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Abstract 8
01. 서론 26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 27
1. 연구 배경 27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9
제2절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33
1. 연구 범위 33
2. 연구 방법 37
02. 국내 맥락: 시민사회 지형, 정책, 지식생태계 / 김소연;신권화정;김승순 40
제1절 시민사회 정의와 국내 지형 41
1. 국내법으로 본 개념 정의 41
가. 시민사회 42
나. 공익활동 43
다. 시민사회조직 44
2. 지형과 현황 47
가. 한국 시민사회 형성과 지형 47
나. 시민들의 공익활동 참여 현황 51
다. 시민사회조직의 현황 54
라. 활동가 특성과 비영리 일자리 여건 60
제2절 시민사회 활성화 제도와 정책 63
1. 법제 및 규정 현황 63
가. 시민사회 관련 6개 법 제ㆍ개정 현황 64
나. 규정, 지침 등 현황 66
다. 시민사회조직 유형별 관리감독 및 지원 규정 현황 68
2. 역대 시민사회위원회와 중점 정책 70
가. 역대 시민사회발전위원회 70
나. 시민사회 활성화 표준조례 77
다. 시민사회 활성화 1차 기본계획 78
제3절 시민사회 지식생태계 83
1. 시민사회 분야 학술기관 현황과 연구 동향 83
가. 학회 85
나. 대학 연구 기관 89
다. 학술지 93
라. 학술기관 통합분석 및 학회지 연구 동향 96
2. 시민사회 현장 연구 기관과 연구활동가 102
가. 시민사회형 싱크탱크 현황과 특징 103
나. 시민사회 활성화 정책네트워크와 지원조직 106
다. 연구활동가와 새로운 유형의 연구 기관 108
제4절 시민사회위원회 의견조사 및 소결 111
1. 시민사회위원회 의견조사 111
가. 조사 방법 및 분석 개요 111
나. 분석 결과 112
2. 소결: 국내 맥락 종합 및 조사 참조 사항 126
가. 이론ㆍ동향 분야 126
나. 통계ㆍ실태 분야 129
다. 제도ㆍ정책 분야 130
라. 거버넌스 분야 133
마. 사회적평가ㆍ존중 분야 134
03. 국제적 맥락: 시민사회 관련 규범, 선언, 주요 정책사례 / 한재광;신재은 138
제1절 시민사회 논의의 역사적 맥락과 주요 개념 139
1. 시민사회 논의의 흐름 139
2. 시민사회 관련 주요 개념 140
제2절 국제사회에서의 시민사회 143
1. 글로벌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143
가. 글로벌 거버넌스 체제와 지구시민사회 143
나. 국제기구와 시민사회 간 관계 145
2. 국제기구의 시민사회 협력 관련 주요 논의 146
가. 유엔(UN) 147
나. 유럽연합(EU) 151
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54
라. 세계은행(World Bank) 158
3. 시민사회의 정부 협력 관련 주요 논의 164
가. 세계시민연합(CIVICUS) 164
나. 개발효과성을 위한 CSO 파트너십(CSO Partnership for Development Effectiveness, CPDE) 165
4. 국제회의에서의 정부-시민사회협력 관련 주요 논의 166
가. OECD DAC 원조효과성 고위급 포럼(OECD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166
제3절 국제사회에서의 시민사회 관련 주요 정책, 규범 및 가이드라인 사례 168
1. 국제기구의 시민사회 협력 정책규범 사례 : 개발협력과 인도적 지원 시민사회 활성화에 관한 DAC 권고안(DAC Recommendation on Enabling Civil Society in... 168
가. 배경과 진전 과정 168
나. 내용 169
2. 시민사회 제안 정부 협력 규범 사례 : 이스탄불 CSO 개발효과성 원칙 170
가. 배경과 진전 과정 170
나. 내용 171
제4절 소결: 내용정리 및 시사점 176
1. 내용정리 176
2. 적용을 위한 시사점 178
가. 시민사회 내 다양한 주체별 특성에 맞는 개념 규정 및 이에 기반한 제도적 협력 운용 178
