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서문 5

목차 7

제1부 서문 9

제1.1장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GHS)의 목적, 범위 및 적용 11

1.1.1. 목적 11

1.1.2. 범위 12

1.1.3. GHS의 적용 15

1.1.4. GHS 문서 17

제1.2장 정의 및 약어 18

제1.3장 유해위험 물질 및 혼합물의 분류 23

1.3.1. 서문 23

1.3.2. GHS에 대한 일반 고려사항 24

1.3.3. 혼합물 분류에 대한 특별 고려사항 26

제1.4장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표지 28

1.4.1. 목적, 범위 및 적용 28

1.4.2. 용어 28

1.4.3. 대상자 28

1.4.4. 이해도 29

1.4.5. 번역 30

1.4.6. 표준화 30

1.4.7. 정보의 갱신 30

1.4.8. 영업기밀정보 31

1.4.9. 훈련 32

1.4.10. 표지 절차 32

제1.5장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물질안전보건자료(SDS) 39

1.5.1. 조화시스템에서의 물질안전보건자료(SDS)의 역할 39

1.5.2. SDS를 작성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39

1.5.3.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을 위한 일반적 지침 39

제2부 물리적 위험성 43

제2.1장 폭발성 물질 45

2.1.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45

2.1.2. 분류 기준 48

2.1.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49

2.1.4. 판정 논리 및 해설 50

2.1.4. 폭발 위험 수준 설명 53

제2.2장 인화성 가스 55

2.2.1. 정의 55

2.2.2. 분류 기준 55

2.2.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56

2.2.4. 판정 논리 및 해설 56

2.2.5. 예시: ISO 10156:2017에 따른 계산으로 인화성 가스 혼합물 분류 공식 59

제2.3장 에어로졸 및 고압 화학물질 60

2.3.0. 서문 60

2.3.1. 에어로졸 60

2.3.2. 고압 화학물질 64

2.3.3. 특정 연소열에 대한 해설 66

제2.4장 산화성 가스 67

2.4.1. 정의 67

2.4.2. 분류 기준 67

2.4.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67

2.4.4. 판정 논리 및 해설 67

제2.5장 고압가스 70

2.5.1. 정의 70

2.5.2. 분류 기준 70

2.5.3. 유해위험성 정보 전달 70

2.5.4. 판정 논리 및 해설 71

제2.6장 인화성 액체 73

2.6.1. 정의 73

2.6.2. 분류 기준 73

2.6.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73

2.5.4. 판정 논리 및 해설 74

제2.7장 인화성 고체 77

2.7.1. 정의 77

2.7.2. 분류 기준 77

2.7.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77

2.7.4. 판정 논리 78

제2.8장 자기반응성 물질 및 혼합물 79

2.8.1. 정의 79

2.8.2. 분류 기준 79

2.8.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80

2.8.4. 판정 논리 및 해설[원문불량;p.74] 81

제2.9장 자연발화성 액체 84

2.9.1. 정의 84

2.9.2. 분류 기준 84

2.9.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84

2.9.4. 판정 논리 및 해설 84

제2.10장 자연발화성 고체 86

2.10.1. 정의 86

2.10.2. 분류 기준 86

2.10.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86

2.10.4. 판정 논리 및 해설 86

제2.11장 자기발열성 물질 및 혼합물 88

2.11.1. 정의 88

2.11.2. 분류 기준 88

2.11.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89

2.11.4. 판정 논리 및 해설 89

제2.12장 물반응성 물질 및 혼합물 91

2.12.1. 정의 91

2.12.2. 분류 기준 91

2.12.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91

2.12.4. 판정 논리 및 해설 92

제2.13장 산화성 액체 93

2.13.1. 정의 93

2.13.2. 분류 기준 93

2.13.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93

2.13.4. 판정 논리 및 해설 93

제2.14장 산화성 고체 95

2.14.1. 정의 95

2.14.2. 분류 기준 95

2.14.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95

2.14.4. 판정 논리 및 해설 96

제2.15장 유기과산화물 98

2.15.1. 정의 98

2.15.2. 분류 기준 98

2.15.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100

2.15.4. 판정 논리 및 해설[원문불량;p.93] 100

제2.16장 금속부식성 물질 103

2.16.1. 정의 103

2.16.2. 분류 기준 103

2.16.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103

2.16.4. 판정 논리 및 해설 103

제2.17장 둔감화된 폭발성 물질 105

2.17.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105

