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6
Abstract 7
제1장 서론 43
제1절 서론 44
1. 연구 배경 및 목적 44
2. 연구 경과 및 체계 45
제2장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중장기 전략 분석 49
제1절 국제 분석 50
1. 배경 50
2. 주요국의 기후변화 대응 분석 52
가. 주요국 대응 52
나. 국제사회의 감축목표 상향과 탄소중립 63
3.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투자 특징 분석 72
가. 기후재원 논의 경과 72
나. 국제사회의 개도국 지원 79
다. 민간의 기후대응 투자 87
4.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사례 분석 97
가.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 97
나.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사례 125
5. 국제탄소시장 및 탄소가격제 분석 148
가. 국제사회의 탄소가격제 도입 148
나. 국제탄소시장 메커니즘 논의 153
다. 국제 탄소상쇄 프로그램 사례 156
6. 결론 163
가. 요약 163
나. 국제협력 방향과 과제 167
제2절 국내 분석 174
1. 2030 NDC 분석 174
가. 경제 파급효과 분석(탄소가격제) 174
나. 산업 영향 182
다. 노동시장 영향 분석 184
2. 전환적 관점의 탄소중립 국가전략 활성화 방안 197
가.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전략: 이론적 배경 197
나. 국가전략 활성화 방향 203
제3장 국내 부문별 세부 쟁점 및 대응방향 209
제1절 전환부문 210
1. 기존 계획 수정의 필요성 210
가. 재생에너지 비중 210
나.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치 212
2. 2050 탄소중립 전환부문 목표달성을 위한 단계별 과제 214
가. 2030 NDC와 차기(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정합성 214
나. 2040 재생에너지 목표 설정 217
다. 2050 넷제로 목표달성을 위한 전환부문 과제 223
제2절 산업부문 229
1. 배경 229
가.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현황과 특성 229
나. 산업부문 탄소중립의 중요성과 의의 234
2. 산업부문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현안 237
가. 산업부문의 2050 탄소중립 비전 237
나. 주요 추진방향과 영향 238
다. 전제조건 및 핵심 현안 240
제3절 수송부문 242
1. 수송부문 탄소중립 정책 개요 242
가. 국내 수송부문 탄소중립 정책 242
2. 도로부문 쟁점 및 대응방향 247
가. 도로부문 탄소배출 현황 247
나. 도로부문 주요 쟁점 및 대응방향 247
3. 철도부문 쟁점 및 대응방향 254
가. 철도부문 현황 254
나. 장애요인 260
다. 추진방향 및 과제 262
4. 항공부문 쟁점 및 대응방향 264
가. 항공부문 현황 264
나. 항공부문 주요 이슈 및 전망 265
다.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항공부문 정책방향 268
5. 물류부문 쟁점 및 대응방향 273
가. 현안 273
나. 장애요인 276
다. 추진방향 및 과제 282
6. 해운부문 쟁점 및 대응방향 285
가. 국내 해운부문 탄소배출 현황과 문제점 285
나. 국외 해운부문 탄소배출 정책 사례 291
다. 국내 해운부문 탄소중립 구현방안 295
제4절 건물부문 303
1. 정책 현황 303
가. 국내 정책 현황 303
나. 국외 정책 현황 306
2. 현안 및 쟁점 사항 310
가. 건물에너지 효율향상 부문 310
나. 탄소중립을 위한 인프라 부족 312
다. 기타 쟁점 사항 313
3. 건물부문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추진방향 316
가. 건물에너지 효율향상 부문 316
나. 탄소중립 인프라 확보방안 320
다. 기타 쟁점 사항 대응방향 323
4. 결론 327
제5절 농업부문 328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28
가. 연구의 필요성 328
나. 연구 목적 329
2. 농업부문 탄소배출 현황 및 감축목표 330
가. 농업부문 탄소배출량 현황 330
나. 농업부문 탄소배출 감축목표 331