나. 글로벌 거버넌스 체제하의 지구시민사회운동 관점으로 한국 시민사회 활동 조명 및 연계 활성화 178
다. 국제적 규범의 한국 시민사회 활동 적용 179
라. 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파트너십을 제고하는 규범적 틀의 제도화 추진 179
마. 정부의 시민사회 파트너십 정책 방향으로 시민사회 활동 공간의 축소가 아닌 활성화 선택 필요 180
04. 외국 시민사회 활성화 정책 비교 및 사례 / 조철민;김재민;장훈교 182
제1절 국가 시민사회 정책에 관한 선행논의들 183
1. 배경: 1990년대 이후 시민사회 정책환경의 변화 183
가. 발전 프로젝트(development project)의 재편성과 통치의 재구성 184
나. 시장과의 통합 및 영리기업과의 차이 약화 184
다. 시민사회의 위기 대응 기능과 혁신 능력의 재발견 185
2. 시민사회 정책 패러다임의 변동 185
가. 민주적 저항에서 협업적 거버넌스로의 이동 186
나. 비판자에서 문제해결자(혁신자)로의 지위 변동 187
다. 공적 영역에서 공동체 영역으로의 이행 187
라. 시민사회와 경영 패러다임의 접합: 영리와 비영리의 경계 모호화 188
마. 개별 조직 지원에서 환경 형성으로 188
3. 시민사회 관련 국가 역할의 변화와 공적 책임의 급증 189
가. 민주주의의 퇴행과 시민사회 근본 토대의 약화 189
나. 활성자(enabler)로서의 국가 그러나 공적 제도의 공백 190
다. 국가 수준의 종합 계획 등장 191
4. 시민사회의 공통 문제 혹은 도전 192
가. 시민사회 활동의 타당성과 정당성에 관한 공적 불신의 증가 192
나. 자원 부족 192
다. 시민사회 서비스의 문제 193
라. 전통적 시민사회와 시민의 분리 및 새로운 결합 양식의 등장 193
마. 행정의 하청화 194
5. 새로운 정책 모델: 시민사회 활성화 환경과 지속가능성 194
가. 시민사회의 활성화 환경(Enabling environment for civil society) 195
나. 시민사회 지속가능성(Civil Society Sustainability) 198
다. 사회정책으로서의 시민사회 199
제2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시민사회 기본현황 201
1. 개요 201
2. 시민참여에 관한 현황 202
가. 자선지원재단의 '세계기부지수'(2021) 202
나. 글로벌 자선 환경 지수(GPEI, 2022) 203
다. 공익활동 환경평가지수(Doing Good Index(DGI), 2020) 206
3. 시민사회단체와 환경에 관한 현황 207
가. 시민사회 활성화 환경 지수(EEI, 2013) 207
나. 세계시민단체연합 모니터(CIVICUS Monitor, 2021) 213
다. 세계가치관조사(WVS Wave 7, 2017-2020) 215
라. 시민사회단체 지속가능성 지수(CSOSI, 2020) 216
제3절 국가별 시민사회 정책 동향 218
1. 조사의 개요 218
2. 단체등록과 재정지원 220
가. 주요 법령과 단체등록 220
나. 재정지원 226
3. 조세 혜택 228
가. 단체에 대한 혜택 228
나. 기부자에 대한 혜택 230
4. 지원조직과 정책문서 232
가. 지원조직 232
나. 정책문서 235
제4절 국가 시민사회 정책의 유의미한 사례들 238
1. 영국: 시민사회 활성화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 238
가. 영국의 시민사회 238
나. 시민사회 현황 239
다. 시민사회 정책 방향 243
2. 미국: 산업부문으로서의 비영리영역 지원 249
가. 미국 시민사회와 정부 관계 249
나. 시민사회 지원정책의 방향 250
다. 재정지원과 조세 혜택 252
3. 일본: 지방으로부터의 유의미한 시도들 254
가. 개요 254
나. 중앙정부: 위기관리와 시민사회 활성화의 통합 254
다. 지방정부: NPO지원센터와 주민세 1% 제도 258
4. 폴란드: 시민사회 중간지원조직과 '백분율 제도' 261
가. 폴란드의 시민사회 261
나. 시민사회 관련 정책의 흐름 262
다. 중간지원조직 263
라. 백분율 제도 265
5. 에스토니아: 시민사회 지원을 위한 '정초문서'와 지원재단 266
