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2021 개정판을 내며_소설 읽기를 배운다는 것
2017 프롤로그_왜 소설을 읽는가
수업에 들어가며_발견하고 창조하는 소설 읽기
1장. 소설 읽기란 무엇인가
01. 느낌에서 사유로
02. 해석의 시대, 왜 소설인가
03. 책이 아니면 안 되는 이유
04. 불안한 시대의 소설 읽기
05. 현실에 대한 비판을 담은 소설
06.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
07. 인간을 상상하는 일
08. 인간의 실존을 탐구하는 소설
09. 진실에 다가가는 말들
10. 소설은 판단이 정지된 땅
2장. 소설을 읽으면 무엇이 좋은가
01. 무엇보다 사고력
02. 문학이 사람을 바꿀 수 있을까
03. 타인의 마음을 얻는 능력
04. 인간에 대한 끈질긴 탐색
05. 삶의 리허설
06. 자기 객관화의 능력
07. 언제나 실패하는 우리의 이해
08. 인생에서 허무를 건너는 방법
09. 불가능에 대한 상상
3장. 소설, 어떻게 읽는가
01. 훌륭하고 위대한 독자
02. 이해에서 해석으로
03. 단편으로 시작하는 소설 읽기
04. 하나의 문장으로 시작하는 소설 읽기
05. 소설 읽기 3단계
06. 『채식주의자』 읽고, 해석하기
07. 소설 읽기의 매혹
08. 부끄러움은 배울 수 있는가
09. 좋은 질문을 만드는 일
4장. 한국 현대 단편 소설 깊이 읽기
01. 낯익은 미래, 숨겨진 폭력 _「동일한 점심」, 편혜영
02. 도착하지 않은 죽음에 관하여 _「저녁의 구애」, 편혜영
03. 싹수를 자르거나, 유예시키거나 _「못」, 정미경
04. 권태가 지나면 환멸이 온다고 _「내 아들의 연인」, 정미경
05. 삶에 대해 묻지 않았다 _「산책자의 행복」, 조해진
06. 우리가 작별을 고할 때 _「사물과의 작별」, 조해진
07. 나만이 나를 회피할 수 있다 _「그 남자의 리허설」, 정이현
08. 너의 불행이 나를 행복하게 한다 _「안나」, 정이현
09. 그렇게 ‘엄마’는 어미가 된다 _「칼자국」, 김애란
10. 논리가 지녀야 할 윤리, 탐색 _「서른」, 김애란
11. 사소한 죽음과 중대한 삶 _「화장」, 김훈
12. 내면의 먼 안쪽과 대면하기 _「언니의 폐경」, 김훈
13. 불행한 일은 어떻게 보통의 일이 되는가 _「보통의 시절」, 김금희
14. 견디다가, 받아들이다가, 응시하게 되는 그 시간
_「너무 한낮의 연애」, 김금희
15. 인간밖에 안 되는 주제에 _「쇼코의 미소」, 최은영
16. 오래도록 남겨지는 일 _-「미카엘라」, 최은영
17. 결핍이 부족해 _「겨울방학」, 최진영
18. 더 나빠지고 싶지 않아 _「돌담」, 최진영
19. 통각의 상실 _「회복하는 인간」, 한강
20. 언제가 끝인지만 알 수 있다면 _「작별」, 한강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65901 | 811.309 -23-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65902 | 811.309 -23-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B000081802 | 811.309 -23-7 |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