3. 탄소감축 수단 및 평가 333
가. 비에너지 333
나. 에너지 355
4. 탄소중립 정책방향 367
가. 비에너지 367
나. 에너지 371
제6절 수산 및 해양 부문 377
1. 수산부문 377
가. 수산부문 탄소배출 현황과 문제점 378
나. 국외 수산부문 탄소중립 관련 정책 382
다. 수산부문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전문가 조사 384
라. 국내 수산부문 탄소중립 구현방안 396
마. 소결 400
2. 블루카본 401
가. 우리나라 블루카본 현황 및 관리 402
나. 국외 블루카본 현황 및 관리 409
다. 블루카본 쟁점 사항 411
라. 소결 418
3.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 419
가.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의 탄소중립 추진현황 및 문제점 419
나. 국외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 정책 425
다.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의 쟁점 사항 429
라.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 부문 탄소중립 구현방안 430
4. 항만분야 탈탄소화 433
가. 우리나라 항만 탄소배출 현황과 문제점 436
나. 국외 항만 탄소배출 저감 사례 444
다. 국내 항만 탄소배출 저감 사례 448
라. 탄소중립 항만 구현방안 451
5. 해상풍력과 해역 이용방식의 전환 454
가. 해상풍력 국내외 추진동향 455
나. 해상풍력 해역 이용방식의 특성 461
다. 해역 이용방식의 변화 469
제7절 폐기물 부문 472
1. 국내 폐기물 부문 현황 472
가. 폐기물 발생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472
나. 폐기물 부문 감축목표 및 국가 폐기물 정책 현황 476
2. 순환경제와 폐기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479
가. 순환경제로의 이행과 온실가스 감축 479
나. 순환경제의 온실가스 감축효과 480
다. 국내 시사점 481
3. 순환경제 구축을 위한 폐기물 부문 주요 현안 483
가. 주요 현안에 대한 다각도 분석 483
나. 현안 관련 주요 이슈 486
4. 순환경제 이행 및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대응방향 489
가. 중장기 대응방향 489
나. 정책 주체별 대응방향 491
다. 순환경제 달성을 위한 대전환적 목표 493
제4장 탄소중립 구현방안: 기반 점검 및 구축 분야 498
제1절 재생에너지 확대 499
1. 국내외 재생에너지 현황 및 목표 499
가. 주요국 탄소중립 전략에서의 목표 비교 499
나. 국내 재생에너지 목표의 비교와 시사점 501
2. 재생에너지 확산을 통한 탄소중립 구현 504
가. 제주도 재생에너지 확대의 시사점 504
나. 재생에너지가 전력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507
3. 2050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한 단계별 과제 512
가. 2030년 NDC 상향조정에 따른 고려사항 513
나. 2040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를 위한 과제 516
다. 2050 넷제로 달성을 위한 그린에너지 통합시스템 518
제2절 에너지가격, 전력시장제도 520
1.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가격체계 개편 520
가. 에너지 가격체계의 현황 520
나. 에너지 가격체계의 문제점 및 개편방향 530
2. 탄소중립을 위한 전력시장제도 개편 534
가. 전력시장제도 현황 및 문제점 534
나. 전력시장제도 개편방향 540
3. 2050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한 단계별 과제 543
가. NDC 상향조정 단계(2030년) 543
나. 중간 단계(2040년) 545
다. 탄소중립 목표달성 단계(2050년) 548
제3절 에너지세제, 탄소세 550
1. 배경 550
가. 탄소가격 부과체계 개요 550
나. 탄소가격체계 현황 550
2. 탄소배출 관련 현황 및 제세부담금 현황 553
가. 우리나라 현행 에너지 관련 세제 체계 553
나. 주요국과의 국제비교 555
3. 주요국의 탄소가격체계 도입 사례 564
가. 탄소세 도입 사례 564