가. 에스토니아의 시민사회 266
나. 시민사회 지원정책들 267
다. 정책문서: 시민사회발전개념 268
라. 지원조직: 시민사회재단 271
6. 스페인: 시민사회 지원을 위한 포괄적인 법률 272
가. 스페인 시민사회 272
나. 포괄적인 법률 274
다. 정부-시민사회 간 협약 276
7. 프랑스: 사회적 합의로서 '헌장' 제정 277
가. 프랑스의 시민사회 277
나. 결사적 삶을 위한 고등위원회 279
다. 국가-시민사회 간 헌장 280
제5절 소결: 요약 및 시사점 283
1. 논의의 요약 283
2. 적용을 위한 시사점 284
가. 국제적 흐름으로서 시민사회 활성화 지원정책 284
나. 선진국 시민사회 정책의 두 경로: '위탁'과 '합의' 지향 285
다. '후발주자' 국가 시민사회 활성화 정책의 약진: '개발' 지향 285
라. 포괄적인 시민사회 법령제정 286
05. 시민사회 연구 및 교육의 국제동향 / 김성주;류지은;정복교 288
제1절 국제 시민사회 및 관련 학문 분야의 형성과 전개 289
1. 시민사회 관련 개념의 학술적 정의 289
가. 시민사회(Civil Society) 289
나. 제3섹터(The Third Sector) 291
다. 비영리 섹터(Nonprofit Sector) 293
라. 자원 및 공동체 섹터(Voluntary and Community Sector) 297
마. 사회적경제 섹터(Social Economy Sector) 298
2. 시민사회 관련 연구 키워드 299
제2절 주요 국제 시민사회 관련 학회 및 연구 기관 303
1. 미국 및 유럽의 시민사회 관련 주요 학회 303
가. Association for Research on Nonprofit Organizations and Voluntary Action(ARNOVA) 303
나. International Society for Third Sector Research(ISTR) 306
다. EMES European Research Network 308
라. CIRIEC International 309
마. 기타 학회 310
2. 미국 및 유럽의 주요 연구 기관 313
가. 미국의 주요 연구 기관 314
나. 유럽의 주요 연구 기관 324
제3절 시민사회 연구 동향 분석 331
1. 미국 시민사회 연구 동향 분석 331
가. 시민사회 관련 연구의 양적 변화 333
나. 시민사회 관련 연구주제 경향 분석 335
2. 유럽 시민사회 연구 동향 분석 343
가. 2000년 이전의 유럽 시민사회 연구 동향: 1991~2000년 346
나. 2000년 초 유럽 시민사회 연구 동향: 2001~2010년 348
다. 최근 유럽 시민사회 관련 연구 동향: 2011~2021년 351
제4절 시민사회 고등교육 동향 분석 356
1. 미국의 시민사회 고등교육 356
가. 미국의 시민사회 교육 프로그램 발전 동향 357
나. 미국의 시민사회 교육 프로그램 교과 과정 분석 359
2. 유럽의 시민사회 고등교육 362
가. 영국의 시민사회 교육 362
나. 스웨덴의 시민사회 교육 364
다. 체코의 시민사회 교육 365
3. 아시아의 시민사회 고등교육 367
가. 한국의 시민사회 교육 동향 367
나. 중국의 시민사회 교육 동향 371
다. 일본의 시민사회 교육 동향 374
라. 대만의 시민사회 교육 동향 375
마. 홍콩의 시민사회 교육 동향 378
제5절 결론 및 함의 380
06. 결론 / 이광희;황덕연 389
제1절 정책적 함의 도출을 위한 FGI 390
1. 조사목적 390
2. FGI 조사 대상 390
3. 시행계획의 주요 사업에 대한 중요도 조사 391
제2절 주요 이슈별 국제동향 조사 결과와 정책적 함의 393
1. 시민사회의 개념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 393
가. 주요 조사 결과 393
나. FGI에서 검토된 주요 이슈 394
2.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한 객관적 현황 395
가. 국제동향 조사내용 395
나. FGI에서 검토된 이슈 395
3. 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한 제도와 정책 396
가. 국제동향 조사내용 396
나. FGI에서 검토된 이슈 396
