 또한 이는 곧 살아서 남아 있는 사람들 마음의 치유도 포함된 것이며, 그 궁극적 의미는 ‘삶에 대한 위로’인 것이다. 곡은 크게 3구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어둠의 지배자에게 몸을 빼앗기는 장면’ - [서곡, 비극의 시작], [혼란 속 두려움], [휘몰아치는 파도, 귀신의 춤], [슬픔, 분노, 고독], ‘넋을 위로하는 의식’ - [진혼, 넋을 고이 달래어 잠들게 하다], [떠나보내는 길, 잡고 싶은 마음] , [흩날리는 꽃] 그리고 ‘떠난 사람과 남은 사람 모두를 위한 기도’ 로 마무리된다.

삶과 죽음… 이 두 가지를 따로 떼어놓고 생각한다면 슬픔과 두려움이 생기지만,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비로소 온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맑고 투명한 사랑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