나.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 연계 사례 567
4. 탄소가격 부과체계 개편방안 570
가. 현행 탄소가격체계 적정성 평가 570
나. 탄소가격체계 도입방안 576
제4절 바람직한 산업재편 방향 581
1. 탄소중립과 한국 산업의 SWOT 분석 581
가. 한국 산업의 강점 및 기회요인 581
나. 한국 산업의 약점 및 위협요인 582
2. 주요 산업의 탄소중립 추진방향 및 전망 584
가. 소재산업 584
나. 전기전자 산업 587
다. 수송ㆍ일반기계 산업 588
3. 추진전략 591
가. 기본 방향 591
나. 주요 전략 594
제5절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방향 599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599
가. 연구 배경 599
나. 연구 필요성 및 목적 601
2. 탄소중립 R&D 투자현황 및 정책동향 602
가. 국내외 탄소중립 R&D 투자 602
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현황 및 개선방향 609
3. 탄소중립 중점기술별 과학기술정책 방안 621
가. 탄소중립 중점기술 선정 621
나. 탄소중립 중점기술별 정책방안 631
4. 결론 661
제5장 탄소중립 구현방안: 실천적 이행방안 663
제1절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664
1.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 664
가. 정의로운 전환과 거버넌스 664
나. 정의로운 전환 거버넌스 국외 사례 665
2. 거버넌스 진단과 발전방향 667
가. 현재의 거버넌스 667
나. 발전방향 668
3.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669
가. 중층적 거버넌스 669
나. 사회적 대화 670
다. 단체교섭 671
제2절 보건분야 사회안전망 확충방안 672
1. 보건분야 사회안전망 확충의 필요성 672
2. 국외 보건분야 탄소중립 정책 동향 676
가. 미국 676
나. 영국 681
다. 캐나다 685
라. 국제기구 689
3. 우선순위 보건정책 실천방안 692
가. 국민건강보장체계 지원을 위한 실천방안 692
나. 보건분야 공동편익을 위한 실천방안 703
다. 기후-건강 리터러시 제고를 위한 실천방안 710
제3절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을 위한 정책방향 720
1. 모빌리티 전환 및 관련 인프라 확충방향 720
가. 친환경 자동차 전환 및 친환경 모빌리티 확대방향 720
나. 전기충전소 및 수소충전소 확충방안 724
다. 친환경 물류체계 구축방향 729
2. 모빌리티 전환을 위한 지원정책 방향 736
가. 친환경차 전환을 위한 보조금 지원 및 공정 전환 736
나. 교통세제 개편 및 투자재원 확보 739
제4절 탄소세 도입의 주요 쟁점: 세수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741
1. 탄소세 도입의 필요성과 의미 741
가. 기존 에너지 세제의 문제 741
나. 탄소세 도입의 장점과 유의점 742
다.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의 정책 조합 743
2. 탄소세 도입 방향: 세입에서의 주요 쟁점들 745
가. 배출권거래제와의 정책 조합 745
나. 과세의 범위 745
다. 탄소세의 적절 세율 748
라. 산업별ㆍ부문별 차등화 749
마. 탄소세 부과 시점 750
3. 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한 세수 활용방안 751
가. 탄소세를 둘러싼 우려와 세수 활용방안 751
나. 국가별 세수 활용방안과 사회적 수용성 문제 752
다. 세수 활용방안을 통한 사회적 수용성의 개선 가능성 754
라. 세수 활용방안과 정보제공의 상호작용 757
마. 장기효과 758
4. 정책 제언 760
제5절 탄소중립 리빙랩 모델 개발 761
1. 탄소중립 리빙랩의 필요성 761
가. 리빙랩의 개념 및 특성 761
나. 탄소중립을 위한 혁신모델로서 리빙랩의 필요성 762
2. 탄소중립 리빙랩 추진현황 및 국내외 주요 사례 765
가. 탄소중립 리빙랩 추진현황 765
나. 국내외 주요 사례 767
3. 탄소중립 리빙랩 추진모델 제안: '탄소중립 섬' 780
가. 추진 배경 781
나. 추진 개요 782
다. 추진 절차 및 세부 추진 방법 786
4. 결론 및 시사점 789
제6장 요약 및 결론 791
1. 주요 현안 792
2. 주요 정책과제 796
가. 기반 점검 및 구축 분야 797
나. 실천적 이행 주요 분야 804
