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Ⅰ. 서론 9
1. 연구의 배경과 구성 10
2. 선행연구의 검토 12
Ⅱ. 국제테러의 코로나19 팬데믹 적응 15
1.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테러 발생 비교 16
가.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전 16
나.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19
2. 팬데믹으로 인한 테러 발생 위축 요인 22
가. 방역조치로 인한 이동의 제약 22
나. 미디어의 관심 상실 25
3. 팬데믹으로 인한 테러 발생 확산 요인 26
가. 정부 거버넌스의 방역 집중에 따른 대테러 역량 약화 26
나. 혐오정서 확산 및 폭력적 극단주의의 결합 28
다. 사이버 공간으로의 이동과 신기술 결합 위협의 증가 30
라. 생물무기의 테러 사용 가능성 대두 32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테러 변화 양상 34
1. 폭력적 극단주의 이념의 확장 및 다양화 35
가. 극우테러위협의 전면 대두 35
나. 혐오정서 기반 테러의 증가 37
다. '서구권 심판'을 내세운 이슬람 극단주의의 확장 39
2. 사이버 공간 대상 테러위협의 증가 41
가. 온라인 테러 콘텐츠의 증가 41
나. 가상자산을 이용한 테러자금 모집 강화 42
다. 사이버 공간의 범죄 및 테러의 넥서스 강화 43
3. 생물무기 이용 테러 가능성 증대 45
Ⅳ. 한국의 대응전략 48
1. 국내 대테러환경 동향 49
2. 폭력적 극단주의 다양화 대응전략 53
가.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 및 대응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시행 53
나. 혐오범죄 대응을 위한 제도적 정비 노력 55
3. 사이버 공간 대상 테러위협 대응전략 57
가. 온라인 테러 콘텐츠 삭제 조치 및 테러 선동 처벌 57
나. 가상자산 이용 테러자금 모집 차단 59
4. 생물무기 테러위협 대응전략 60
가. 생물테러 대응을 위한 제도적 정비 및 감시체계 구축 60
나. 생물테러 관련 의약품 비축 및 교육훈련 62
Ⅴ. 결론 및 시사점 64
Abstract 68
참고문헌 72
판권기 78
〈그림 1〉 2019년 전 세계 테러 발생 집중도 18
〈그림 2〉 주요 테러단체 활동 비교 19
〈그림 3〉 2021년 전 세계 테러 발생 집중도 2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78342 | 363.325 -23-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78343 | 363.325 -23-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