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3
보고서 요약서 4
요약문 6
SUMMARY 11
Contents 15
목차 17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9
제1절 연구개발 배경 및 필요성 29
1. 연구개발 배경 29
2. 연구개발 필요성 39
제2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45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45
2. 연구개발 내용 46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9
제1절 국내 기술개발 동향 49
1. 철도차량 객실 내 초미세먼지 및 감염성 유해미생물 동시제거 기술 개발 49
2. 철도차량용 저소음 연결막 기술 개발 55
3. 다목적 지능형 철도환경 감시 자동화 장치 개발 57
제2절 국외 기술개발 동향 61
1. 철도차량 객실 내 초미세먼지 및 감염성 유해미생물 동시제거 기술 개발 61
2. 철도차량용 저소음 연결막 기술 개발 67
3. 다목적 지능형 철도환경 감시 자동화 장치 개발 68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77
제1절 철도차량 객실 내 초미세먼지 및 감염성 유해미생물 동시제거 기술 개발 77
1. 활성탄소섬유의 표면개질 공정 및 물리적 특성평가 79
2. 구리 나노입자의 활성탄소섬유 고정화 기술개발 86
3. 활성탄소섬유 필터 제작공정 최적화 기술개발 104
4. 히드록실 라디칼을 이용한 유해미생물의 번식방지 기술개발 123
5. 휠/레일 접촉 미세 마모입자 발생량 상관성 연구 138
제2절 철도차량용 저소음 연결막 기술 개발 153
1. 유동환경기반 다공형 다층구조 소음성능 향상방안 도출 153
2. 저소음 단품모델 성능시험 및 결과 분석 191
3. 연결부 내장판 진동저감장치 적용방안 연구 200
제3절 다목적 지능형 철도환경 감시 자동화 장치 개발 244
1. 철도 환경상태 진단 스마트 모니터링 알고리즘 개발 244
2. 환경감시 자동화 장치 282
3. 작업자 방호 장치 291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97
제1절 철도차량 객실 내 초미세먼지 및 감염성 유해미생물 동시제거 기술개발 297
1. 목표달성도 297
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98
제2절 철도차량용 저소음 연결막 기술 개발 299
1. 목표달성도 299
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300
제3절 다목적 지능형 철도환경 감시 자동화장치 개발 301
1. 목표달성도 301
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301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305
제1절 철도차량 객실 내 초미세먼지 및 감염성 유해미생물 동시제거 기술개발 305
제2절 철도차량용 저소음 연결막 기술 개발 305
제3절 다목적 지능형 철도환경 감시 자동화장치 개발 306
참고문헌 308
판권기 311
그림 1-1-1. 지하철 미세먼지 농도 관련 언론보도 29
그림 1-1-2. 지하철과 버스 미세먼지 농도 비교관련 언론보도 30
그림 1-1-3. 2015-2016년 서울 지하철 노선별 미세먼지 측정결과 30
그림 1-1-4. 서울 지하철 승객 수 상위 역사의 미세먼지 농도 (2007-2016) 31
그림 1-1-5. 전국 철도 도시철도 노선별 지하역사 및 차량의 미세먼지 농도 32
그림 1-1-6. 2018년 10월 지하철 객실 미세먼지 농도 33
그림 1-1-7. 제3차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5개년 대책 34
그림 1-1-8. 고속철도차량의 소음 발생 현황 36
그림 1-1-9. 위험한 작업환경에서 수행되는 철도환경인자 측정 사례 36
그림 1-1-10. 국토부 보도자료의 2013년~2017년 원인별 작업자 사망 현황 37
그림 1-1-11. 철도공사의 2004~2008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37