다. 거버넌스 체계 구축 강화 810
참고문헌 820
판권기 873
[그림 2-1] NDC에 명시된 감축목표 유형별 비중 66
[그림 2-2] NDC에 명시된 분야별 비중 66
[그림 2-3] NDC에 명시된 국내 감축분야 우선순위 66
[그림 2-4] 글로벌 기후재원 규모 74
[그림 2-5] 선진국이 제공 및 조성한 기후재원 규모 75
[그림 2-6] TCFD 권고안 프레임워크 79
[그림 2-7] SASB 프레임워크 79
[그림 2-8] 선진국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지원 규모 및 목적 80
[그림 2-9] OECD DAC 회원국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분석 81
[그림 2-10] OECD DAC 회원국 및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비교: 지역별ㆍ분야별 82
[그림 2-11] 다자개발은행(MDBs)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분석 83
[그림 2-12] 다자개발은행(MDBs)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지역별ㆍ분야별 84
[그림 2-13] 다자기후기금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분석 85
[그림 2-14] 다자기후기금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지역별ㆍ분야별 86
[그림 2-15] 민간 기후재원 규모 및 기관별 비중 88
[그림 2-16] 재생에너지 투자 규모 및 기관별 투자비중 89
[그림 2-17] 재생에너지 투자 비교: 에너지원별ㆍ지역별 90
[그림 2-18] 민간 참여 재생에너지 투자 특징 91
[그림 2-19] 전 세계 지속가능성 관련 금융상품 발행 규모: 분석기관별 92
[그림 2-20] 전 세계 녹색채권 발행 비교: 지역별ㆍ분야별 93
[그림 2-21] 전 세계 및 우리나라의 기관별 녹색채권 발행 규모 및 비중 95
[그림 2-22] 우리나라의 사회책임투자 채권별 상장 잔액 및 신규 상장 규모 (2018~2021년 11월 11일) 96
[그림 2-23] GCCA+의 영역별 금융지원 비중 98
[그림 2-24] GCCA+의 주제별 금융지원 비중 99
[그림 2-25] Climate Investment Funds 구성 114
[그림 2-26] GCF 주요 공여국 현황 117
[그림 2-27] GEF 기금의 단계별 충원 규모 119
[그림 2-28] GEF 주요 공여국 현황(GEF 4~7기 누적 약정액 기준) 120
[그림 2-29] '주거 및 상업 건물' 분야 에너지 효율 실현을 위한 정책 영역ㆍ목표ㆍ비전 129
[그림 2-30] 유럽 지방정부의 정책 부문별 투자현황(2017-2019) 133
[그림 2-31] CNCA 회원 도시별 중ㆍ장기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 137
[그림 2-32] 포틀랜드 기후행동계획의 14개 실천방안 140
[그림 2-33] 포틀랜드 기후행동계획의 계획 부문과 20개 목표 141
[그림 2-34] 탄소가격제 도입현황 149
[그림 2-35] 탄소시장 접근 논의 경과 153
[그림 2-36] 청정개발체제(CDM) 거버넌스 구조 157
[그림 2-37]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절차 157
[그림 2-38] 청정개발체제(CDM) 사업 지역별 분포 159
[그림 2-39] 청정개발체제(CDM) PoA 사업 지역별 분포 159
[그림 2-40] 일본 JCM 양자 협력체계 162
[그림 2-41] CGE 모형의 생산기술 구조: Nested CES 175
[그림 2-42] 시나리오별 글로벌 CO₂ 배출량 추이 179
[그림 2-43] 시나리오별 지역별 주요 지표 영향(2024-2049년, BAU 대비 %) 181
[그림 2-44] 2030 NDC 산업부문 감축목표 비교 182
[그림 2-45] 석탄화력 폐지 예정 지역 194
[그림 2-46] 해상풍력단지 예정 지역 194
[그림 2-47] 전환 역학 X 곡선 모형 199
[그림 2-48] 다층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전환 거버넌스 활동의 이해 200
[그림 2-49] 우리나라 탄소중립 추진체계 204
[그림 2-50] 우리나라 탄소중립 활성화 방향 접근체계 208
[그림 3-1] 한국 전력도매시장 구조의 현재와 미래 216
[그림 3-2]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경로 217
