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책을 펴내며 / 이명우
식량안보 : 한눈에 보기
목차
Ⅰ. 식량안보의 이해 17
요약 18
1. 개념 19
가. 식량의 개념 19
나. 식량안보의 개념 20
2. 식량안보 관련 개념 25
가. 식량안보와 곡물의 관계 25
나. 식량주권 26
다. 식량자급률 27
라. 세계식량안보지수 28
3. 곡물 시장의 특성 30
Ⅱ. 세계 식량시장 동향 33
요약 34
1. 최근 곡물가격 동향 35
2. 최근 식량위기 원인 36
가. 기후변화 36
나. 코로나19 대유행 39
다. 전쟁과 갈등 41
3. 국제 곡물 수급 추세와 동향 45
가. 최근 식량가격 관련 지수 추이 45
나. 농식품 수출제한 조치 현황 49
다. 국제 곡물 수급 및 가격 전망 50
Ⅲ. 국내 식량안보 현황과 정책 55
요약 56
1. 현황 57
가. 국내 식량자급률 57
나. 국내 식량 수급 현황 61
2. 과거 정부의 식량안보 정책 63
가. 노무현 정부 63
나. 이명박 정부 67
다. 박근혜 정부 72
라. 문재인 정부 77
3. 최근 식량안보 정책 81
가. 식량주권 확보와 농가 경영안정 강화 81
나. 국제 협력을 통한 식량안보 대응 83
Ⅳ. 주요국 식량안보 현황과 정책 85
요약 86
1. 미국 87
2. 영국 91
3. 유럽연합 98
4. 프랑스 105
5. 독일 112
6. 일본 117
7. 싱가포르 128
Ⅴ. 관련 법령 및 입법 동향 137
요약 138
1.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약칭: 농어업식품기본법) 139
2. 「농지법」 143
3. 「양곡관리법」 144
4. 「해외농업·산림자원 개발협력법」(약칭: 해외농업산림법) 146
5. 21대 계류 의안 148
가.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148
나. 농지법 148
다. 양곡관리법 149
Ⅵ. 국회 논의 및 전문가 견해 153
요약 154
1. 국회 논의 155
가. 본회의 155
나. 상임위원회 156
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158
라. 국정감사 159
마. 토론회·세미나·정책자료 159
2. 전문가 견해 160
가. 국내 식량 생산·조달 기반 확대 160
나. 국외 식량 생산·조달 기반 확대 166
다. 식량·식품 기술 육성 170
라. 법률 제·개정을 통한 보완 173
참고문헌 175
국회도서관 발간 팩트북 시리즈 181
판권기 185
[뒷표지] 186
[그림 1] HLPE가 제시한 식량안보의 6대 요소 23
[그림 2] 농식품 및 가공식품 물가지수 추이(2010~2022년) 25
[그림 3] 팬오션이 지분 투자한 EGT 곡물터미널 31
[그림 4] 전 세계 평균기온 장기추세(1951~2020년) 38
[그림 5] 기후변화에 의한 2050년 농산물 수확량 예측 38
[그림 6] 2016/17~2020/21년 평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상품별 글로벌 생산 42
[그림 7] 최근 주요 곡물의 시카고 상품거래소(CBOT) 선물가격 추이 43
[그림 8] 최근 비료가격(2021년 10월~2022년 4월) 44
[그림 9]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비료·곡물의 세계시장 점유율 44
[그림 10] 2015년 이후 연도별 세계식량가격지수 추이 46
[그림 11] 2020년 이후 조기경보시스템 추이 47
[그림 12] 우크라이나-러시아 위기 기간 중 식량 수출제한(2022년 9월 26일까지) 49
[그림 13] 식량위기별 수출제한 조치의 영향을 받는 식량 교역 비중 50
[그림 14] 국내 식량자급률 및 곡물자급률 추이(1970~2020년) 58
[그림 15] 주요 곡물의 국가별 수입 비중(2021년) 62
[그림 16] 공공비축제 도입 배경 66
[그림 17] 영-EU TCA 발효 후 농산품 투입재의 상대적 수입 비중 변화 93
[그림 18] 식품 타입별 무역 수지(2018년) 106
[그림 19] 독일의 식량자급률(1990/91~2019/20년) 112
[그림 20] 독일의 품목별 식량자급률(2020년) 113
[그림 21] 독일 경작지의 곡물 생산 현황(2021년) 114
[그림 22] '긴급사태식량안전보장지침'의 개요 120
[그림 23] 일본 전농의 배합사료 해외 원료 곡물의 유통체계 125
[그림 24] 싱가포르의 품목별 식량자급률(2019~2021년) 128
[그림 25] 싱가포르 식량 품목별 주요 수입국 129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 0002948823 | 338.19 -22-1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 0002948824 | 338.19 -22-17 |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 이용가능 | |
| B000061176 | 338.19 -22-17 | 부산관 의회자료실(2층) | 이용가능 | |
| B000061177 | 338.19 -22-17 | 부산관 의회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국가전략정보센터 / 서가번호: 4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