4. 시민사회 지식생태계 구조 399
가. 국제동향 조사내용 399
나. FGI에서 검토된 주요 이슈 399
5. 개발협력 분야 400
가. 국제동향 조사내용 400
나. FGI에서 검토된 주요 이슈 400
6. 기타 이슈 401
참고문헌 403
[부록] 445
판권기 533
〈표 2-1〉 '시민사회' 법적 정의 42
〈표 2-2〉 '시민공익활동' 법적 정의 43
〈표 2-3〉 '공익' 법적 정의 44
〈표 2-4〉 '시민사회조직' 법적 정의 45
〈표 2-5〉 시민사회조직 유형별 법적 정의(21대 국회 진선미 의원 발의안) 46
〈표 2-6〉 비영리민간단체 연도별 등록 수 49
〈표 2-7〉 연도별 성인 자원봉사 참여 현황 53
〈표 2-8〉 단체활동 참여율 54
〈표 2-9〉 광역 시ㆍ도별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현황 56
〈표 2-10〉 비영리법인ㆍ단체 수 57
〈표 2-11〉 협동조합 설립 현황 59
〈표 2-12〉 마을기업 운영현황 60
〈표 2-13〉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특성과 급여(평균 또는 응답 높은 구간) 61
〈표 2-14〉 시민사회 6개 법 제ㆍ개정 현황 64
〈표 2-15〉 시민사회조직의 유형별 법령 종합 68
〈표 2-16〉 1~2차 시민사회발전 10대 과제 비교 71
〈표 2-17〉 제1-2기 시민사회발전위원회 개요 72
〈표 2-18〉 제2기 시민사회발전위원회 소위원회별 소관과제 73
〈표 2-19〉 제3기 시민사회발전위원회 개요 및 소위원회별 소관과제 74
〈표 2-20〉 제4기 시민사회위원회 회의 안건 75
〈표 2-21〉 역대 시민사회(발전)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비교 76
〈표 2-22〉 공익활동 촉진 또는 시민사회활성화 조례 제정 현황 77
〈표 2-23〉 시민사회 활성화 기본계획 정책과제(7개 과제, 33개 세부과제) 80
〈표 2-24〉 시민사회 관련 학회, 연구소, 학술지명 검색 종합 결과 84
〈표 2-25〉 시민사회 관련 학회 설립현황 85
〈표 2-26〉 설립 시기별 시민사회 관련 학회 키워드 변화 87
〈표 2-27〉 시민사회 관련 연구소 설립현황 89
〈표 2-28〉 설립 시기별 시민사회 관련 연구 기관 키워드 변화 92
〈표 2-29〉 시민사회 관련 학술지 검색 결과 93
〈표 2-30〉 설립 시기별 시민사회 관련 학술기관 키워드 97
〈표 2-31〉 1987-2019 한국 비영리연구 논문 수와 제목 분석 101
〈표 2-32〉 싱크탱크의 유형 103
〈표 2-33〉 시민사회형 싱크탱크의 유형과 특징 104
〈표 2-34〉 한경비즈니스 100대 싱크탱크에 포함된 시민사회형 싱크탱크 105
〈표 2-35〉 시민사회위원회 서면설문 조사내용 111
〈표 2-36〉 시민사회위원회 설문 항목별 분석 방법 112
〈표 2-37〉 시민사회위원회 안건심의 자료 제공의 적절성 112
〈표 2-38〉 시민사회위원회 안건심의 자료 제공의 적절성에 대한 이유와 경험 113
〈표 2-39〉 시민사회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ㆍ지식의 주요 키워드 115
〈표 2-40〉 시민사회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ㆍ지식의 주제분류 116
〈표 2-41〉 시민사회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ㆍ지식의 중요도 상위 개별 주제 요약 118
〈표 2-42〉 시민사회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ㆍ지식 주제그룹별 중요도 119
〈표 2-43〉 시민사회정책 수립 정보ㆍ지식 관련 제안의견 125
〈표 2-44〉 국내 맥락 및 설문 주요 의견 종합 135
〈표 3-1〉 한국 시민사회의 글로벌 거버넌스 차원의 애드보커시 활동 144
〈표 3-2〉 정부 간 국제기구의 시민사회 협력 관련 주요 논의 146
〈표 4-1〉 CIVICUS의 활성화 환경 측정 차원 196
〈표 4-2〉 현재 활용되고 있는 시민사회 활성화 정의 유형 197
〈표 4-3〉 세계나눔지수(2021) 조사 결과 202