[그림 3-3] 에너지 탄소중립 혁신전략(2021.12.10) 224
[그림 3-4] 혁신전략 4대 과제별 추진일정(2021.12.10) 225
[그림 3-5] 혁신전략 실현 이정표(2021.12.10) 226
[그림 3-6] 주요국 온실가스 배출집약도 비교 233
[그림 3-7] 국내 제조업 업종별 탄소집약도 및 부가가치 233
[그림 3-8] 세부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구조 234
[그림 3-9] 제조업 내 산업 간 연계구조 235
[그림 3-10] 2020년 GDP 대비 수출액 비중 236
[그림 3-11] 2030년 및 2050년의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243
[그림 3-12] 2030 NDC 및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주요 실행방안 244
[그림 3-13]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247
[그림 3-14] 전기차 등록대수 현황 및 보급 계획 248
[그림 3-15] 국내 전기차 충전기 보급 현황(좌)과 수소전기차 및 충전소 구축 현황(우) 250
[그림 3-16]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교통수요관리 방안 253
[그림 3-17] 철도화물 수송 전환 보조금 255
[그림 3-18] 솔라 레일로드(Solar Railroad) 그린뉴딜 협력사업(예시) 256
[그림 3-19] 연속강하접근 vs 비연속강하접근 절차 비교 269
[그림 3-20] ICAO의 온실가스 저감노력을 반영한 국제항공의 예상 CO₂ 배출량 전망 270
[그림 3-21]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2018년) 274
[그림 3-22] 물류부문 수단별 온실가스 배출량(2018년) 274
[그림 3-23] 수단별 화물수송 실적(2010-2019년) 275
[그림 3-24] 물류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275
[그림 3-25] 친환경 차량 보급목표 달성을 위한 연간 보급대수 추정 277
[그림 3-26] 국내 수단별 화물수송 분담률 280
[그림 3-27] 화물부문 수단별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280
[그림 3-28] 철도화물 수송분담률, 취급역, 정시율 281
[그림 3-29] 화물자동차 탄소배출 원단위(2013, 2018년) 282
[그림 3-30] 우리나라 해양수산 분야 2050 탄소중립 비전 및 목표 288
[그림 3-31] 독일의 Climate Action Plan 2050 부문별 목표 293
[그림 3-32] BEMS 개념도 308
[그림 3-33] 미국의 MCS 분석 결과 309
[그림 3-34] 일본의 건축물 에너지 효율 생애주기 관리 사례 318
[그림 3-35] 건물에너지 평가프로그램 ECO2 매뉴얼 318
[그림 3-36] 국토교통부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로드맵 320
[그림 3-37] 건물에너지 사용량 정보의 지도화 데이터 323
[그림 3-38] 건물부문 배출권거래제 개념과 운영방식 325
[그림 3-39] 농업ㆍ농촌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책 비전과 목표 및 추진전략 330
[그림 3-40] 간단관개, 논물 얕게 대기(논물 걸러대기) 기술 사용 여부 335
[그림 3-41] 무경운/최소경운, 녹비작물 재배기술 사용 여부 336
[그림 3-42] 바이오차 기술 사용 의향 337
[그림 3-43] 논벼 농가의 온실가스 감축기술 확산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노력 338
[그림 3-44] 시설재배 농가의 온실가스 감축기술별 사용 여부 339
[그림 3-45] 시설재배 농가의 온실가스 감축기술 확산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노력 340
[그림 3-46] 퇴ㆍ액비, 바이오에너지 공동자원화 시설 사용 여부 341
[그림 3-47] 축산농가에서 반추가축에 양질의 조사료 급여 여부 342
[그림 3-48] 메탄저감 사료, 적정단백질 사료 급여 의향 여부 343
[그림 3-49] 축산농가의 온실가스 감축기술 확산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노력 344
[그림 3-50]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추진현황 345