그림 1-1-12. 지하공간 개발 관련 계획 38
그림 1-1-13. 유입수의 하수배출량 기준 하수도 비용 산출 39
그림 1-1-14. 차량 객실 내 부유균 이미지 및 바이러스 확산 지도 40
그림 1-1-15. 고속 검측차 개념도(좌), 트롤리 형태의 검측장비(우) 43
그림 1-2-1. 철도환경 유해인자 저감 및 계측 자동화 기술 개념도 45
그림 2-1-1. 서울 지하철 전동차 내 미세먼지 농도 (2015-2016) 49
그림 2-1-2. 서울 지하철 전동차 내 미세먼지 농도 (2015-2016) 50
그림 2-1-3.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단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시계방향으로 발생·유입, 측정·예보, 집진·저감, 보호·대응 관련 연구수행) 53
그림 2-1-4. 국내 공기청정기 시장규모 및 판매량 54
그림 2-1-5. 실내 공기청정기 필터 구성 예시 54
그림 2-1-6. 레일음향조도 측정장치 58
그림 2-1-7. 레일음향조도 연마장치 58
그림 2-1-8. 국산 XRF 장비 (테크밸리사) 60
그림 2-2-1. 3M사 대표필터의 성능 비교 65
그림 2-2-2. 휴대용 XRF 기술개발 역사 70
그림 2-2-3. 지하수 유입량과 관련요소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71
그림 2-2-4. 부산 수영구 지하수 유동 수치모델링 결과 72
그림 3-1-1. 기능성 활성탄소섬유필터 개발 개요 78
그림 3-1-2. 질산을 이용한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표면처리 순서도 79
그림 3-1-3.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표면처리 공정 사진 79
그림 3-1-4.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표면처리 실험 조건 도출 80
그림 3-1-5. 표면처리 조건에 따른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산소함량 변화 82
그림 3-1-6. 활성탄소섬유의 필터의 산소함량에 대한 질산 농도, 침지 온도 및 시간의 복합 영향 83
그림 3-1-7.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표면처리 최적 조건 도출 83
그림 3-1-8. 수산화칼륨을 이용한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표면개질 순서도 84
그림 3-1-9.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표면개질 공정 사진 84
그림 3-1-10.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표면개질 실험 조건 도출 85
그림 3-1-11. 표면개질 조건에 따른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비표면적 변화 85
그림 3-1-12. 유무기 구리복합입자 (CuO-APTES) 고정화 모식도 87
그림 3-1-13. APTES/ACF 층상에 MgO-CuO층이 형성된 모식도 89
그림 3-1-14. 구리 복합입자 첨착 활성탄소섬유의 공인 항균성 시험결과 95
그림 3-1-15. 구리 복합입자 첨착 활성탄소섬유의 공인 항균성능 시험방법 및 결과 96
그림 3-1-16.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차압 측정 장치 (면적 0.0049m²) 97
그림 3-1-17. A1 ultrafine test dust의 크기별 조성 98
그림 3-1-18. 활성탄소섬유의 미세먼지 여과성능 평가 장치 99
그림 3-1-19. 기능성 활성탄소섬유 필터 시편의 여과 전,후 (초)미세먼지 농도비교 그래프 101
그림 3-1-20. 기능성 활성탄소섬유 필터 시편의 여과 전,후 (초)미세먼지 농도비교 그래프 103
그림 3-1-21. 필터제작 공정 개요 104
그림 3-1-22. 활성탄소섬유 적층구조에 따른 필터 여과 전,후 (초)미세먼지 농도비교 그래프 107
그림 3-1-23. Hot melt lamination 방식을 이용한 합지 공정과정 110