〈표 4-4〉 글로벌 자선 환경 지수 점수(2018~2020) 204
〈표 4-5〉 OECD 회원국 글로벌 자선 환경 지수 점수(2018~2020) 205
〈표 4-6〉 공익활동 환경평가지수(2018, 2020) 207
〈표 4-7〉 사회문화적 차원의 상위 10개국 208
〈표 4-8〉 사회경제적 차원의 상위 10개국 208
〈표 4-9〉 거버넌스 차원의 상위 10개국 209
〈표 4-10〉 사회경제적 차원과 사회문화적 차원의 격차 상위 10개국 210
〈표 4-11〉 사회문화적 차원과 거버넌스 차원의 격차 상위 10개국 210
〈표 4-12〉 사회경제적 차원과 거버넌스 차원의 격차 상위 10개국 211
〈표 4-13〉 시민사회 활성화 환경 지수(2013) 조사 결과 212
〈표 4-14〉 CIVICUS 모니터 OECD 회원국 평가 213
〈표 4-15〉 OECD 회원국 평가세계가치관조사(WVS 2017-2020) 215
〈표 4-16〉 시민사회단체 지속가능성 지수(2020) 217
〈표 4-17〉 시민사회 정책 동향 조사 대상국 218
〈표 4-18〉 조사 대상 국가별 시민사회 관련 주요 법령 221
〈표 4-19〉 조사 대상 국가별 시민사회단체 등록제도 224
〈표 4-20〉 시민사회 지원을 위한 재단ㆍ기금 제도 사례 227
〈표 4-21〉 조사 대상 국가별 조세 혜택 제도: 단체에 대한 혜택 229
〈표 4-22〉 조사 대상 국가별 조세 혜택 제도: 기부자에 대한 혜택 231
〈표 4-23〉 조사 대상 국가별 시민사회 관련 정부 소관 부처 233
〈표 4-24〉 시민사회 지원을 위한 국가별 중간지원조직 사례 234
〈표 4-25〉 시민사회 지원 관련 정책문서 사례 235
〈표 4-26〉 규모에 따른 자발적 단체의 수 240
〈표 4-27〉 수입에 따른 상위 10개 활동 분야별 단체 현황 241
〈표 4-28〉 자발적 분야의 활동 분야 분류표 241
〈표 4-29〉 주요 수입원 242
〈표 4-30〉 주요 수입 유형 243
〈표 4-31〉 주요 지출 유형 243
〈표 4-32〉 영국 정부와 자원 부문, 지역사회 간 관계에 관한 협약의 주요 내용 245
〈표 4-33〉 영국 시민사회 전략의 주요 내용 249
〈표 4-34〉 NPO법인과 인정NPO법인 255
〈표 4-35〉 최근 이루어진 NPO법인 설립 및 운영 절차 개선 내용 256
〈표 4-36〉 2006년 공익법인제도개혁 주요 내용 256
〈표 4-37〉 일본 법인의 법인세율 비교 257
〈표 4-38〉 일본 법인의 법인세율 비교 258
〈표 4-39〉 폴란드 국립자유연구소-시민사회개발센터 주요 지원 사업 264
〈표 4-40〉 폴란드 백분율 제도의 운영 절차 266
〈표 4-41〉 에스토니아 시민사회발전개념의 주요 내용 269
〈표 4-42〉 에스토니아 시민사회발전 역대 실행계획 주요 목표 270
〈표 4-43〉 에스토니아 시민사회재단의 현행 주요 지원사업 272
〈표 4-44〉 스페인 사회행동의 제3섹터법 주요 내용 275
〈표 4-45〉 스페인 정부-시민사회 간 협약의 주요 내용 276
〈표 4-46〉 2001년 프랑스 정부-시민사회 간 헌장의 주요 내용 280
〈표 4-47〉 2014년 프랑스 정부-시민사회 간 헌장의 주요 내용 281
〈표 5-1〉 비영리단체를 지칭하는 동의어 300
〈표 5-2〉 비영리 연구에 인용된 일반적 개념에 속하는 키워드 302
〈표 5-3〉 1972~1991년 JVAR/NVSQ 게재 논문의 주제별 빈도 336
〈표 5-4〉 새롭게 부상하는 연구주제들과 일반 분석 카테고리 337
〈표 5-5〉 일반 분석 카테고리별 주요 주제 338
〈표 5-6〉 각 항목별 주요 인용 논문(상위 5개) 340
〈표 5-7〉 연구주제 및 내용 카테고리 분류 기준 344
〈표 5-8〉 1991-2000년 사이에 발표된 유럽 관련 주요 논문 주제 분류 346
〈표 5-9〉 2001~2010년 사이에 발표된 유럽 관련 주요 논문 주제 분류 348
〈표 5-10〉 2011~2021년 사이에 발표된 유럽 관련 주요 논문 주제 분류 352
〈표 5-11〉 비영리 경영 및 필란트로피 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1996-2014) 357
〈표 5-12〉 비영리 경영 및 필란트로피 프로그램이 있는 대학(1996-2014) 357