[그림 3-51] 재생에너지 관련 계통한계가격과 공급인증서 가격변화 추이 365
[그림 3-52] 농업ㆍ농촌 에너지 전환 체계도 371
[그림 3-53] 수산업 부문별 주요 탄소배출원의 범위 378
[그림 3-54] 수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직접 배출량) 379
[그림 3-55] 연근해 어업 어선 척수 추이 379
[그림 3-56] 유종별 면세유 공급량 추이 379
[그림 3-57] 해양수산부 수산ㆍ어촌 탄소중립 이행 계획 381
[그림 3-58] 수산부문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안) 399
[그림 3-59] 전 세계 블루카본 생태계 분포 401
[그림 3-60] IPCC에서 탄소감축원으로 인정한 해안의 블루카본 생태계 402
[그림 3-61] 연안 식생을 통해 토양에 격리되는 탄소의 흐름을 나타낸 블루카본 모식도 403
[그림 3-62] 해안에서 관찰할 수 있는 유기탄소 함량이 높은 유기토양(좌)과 유기탄소 함량이 낮은 광물토양(우)의 전형적인 모습 404
[그림 3-63] 열대림보다 30~50배 높은 탄소격리율을 보여주는 블루카본 생태계 405
[그림 3-64] 제1차 갯벌 등의 관리 및 복원에 관한 기본계획의 비전 및 추진전략 407
[그림 3-65] 블루카본 관련 전 세계 주요 연구 및 정책 흐름 410
[그림 3-66] 라이다(LiDar)를 이용해 염생식물 종류별 분포면적과 지상 생체량을 추정한 모습 411
[그림 3-67] 탄소흡수가 높은 건강한 블루카본 생태계(좌)와 탄소배출원이 된 황폐한 블루카본 생태계(우) 모식도 416
[그림 3-68] 제3차 녹색성장 5개년계획(2019~2023)상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점과제 420
[그림 3-69]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구조 및 10대 추진과제 421
[그림 3-70] 2018년 대비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 총괄표 및 CCUS 개념도 422
[그림 3-71] 전 세계 석유 및 천연가스 저장공간 규모 425
[그림 3-72] 미국 CCS 설비 현황 426
[그림 3-73] 유럽의 CCS 시설 현황 427
[그림 3-74] 영국의 CO₂ 배출원 및 CCS 저장시설 427
[그림 3-75] 노르웨이 Northern Lights 프로젝트 428
[그림 3-76] 컨테이너 항만 영역별 주요 장비 434
[그림 3-77] 전국항만위치도 435
[그림 3-78]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 종합계획 비전 및 추진전략 441
[그림 3-79] LA항 LNG 야드 트랙터 444
[그림 3-80] LA/LB항 클린트럭 프로그램 스티커(샘플) 445
[그림 3-81] 로테르담항 CO₂ 배출 추이 446
[그림 3-82] 함부르크항 유로게이트 LED 조명 447
[그림 3-83] 톈진항 내 풍력발전 시설 448
[그림 3-84] 부산항 LNG 야드 트랙터 449
[그림 3-85] e-RTGC 개조 도면 450
[그림 3-86] 광양항 e-RTGC 도입 모습 450
[그림 3-87] 항만분야 탄소중립 시점 추정(예) 453
[그림 3-88] 미국 주별 해상풍력발전 목표량(좌), 미 북동부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우) 456
[그림 3-89] 2021~2025년 미국 BOEM 해상풍력 발전지구 임대계획 457
[그림 3-90] 국내 상업운영 중인 해상풍력 전경 460
[그림 3-91] 풍력발전기 규모의 발전 461
[그림 3-92] 해상풍력단지와 선박통항로 사례 464
[그림 3-93] 해상풍력발전기 위치의 변화(수심과 해안에서의 거리) 467
[그림 3-94] 지구 곡률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 조망가능 범위 467
[그림 3-95] 영국 Round 4 계획 입지와 미국의 풍력발전 임대구역 468
[그림 3-96] 끄는 어구의 종류 470
[그림 3-97] 정치망과 낚시 어구의 종류 470
[그림 3-98]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2010-2019년) 475
[그림 3-99] 선형, 재사용, 순환경제 480
[그림 3-100] 국내 순환경제 관련 계획들의 추진체계 현황 489
[그림 3-101] 중장기 대응방향 및 추진체계 방향(원문불량) 490
[그림 3-102]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대전환적 대응방향(원문불량) 497
