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Ⅰ. 서론 9
1. 문제제기 10
2. 연구의 구성 및 기대효과 15
Ⅱ. 이론적 논의: 억제이론과 핵무기 고도화의 원인 21
1. 기존연구 검토: 북한 핵태세 분석의 문제점 22
2.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 원인: 핵시대의 군비경쟁과 핵교착상태의 달성 26
Ⅲ. 핵보유국 지위 확립기(2012~2015): 병진노선의 선언과 핵무력 고도화 32
1. 새로운 국가전략의 수립과 핵무력 고도화 33
2. 투발수단의 다종화와 전략군의 창설 37
Ⅳ. 국가핵무력 완성기(2016~2020): 대미ㆍ대남억제 역량의 강화 44
1. 핵무력 중추의 자위적 국방력 강화 45
2. 대미억제의 일시적 완성: 핵위력 증가와 ICBM 시험 발사 47
3. 대남억제의 구체화: SLBMㆍ단거리미사일 개발 가속화 51
Ⅴ. 불가역적 핵보유국 선언기(2021~2025): 공세적 핵태세 채택에 따른 무기개발 심화 57
1. 국방공업발전 및 무기체계개발 5개년계획의 실행 58
가. 제8차 당대회 이후 북한의 무력도발 양상 58
나. 장기적 과제로서 대미억제력 확보 65
2. 전술핵무기 다종화를 통한 대남억제력 강화 73
3. 새로운 핵독트린의 채택: 낮아진 핵사용 임계점 80
Ⅵ. 결론: 향후 북한의 국방력 강화 방향과 우리의 대응 85
Abstract 91
참고문헌 94
판권기 9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78328 | 통일 355.03355171 -23-1 |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 이용가능 | |
0002978329 | 통일 355.03355171 -23-1 |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