〈표 5-13〉 NMPS 교육 7가지 카테고리 모델 360
〈표 5-14〉 영국 시민사회 관련 대학 교육 프로그램 363
〈표 5-15〉 체코 시민사회 관련 대학 교육 프로그램 366
〈표 5-16〉 한국 대학에서 운영 중인 NMPS 관련 교육 프로그램 368
〈표 5-17〉 기능별 비영리/비정부기구 과목 수 및 비중 371
〈표 5-18〉 중국의 주요 비영리 직업교육기관 373
〈표 5-19〉 중국의 주요 비영리 전문 교육 및 연구소 373
〈표 5-20〉 일본 대학 내 비영리 과목의 강의 내용 375
〈표 5-21〉 기능별 및 범주별 비영리 과목 분포 376
〈표 5-22〉 기능 및 17개 세부 범주별 비영리 과목 분포 377
〈표 5-23〉 홍콩의 비영리/비정부기구 학위 프로그램 378
〈표 5-24〉 기능별 비영리/비정부 과목의 분포 379
〈표 6-1〉 시행계획 FGI 조사 개요 391
〈표 6-2〉 시행계획 15개 주요 사업에 대한 중요도 조사 결과 392
[그림 2-1] 국내 기부금 총액 51
[그림 2-2] 기부금 총액과 전년 대비 상승률 52
[그림 2-3] 기부 경험과 기부 의사 52
[그림 2-4] 자원봉사 경험과 참여 의사 53
[그림 2-5]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55
[그림 2-6] 사업목적별 공익법인 수 57
[그림 2-7] 연도별 사회적기업 개소 58
[그림 2-8] 1차 시민사회 활성화 기본계획 체계도 79
[그림 2-9] 시민사회 관련 학회 연도별 설립 수 87
[그림 2-10] 시민사회 관련 학회 학문분류 89
[그림 2-11] 시민사회 관련 연구소 연도별 설립 수 91
[그림 2-12] 시민사회 관련 연구소 학문분류 93
[그림 2-13] 시민사회 관련 학술지 연도별 창간현황 95
[그림 2-14] 시민사회 관련 학술지 연도별 학문분류 95
[그림 2-15] 시민사회 관련 학술지 등재비율 96
[그림 2-16] 시민사회 관련 학술기관 연도별 설립 수 97
[그림 2-17] 시기별 키워드의 변화 100
[그림 2-18] 시민사회위원회 안건심의 자료 제공의 적절성 113
[그림 2-19] 정보ㆍ지식의 취득방법 114
[그림 2-20] 안건심의 자료 제공 적절성 응답여부에 따른 자료정보ㆍ지식의 취득 방법 114
[그림 2-21] 시민사회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 지식 키워드 분석 115
[그림 2-22] A(이론ㆍ동향)그룹 주제 연결망 119
[그림 2-23] B(통계ㆍ실태)그룹 주제 연결망 120
[그림 2-24] C(제도정책)그룹 주제 연결망 121
[그림 2-25] D(거버넌스)그룹 주제 연결망 122
[그림 2-26] E(사회평가존중)그룹 주제 연결망 123
[그림 2-27] 시민사회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ㆍ지식 주제 연결망 124
[그림 2-28] 기타의견 키워드 분석 125
[그림 4-1] 미국 비영리단체 재정지원의 경로 252
[그림 5-1] 복지혼합/복지삼각 모델 292
[그림 5-2] 과세 면제 조직 분류(Type of tax-exempt organizations) 296
[그림 5-3] 비영리 및 필란트로피 관련 학술 연구 동향: 1924-2015년 334
[그림 5-4] 주요 비영리 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수: 1986~2015년 335
[그림 5-5] 비영리 관련 주요 연구주제 342
[그림 5-6] 비영리 경영 및 필란트로피 프로그램의 성장(10년 단위 추세 비교) 358
[그림 5-7] 비영리 경영 및 필란트로피 대학원 프로그램 집중분야를 운영 중인 단과대 359
[그림 5-8] 비영리 경영 및 필란트로피 프로그램의 기능별 빈도: 1996~2016년 36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48549 | 303.484 -22-1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48550 | 303.484 -22-1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