[그림 4-1] 일본의 2030년 에너지 수요 및 1차 에너지 공급 전망 501
[그림 4-2] 한국의 탄소중립 목표와 에너지 계획 502
[그림 4-3] 재생에너지 비중에 따른 주요 과제 504
[그림 4-4] 제주도 출력제한 현황 505
[그림 4-5] 제주도와 육지의 전력수요 패턴 비교 507
[그림 4-6] 재생에너지 비율에 따른 월별 출력제한 분석 508
[그림 4-7] 계절별 대표 월의 수급불균형 비교 508
[그림 4-8] 인버터 기반 재생에너지 확대의 영향 510
[그림 4-9] 재생에너지 비중에 따른 분야별 대응 512
[그림 4-10] 섹터커플링 기술을 활용한 최종전력소비 부문의 탈탄소화 518
[그림 4-11] 그린에너지 통합시스템 구상도 519
[그림 4-12] 공공요금 결정과정 521
[그림 4-13] 총괄원가 산정방식 522
[그림 4-14] 현행 및 개선 전기요금체계 524
[그림 4-15] 도시가스요금 구조 525
[그림 4-16] 지역난방 열요금 조정절차 526
[그림 4-17] 열요금 체계 527
[그림 4-18] 석유제품의 가격결정 과정 528
[그림 4-19] 에너지 가격체계의 중장기 방향성 533
[그림 4-20] 전력산업 구조도 535
[그림 4-21] 하루 중 시간대별 부하 패턴과 발전원별 도매시장 가격결정(예시) 535
[그림 4-22] 제약발전 전력량 정산금(CON)과 제약비발전 전력량 정산금(COFF) 537
[그림 4-23] 전력 도매시장에서 정산조정계수를 적용한 발전사업자의 수익조정 538
[그림 4-24] 전력 도매시장의 운영절차 539
[그림 4-25] 섹터커플링(Sector Coupling) 개념 및 에너지 부문별 연계 547
[그림 4-26] OECD 회원국 무연휘발유 가격 및 세율(2020년 2분기 기준) 555
[그림 4-27] OECD 각국의 무연휘발유 세율(2020년 2분기 평균 기준) 557
[그림 4-28] OECD 회원국 무연휘발유 가격 대비 세율 비중(2020년 2분기 기준) 559
[그림 4-29] OECD 회원국의 자동차용 경유 가격 및 세율(2020년 2분기 기준) 560
[그림 4-30] OECD 회원국의 비상업용 자동차 경유 세율(2020년 2분기 기준) 562
[그림 4-31] OECD 회원국 경유 가격 대비 세율 비중(2020년 2분기 기준) 563
[그림 4-32] 최근 에너지세제 관련 비과세ㆍ감면제도 규모 추이 580
[그림 4-33] 철강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585
[그림 4-34] 화학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586
[그림 4-35] 자동차 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589
[그림 4-36] 조선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590
[그림 4-37] 제조업 이산화탄소 배출요인 분해 592
[그림 4-38] 탄소중립 선언 현황 599
[그림 4-39] 기술혁신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 시나리오 전망(2019~2070년) 600
[그림 4-40]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 개발사업(안) 604
[그림 4-41] 탄소중립 혁신기술 개발사업 비전 및 목표 605
[그림 4-43] 호주 기술투자 로드맵에서의 기관별 투자 할당량 614
[그림 4-44] 그랜드 컨소시엄 중심의 기술개발 성과 공유 616
[그림 4-45]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619
[그림 4-46] 상용화 주기를 줄일 수 있는 '단축 달리기' 플랫폼 주요 내용 620
[그림 4-47] 탄소중립 R&D 10대 핵심투자 분야 621
[그림 4-48] 탄소중립 기술혁신 10대 핵심기술 개발전략 622
[그림 4-49] 탄소중립 R&D 중점기술별 대표기술 623
[그림 4-50] 8대 분야 에너지 핵심기술 예시 624
[그림 4-51] 부처별 탄소중립 혁신전략과 중점기술 625
[그림 4-52] 수소제조 관련 특허등록 추이(2000~2021년) 641
[그림 4-53] 수소제조 관련 출원인 국별 등록특허 비중(좌) 및 국내 관련 특허의 특허경쟁력(우) 642
[그림 4-54] 국가필수전략기술 선정 및 기술경쟁력에 따른 전략 유형화 644
[그림 4-55] CO₂ 포집기술 개념도 649
[그림 4-56] CO₂ 화학전환 기술 개념도 649
[그림 4-57] CO₂ 생물전환 기술 개념도 650
[그림 4-58] CO₂ 광물탄산화 기술 개념도 650
[그림 4-59] 기타탄소 활용기술 개념도 650