그림 3-1-24. 활성탄소섬유 기반 절곡형 필터 111
그림 3-1-25. 입자상 물질 여과시험 장비 112
그림 3-1-26. 입자상 물질 여과시험 덕트 도면 예 112
그림 3-1-27. 입자/가스상 물질 여과시험 장비의 배치도 113
그림 3-1-28. 필터 성능 공인시험 결과자료 114
그림 3-1-29. Roll-to-Roll 코팅 방식을 이용한 APTES과 구리입자 첨착 공정과정 116
그림 3-1-30. 구리 복합입자 첨착 활성탄소섬유의 공인 항균성 시험결과 118
그림 3-1-31. 지지체/대면적 코팅첨착 ACF/지지체 구조 필터의 여과 전,후 미세먼지 농도비교 그래프 (위: 평면형 원단, 아래: 절곡형 필터) 119
그림 3-1-32. 활성탄소섬유 기반 절곡형 필터 120
그림 3-1-33. 광촉매반응과 저전압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하이드록실 라디칼 생성 123
그림 3-1-34. UV AOP 및 O₃ 공급에 의한 라디칼 생성방법 126
그림 3-1-35. TiO₂ AOP에 이한 라디칼 생성방법 126
그림 3-1-36. 슈퍼옥사이드(O₂-)의 형태 127
그림 3-1-37. 과산화수소, 하이드록실 라디칼, 수산기의 형태 127
그림 3-1-38. 펜톤반응으로 인한 하이드록실 라디칼 생성 128
그림 3-1-39. 자외선 조사로 인한 DNA 내의 티민 파괴 129
그림 3-1-40. 플라즈마 상태 130
그림 3-1-41. 압전소자의 형상 131
그림 3-1-42. 공기 정화장치 모식도 137
그림 3-1-43. 종래의 UV 살균 수처리 장치 137
그림 3-1-44. 서울지하철 미세먼지 중 중금속의 질량 수농도 138
그림 3-1-45. 그림 3-1-44의 각 중금속 성분이 관찰된 입자 크기 139
그림 3-1-46. Twin disk rig 시험기 및 미세입자 측정기의 간략한 도면 140
그림 3-1-47. 슬립영역 전체에서 측정된 미세입자의 전체 수농도 142
그림 3-1-48. 초미세, 미세, 조대입자의 각 접촉 영역에서의 최대 수농도 143
그림 3-1-49. 초미세, 미세, 조대입자의 각 접촉 영역에서의 전체 수농도 144
그림 3-1-50. 초미세, 미세, 조대입자의 각 접촉 영역에서의 수농도 145
그림 3-1-51. FMPS 및 OPS에서 측정된 입자들의 입경분포 146
그림 3-1-52. FMPS 및 OPS에서 측정된 입자들의 0.5% 범위당 입경분포 149
그림 3-2-1. 전산유체역학/경계요소법을 통한 탄성공명패널 흡음성능해석기법 절차 153
그림 3-2-2. 접선유동으로 인한 vortex 형성 157
그림 3-2-3. Struve Function의 경향 160
그림 3-2-4. Nelson의 접선유동 실험 설비 개형도 160
그림 3-2-5. 탄성공명패널 주변 소음 및 Struve function의 경향 비교 161
그림 3-2-6. 임피던스 경험식/난류경계층 이론을 통한 탄성공명패널 흡음성능해석기법 절차 162
그림 3-2-7. 유동환경 내 탄성공명패널 주변 유동 현상 163
그림 3-2-8. 탄성공명패널 위치 별 유동영향에 따른 이론 적용 유무 164
그림 3-2-9. Bauer 및 Lee & Ih의 임피던스 경험식 165
그림 3-2-10. 다층 탄성공명패널 + 외벽 물성치 166
그림 3-2-11. 다층 탄성공명패널 + 외벽 내부 압력 및 속도 분포 166
그림 3-2-12. 외벽 + 다층 탄성공명패널 + 외벽 물성치 173
그림 3-2-13. 외벽 + 다층 탄성공명패널 + 외벽 내부 압력 및 속도 분포 174
그림 3-2-14. 모드 별 공력 공진 형성 유무 182
그림 3-2-15. 난류경계층 영향을 반영한 탄성공명패널 압력 분포 형태 183
그림 3-2-16. 음향 파워 피적분항 별 최대조건 분석 183
그림 3-2-17. Vertical two microphone method 184
그림 3-2-18. Lateral two microphone method 186
그림 3-2-19. 유동환경기반 탄성공명패널 흡음성능계측 환경 188
그림 3-2-20. Lateral two microphone 계측 위치 1 188
그림 3-2-21. Lateral two microphone 계측 위치 2 188
그림 3-2-22. 유속 별 탄성공명패널 흡음성능 계측결과 190
그림 3-2-23. 유속 별 공극률 1% 탄성공명패널 흡음성능해석결과 (직경 1mm) 190