2.17.2. 분류 기준 105

2.17.3. 유행위험성 정보전달 106

2.17.4. 판정 논리 및 해설 106

제3부 건강 유해성 109

제3.1장 급성독성 111

3.1.1. 정의 111

3.1.2. 물질 분류 기준 111

3.1.3. 혼합물 분류 기준 113

3.1.4. 위험 표시 118

3.1.5. 판정 논리[원문불량;p.111-112] 119

제3.2장 피부부식성/자극성 121

3.2.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121

3.2.2. 물질 분류 기준 121

3.2.3. 혼합물 분류 기준 126

3.2.4. 위험 표시 129

3.2.5. 결정 논리와 지침 129

제3.3장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136

3.3.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136

3.3.2. 물질 분류 기준 136

3.3.3. 혼합물 분류 기준 140

3.3.4. 위험 표시 143

3.3.5. 판정 논리와 지침 143

제3.4장 호흡기 또는 피부 과민성 148

3.4.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148

3.4.2. 물질 분류 기준 148

3.4.3. 혼합물 분류 기준 153

3.4.4. 위험 표시 154

3.4.5. 결정 논리 155

제3.5장 생식세포 변이원성 157

3.5.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157

3.5.2. 물질 분류 기준 157

3.5.3. 혼합물 분류 기준 159

3.5.4. 위험 표시 160

3.5.5. 결정 논리와 지침 161

제3.6장 발암성 163

3.6.1. 정의 163

3.6.2. 물질 분류 기준 163

3.6.3. 혼합물 분류 기준 165

3.6.4. 위험 표시 166

3.6.5. 결정 논리와 지침 167

References 171

제3.7장 생식독성 172

3.7.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172

3.7.2. 물질 분류 기준 173

3.7.3. 혼합물 분류 기준 177

3.7.4. 위험 표시 179

3.7.5. 분류 결정 논리[원문불량;p.172] 179

제3.8장 특정표적장기독성(1회노출) 182

3.8.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182

3.8.2. 물질 분류 기준 182

3.8.3. 혼합물 분류 기준 186

3.8.4. 위험 표시 189

3.8.5. 1회노출 후 특정표적장기독성의 결정 논리 189

제3.9장 특정표적장기독성(반복노출) 192

3.9.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192

3.9.2. 물질 분류 기준 192

3.9.3. 혼합물 분류 기준 196

3.9.4. 위험 표시 199

3.9.5. 반복노출 후 특정표적장기독성의 결정 논리 199

제3.10장 흡입 유해성 201

3.10.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201

3.10.2. 물질 분류 기준 202

3.10.3. 혼합물 분류 기준 202

3.10.4. 위험 표시 203

3.10.5. 흡입 유해성 분류 결정 논리 204

제4부 환경 유해위험 207

제4.1장 수생 환경 유해성 209

4.1.1. 정의 및 일반 고려사항 209

4.1.2. 물질의 분류 기준 211

4.1.3. 혼합물의 분류 기준 218

4.1.4.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224

4.1.5. 수생 환경 유해위험 물질 및 혼합물에 대한 결정 논리[원문불량;p.217-218] 225

제4.2장 오존층 유해위험 231

4.2.1. 정의 231

4.2.2. 분류 기준 231

4.2.3. 유해위험성 정보전달 231

4.2.4. 오존층 유해위험 물질 및 혼합물에 대한 결정 논리 232

부속서 233

부속서 1. 분류 및 표지 요약서 235

부속서 2. (보류) 253

부속서 3. 유해위험 문구의 코드화, 예방조치문구의 사용 및 코드화, 유해위험 문구 그림문자의 코드화 및 예방조치 그림문자의 사례 255

부속서 4. 물질안전보건자료(SDS) 작성을 위한 지침 365

부속서 5. 유해 가능성에 기초한 소비자제품 표지 389

부속서 6. 이해도 시험 방법 395

부속서 7. GHS 표지 요소의 구성 예제 409

부속서 8. GHS 시스템에서의 분류 예제 431

부속서 9. 수생 환경 유해성에 대한 지침 439

A9.1. 서론 443

A9.2. 조화된 분류 체계 446

A9.3. 수생생태독성 449

A9.4. 분해성 458

A9.5. 생물 축적성 466

A9.6. QSAR의 이용 472

A9.7. 금속 및 금속 화합물의 물질 분류 476

부록 I. 기물질의 분해성 결정 484

부록 II. 수생 환경에서 분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489

부록 III. 유기물질의 생물농축 계수(BCF) 및 Kow 결정에 대한 기본적인 시험 원리와 측정 방법 493

부록 IV. 유기물질의 생물농축성에 미치는 외부 및 내부 요인의 영향 497

부록 V. 시험지침서 499

부록 VI. 참고자료 503

부속서 10. 수체에서 금속 및 그 화합물의 전환 및 용해에 대한 지침 509

부속서 11. 분류 시 발생하지 않은 다른 유해물질의 지침 521

판권기 535

뒷표지 536

이용현황보기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GH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45809 363.1791 -22-6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45810 363.1791 -22-6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