[그림 4-60] 국가 CCS 종합 추진계획 비전 및 목표 651
[그림 4-61] CCUS 기술 개념도 및 CCU 로드맵 범위 652
[그림 4-62] CCUS 기술개발 전략 653
[그림 4-63] 해외 CCU 활용 탄소중립 시나리오 656
[그림 5-1] 독일 탈석탄위원회 구성 666
[그림 5-2] 중층적 거버넌스 예시 669
[그림 5-3]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의 기후변화-건강영향 관련 주요 이슈 672
[그림 5-4] 국가 탄소중립 전략 675
[그림 5-5] 미국 보건복지부의 기후변화 및 건강 형평성 문제 정의 680
[그림 5-6] NHS 직ㆍ간접 활동범위(carbon footprint + carbon footprint Plus)별 탄소배출량 683
[그림 5-7] NHS의 온실가스 프로토콜 범위 683
[그림 5-8] 위해 없는 보건의료(Health Care Without Harm)의 국제활동 690
[그림 5-9] 건강보장체계: 포괄범위와 하위 대응체계의 설정 693
[그림 5-10] 보편적 건강보장(UHC) 큐브 694
[그림 5-11]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위험과 건강보험의 보장 영역 703
[그림 5-12] 기후변화 대응의 구분 707
[그림 5-13] NIEHS의 보건의료 계열 대학생 대상 교육자료 예시 714
[그림 5-14] NIEHS의 기후변화와 건강 관련 문헌 포털 715
[그림 5-15] 친환경 자동차 보급대수 전망 720
[그림 5-16] 전국 전기충전소(좌) 및 수소충전소(우) 현황 725
[그림 5-17] 수소충전소 개념(좌) 및 수소충전소 설치 반대 현수막 모습(우) 727
[그림 5-18]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도로화물 수송수단 전환 732
[그림 5-19] 친환경 철도화물 운송체계 경쟁력 강화 733
[그림 5-20] 물류ㆍ화주기업의 ESG 경영체제 구축 735
[그림 5-21] 장래 교통세수 부족분 추정 결과 740
[그림 5-22] 교통에너지환경세 징수액과 국세 대비 비중 변화 742
[그림 5-23] 시점별 최적 탄소가격제도 748
[그림 5-24] 세수 활용방안의 정책효과 756
[그림 5-25] 정보제공 이후 탄소세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757
[그림 5-26] 세수 활용방안별 정보제공의 효과 758
[그림 5-27] 장기효과 759
[그림 5-28] 리빙랩의 공통 속성 762
[그림 5-29] 사회ㆍ기술 시스템 전환과 리빙랩 763
[그림 5-30] 성대골 에너지 전환 리빙랩 768
[그림 5-31] 3단계 스케일업 방식의 시민 아이디어 지원사업 770
[그림 5-32] '저탄소밥상' 팀의 '풀씨' 활동 결과: 서울시청 주 1회 채식의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 771
[그림 5-33] '저탄소밥상' 팀의 '풀꽃' 프로젝트 결과: 개인 맞춤형 저탄소 식생활 코칭 프로그램 앱('THE하기') 개발 772
[그림 5-34] 어류 부산물의 발생 773
[그림 5-35] 비토스 리빙랩의 어류 부산물 가치사슬 774
[그림 5-36] ENERGISE 리빙랩 기본 설계 776
[그림 5-37] ENERGISE 리빙랩 난방 챌린지(좌)와 세탁 챌린지 키트(우)(스위스) 777
[그림 5-38] 포커스 그룹 토의(좌: 핀란드, 우: 헝가리) 777
[그림 5-39] 국가별 난방 챌린지 이전 및 챌린지 기간 동안의 침실온도 비교 778
[그림 5-40] 국가별 세탁 챌린지 이전, 직후 및 챌린지 종료 3개월 후 주당 세탁 횟수 비교 778
[그림 5-41] 임무지향적 혁신정책 개념도(예시): 2038년까지 맨체스터 지역의 탄소중립도시지역 실현 783
[그림 5-42] 탄소중립 섬 리빙랩 공모사업 추진방향 785
[그림 5-43] 주민들이 만든 마을 공유 비전 및 마을 자원 지도: 창원시 교방동 마을리빙랩 사례 787
[그림 6-1] 네덜란드 에너지 전환 플랫폼과 통합 거버넌스 812
[그림 6-2]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통합적 거버넌스 체계 816
[그림 6-3] 지역화 모델 추진전략: 지역 간 확산, 규모화 81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42760 | 363.73874 -22-16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42761 | 363.73874 -22-16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