그림 3-2-24. 유속 별 공극률 0.1% 탄성공명패널 흡음성능해석결과 (직경 1mm) 191
그림 3-2-25. 타공지름 1.0mm, 공극율 1.07%, Cavity 비교 시험 (3cm와 6cm) 193
그림 3-2-26. 타공지름 0.5mm, 공극율 1.09%, Cavity length 30mm 193
그림 3-2-27. 타공지름 2.0mm, 공극율 3.18%, Cavity length 30mm 194
그림 3-2-28. 타공지름 1.0mm, 공극율 3.00%, Cavity length 30mm 194
그림 3-2-29. 타공지름 2.0mm, 공극율 4.91.%, Cavity length 30mm 194
그림 3-2-30. 타공지름 1.0mm, 공극율 5.00%, Cavity length 30mm 195
그림 3-2-31. 기존 연결막과 측정 결과 비교 198
그림 3-2-32. 내부 다층구조 다공형 연결막 성능향상 비교 결과 199
그림 3-2-33. 내장판 물성치 측정을 위한 시험 시편 211
그림 3-2-34. 스트레인에 따른 스트레스 그래프 (인장탄성율) 212
그림 3-2-35. 포아송비 측정 그래프 213
그림 3-2-36. 내장판 시편 모델링 및 메쉬 214
그림 3-2-37. 밑의 정사각형 박스는 음향가진을 위한 음향박스와 그 위에 설치된 내장판 216
그림 3-2-38. 음향으로 가진된 내장판의 진동특성 결과 216
그림 3-2-39. 저주파로 진동하는 내장판의 진동발생 형상 217
그림 3-2-40. 내장판의 스트레인 에너지 분포와 압전재료의 최적 부착위치 모델링 218
그림 3-2-41. 내장판 상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확인하기 위한 반구형 음장 219
그림 3-2-42. 내장판에 부착된 압전재료와 연결된 외부회로인 인덕터와 저항 220
그림 3-2-43. 72Hz의 진동을 압전션트로 저감 220
그림 3-2-44. 88Hz의 진동을 압전션트로 저감 221
그림 3-2-45. 압전션트 적용에 따른 저주파 방사소음의 저감 결과 222
그림 3-2-46. KTX 내장판 시편 223
그림 3-2-47. 내장판 가진을 위한 앰프내장형 스피커 224
그림 3-2-48. 실험 데이터 계측 및 분석용 장비 225
그림 3-2-49. 진동가속도센서 226
그림 3-2-50. 압전재료 (PZT) 226
그림 3-2-51. 압전재료가 부착된 KTX 내장패널시편 (0.716x0.646x0.003m) 227
그림 3-2-52. 압전션트 회로를 튜닝하기 위한 가변인덕터 회로 모듈 228
그림 3-2-53. 압전션트 회로를 튜닝하기 위한 가변인덕터 회로 설계도 228
그림 3-2-54. 내장판 중앙에 부착된 진동가속도센서 229
그림 3-2-55. 내장패널 가진을 위한 음향가진용 스피커가 하부에서 저주파 진동 발생 230
그림 3-2-56. 가변인덕터 제어를 위한 LCR 미터 230
그림 3-2-57. 랜덤으로 가진된 내장판의 진동특성 231
그림 3-2-58. 72Hz의 진동저감 결과 그래프 231
그림 3-2-59. 225Hz의 진동저감 결과 그래프 232
그림 3-2-60. Stick-slip 메카니즘에 따른 마찰력의 변화 233
그림 3-2-61. 곡선부를 주행하는 차륜에서 발생하는 힘의 종류 233
그림 3-2-62. 가진 목표주파수의 모드형상 234
그림 3-2-63. 차륜 가진 수치해석 모델 234
그림 3-2-64. 차륜의 압전가진에 의한 소음과 진동 발생 수치해석 결과 235
그림 3-2-65. 철도차량 차륜에 대한 압전재료의 가진 시험 236
그림 3-2-66. 철도차량 차륜에 대한 압전재료의 주파수에 따른 가진능력 평가 236
그림 3-2-67. 차륜의 스트레인 에너지 분포 237
그림 3-2-68. 차륜의 최적위치에 부착된 압전재료와 연결된 션트회로 237
그림 3-2-69. 방사소음 예측을 위한 차륜 주변 구형태의 반경 1m 음장 형성 238
그림 3-2-70. 차륜의 고유진동수에서 발생한 진동 저감 238
그림 3-2-71. 차륜 주변으로 방사되는 고주파 소음 저감 음압분포 238
그림 3-2-72. 압전션트가 적용된 차륜의 고주파 소음저감 실험 구성도 239
그림 3-2-73. 진동저감을 위한 차륜의 최적위치에 부착된 4장의 압전재료 239
그림 3-2-74. 인덕턴스 제어에 필요한 가변인덕터 모듈 240
