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기술 보고서 발간 현황 2

목차 4

1. 기술개요 8

(1) 기술명 : 가뭄대응 기존관정 활용 지하수 최적 운영 기술 8

(2) 기술의 배경 및 목적 8

(3) 기술의 정의 9

(가) 가뭄 대응 기존관정 활용 최적 운영의 핵심 기술 9

2. 기술의 특징 및 차별성 10

(1) 가뭄 대응 지하수 활용 기술 관련 국내외 기술 수준 현황 10

(가) 국내 기술 수준 현황 10

(나) 국외 기술 수준 현황 13

(2) 개발 기술 특징 및 기존 기술과의 차별성 18

(가) 가뭄 대응 기존 관정 활용 최적 운영기술의 특징 및 차별성 18

3. 지식재산권 20

4. 기술의 활용성 22

(1) 가뭄 대응 지하수 활용 기술 활용 분야 및 확장성 22

(가) 가뭄 대응 지하수 활용 기술 활용 분야 22

(나) 가뭄 대응 지하수 활용 기술 확장성 22

5. 기술의 경제성 24

6. 세부 기술 소개 26

(1) 기술 적용 지역 기초조사 및 수문특성 평가 26

(가) 기술 적용 지역 수문 특성 평가 개요 26

(나) 기술 적용 지역 공간 특성 평가 26

(다) 기술 적용 지역 강수 특성 평가 29

(라) 기술 적용 지역 함양 특성 평가 32

(2) 기술 적용 지역 기존 관정 조사 및 월 단위 지하수 이용량 산정 34

(가) 기술 적용 지역 기존 관정 조사 34

(나) 기술 적용 지역 월 단위 지하수 이용량 비율 산정 관정 그룹 별 월 단위 지하수 이용량 산정 36

(다) 관정 그룹 별 월 단위 지하수 이용량 산정 36

(3) 기술 적용 지역 시나리오 별 지하수위 한계치 도달 여부 분석 40

(가) 지하수 유동 해석 모형 구축(MODFLOW) 40

(나) 기존 관정 그룹 별 월 단위 운영 시나리오 구성 42

(다) 기존 관정 그룹 별 월 단위 운영 시나리오 모의 결과 46

(4) 기존 관정 최적 운영 알고리즘 개발 53

(가) 기존 관정 최적 운영 알고리즘의 기본 방향 설정 53

7. 참고문헌 56

[뒷표지] 58

표목차 5

표 2.1. 지하수 저류 및 함양량 활용 국내 논문 동향 11

표 2.2. 국내 지하댐 현황 및 시설 별 제원 12

표 2.3. 국외 논문 동향 조사 결과 14

표 2.4. 관련 기술 분야 선진국의 지하수 관련 기술 개발 현황 15

표 6.1. 연구지역 토지이용현황 분석 결과 27

표 6.2. 수문학적 토양군에 따른 침투율 28

표 6.3. 선행토양수분 조건 및 상태 29

표 6.4. 서부 강수관측소 월 단위 강수량 관측자료 수집 결과 31

표 6.5. 월별 함양량 산정 결과 33

표 6.6. 연구지역 지하수 이용시설 위치 및 제원 34

표 6.7. 연구지역 지하수위 관측정 입력 결과 35

표 6.8. 기존 관정 별 월 단위 이용 비율 산정 결과 36

표 6.9. WS-1 지역 관정 별 월 이용량 산정 결과 및 관정 그룹 구성 결과 38

표 6.10. WS-2 지역 관정 별 월 이용량 산정 결과 및 관정 그룹 구성 결과 39

표 6.11. 수리전도도 입력 결과(3차년도 3세부 연차실적계획서 발췌) 41

표 6.12. 시나리오 1에 따른 관정 그룹 별 지하수 이용 비율 43

표 6.13. 시나리오 2에 따른 관정 그룹 별 지하수 이용 비율 43

표 6.14. 시나리오 3에 따른 관정 그룹 별 지하수 이용 비율 44

표 6.15. 시나리오 4에 따른 관정 그룹 별 지하수 이용 비율 45

표 6.16. 시나리오 5에 따른 관정 그룹 별 지하수 이용 비율 45

표 6.17. 시나리오 1의 기존 관정 운영에 따른 월 별 평균 지하수위 분포 분석 결과 46

표 6.18. 시나리오 2의 기존 관정 운영에 따른 월 별 평균 지하수위 분포 분석 결과 47

표 6.19. 시나리오 3의 기존 관정 운영에 따른 월 별 평균 지하수위 분포 분석 결과 49

표 6.20. 시나리오 4의 기존 관정 운영에 따른 월 별 평균 지하수위 분포 분석 결과 51

표 6.21. 시나리오 5의 기존 관정 운영에 따른 월 별 평균 지하수위 분포 분석 결과 52

그림목차 7

그림 2.1. 국내 연도별 관련 기술의 특허 출원 동향 11

그림 2.2. 국내 연도별 지하수 저류 및 함양 기술 지식재산권 출원 현황 12

그림 2.3. 국외 지하수 저류 및 함양 시설 분포 현황 13

그림 2.4. 국외 대표적 지하수 활용 기술 사례(지하댐, 지표수-지하수 연계공급, 지하수함양 등) 16

그림 2.5. 주요 국가별 지하수 저류 및 함양 기술 지식재산권 현황 17

그림 6.1. 연구지역 지형 특성 분석 결과 26

그림 6.2. 연구지역 지형 특성 분석 결과 27

그림 6.3. 연구지역 지형 특성 분석 결과 28

그림 6.4. 분석 기간 별 월 평균 강수량 변동 추이 30

그림 6.5. 연구지역 기존 관정 위치도 35

그림 6.6. 연구지역 관정 그룹 구성 및 각 그룹 별 일 가능 최대 양수량 37

그림 6.7. Visual MODFLOW 구성 순서도 40

그림 6.8. 연구지역 모형 구축 결과 화면 41

그림 6.9. 연구지역 정류상태 평균 지하수위 분포 분석 결과 42

그림 6.10. 기존 관정 최적 운영 알고리즘 구성 결과 54

이용현황보기

가뭄대응 기존관정 활용 지하수 최적 운영 기술 보고서 = Technical report for optimal groundwater use operation for drought response through utilization of the existing pipeline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59447 628.114 -23-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