그림 3-2-75. 2144Hz의 고주파 소음 저감 (약 8dB(A) 저감) 240
그림 3-2-76. 4265Hz의 고주파 소음저감 (약 11dB(A) 저감) 240
그림 3-2-77. 5384Hz의 고주파 소음저감 (약 10dB(A) 저감) 241
그림 3-2-78. 시간파형으로 확인한 Overall 음압레벨과 3차원으로 확인한 Waterfall 241
그림 3-2-79. 2중 주파수 소음저감 실험 결과 242
그림 3-3-1. 하드웨어 구성도와 UI 프로그램 246
그림 3-3-2. 취득된 파상마모 이미지 프레임 수 248
그림 3-3-3. 캘리브레이션 이미지 248
그림 3-3-4. 파상마모 주기에 강한 피크 발생 253
그림 3-3-5. 3차원으로 도식화한 PSD 분포 253
그림 3-3-6. 레이저와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 장치 구성(안) 257
그림 3-3-7. 휴대용 XRF의 측정 원리 258
그림 3-3-8. XRF 기반 철도 선로 내 토양오염 진단 알고리즘 258
그림 3-3-9. X선 강도와 시료와의 거리 관계 원리 259
그림 3-3-10. XRF 검출부와 토양시료 사이의 최대 간격 설정을 위한 실험실 테스트 모습 259
그림 3-3-11. 대전 현충원역 집수정 위치 및 센서 설치 위치 262
그림 3-3-12. 집수정 유입수 모니터링 센서 설치 방법 263
그림 3-3-13. 집수정 유입수 모니터링 센서 통신 연결 263
그림 3-3-14. 현장 계측 데이터 수집 265
그림 3-3-15. 유입량, EC의 ARIMAX모형 검증 266
그림 3-3-16. ARIMAX모형에 의한 유입수 변동 예측 267
그림 3-3-17. ABA, 제강슬래그의 XRD분석 270
그림 3-3-18. Alum sludge의 소성가스에 따른 질산성질소의 제거효율 평가 271
그림 3-3-19. pH와 소성온도에 따른 질산성질소의 제거효율 평가 272
그림 3-3-20. ZVI에 의한 질산성질소의 환원 메커니즘 274
그림 3-3-21. ZVI를 이용한 질산성질소 제거 실험 결과 275
그림 3-3-22. 질산성질소와 반응 전/후 ZVI의 XRD 결과 275
그림 3-3-23. 볏짚과 커피찌꺼기의 열분해 전/후 사진 276
그림 3-3-24. 개질된 biochar를 이용한 질산성질소의 제거 기작 277
그림 3-3-25. 볏짚 biochar의 SEM 사진 277
그림 3-3-26. 개질 전/후 biochar의 철 농도 (Aqua regia) 278
그림 3-3-27. Biochar와 질산성질소의 제거효율 평가 279
그림 3-3-28. 질산성질소와의 반응 전 후 biochar의 pH 변화 279
그림 3-3-29. Biochar와 질산성질소의 총 질소의 제거효율 평가 280
그림 3-3-30. 질소의 Pourbiax diagram 280
그림 3-3-31. 인공지하수 조건에서 질산성질소, 총 질소 그리고 pH 변화율 281
그림 3-3-32. 기존의 환경감시 자동화 장치의 컨셉 282
그림 3-3-33. 핵심 부품별로 구성한 설계(안) 282
그림 3-3-34. 환경감시 플랫폼 3D도면 및 제작품 사진 283
그림 3-3-35. 본체 구성 284
그림 3-3-36. 메인 프레임의 응력 및 변형량 해석 284
그림 3-3-37. 중앙 구동휠 모듈 및 구동 모터 285
그림 3-3-38. 전/후면 휠 모듈 285
그림 3-3-39. 레일 측면 지지구조 286
그림 3-3-40. 전원부 모듈 286
그림 3-3-41. 터치패널 모듈 287
그림 3-3-42. 제어기 모듈 287
그림 3-3-43. 변위 센서부 288
그림 3-3-44. 각종 센서 장착 공간 확보 288
그림 3-3-45. GUI 구성 289
그림 3-3-46. 모형 레일상에서 테스트 수행 289
그림 3-3-47. 20mm/s 구동시 샘플링속도 모니터링(빨간색 표시 구역) 290
그림 3-3-48. 5mm/s 운행시 변위센서 데이터 플롯(좌)과 저장된 position(m)과 센서 데이터(mm)(우) 290
그림 3-3-49. 1차년도 시험품(좌)과 설계 개선안(우) 291
그림 3-3-50. 시작품 설계 사양 292
그림 3-3-51. 시작품 설계안 292
그림 3-3-52. 시제품 제작 293
그림 3-3-53. 시제품 컨셉안 293
그림 3-3-54. 작업구간 활용 예 29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