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3
보고서 요약서 5
요약문 7
SUMMARY 9
Contetns 11
목차 1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6
제1절 연구개발 배경 및 필요성 26
1. 연구개발 배경 26
2. 연구개발 필요성 26
3. 정부정책/연구원 미션과의 연계성 27
제2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29
1. 연구개발 최종목표 29
2. 세부목표 29
3. 기술 준비수준(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 29
4. 당해 연도 세부목표 및 내용 29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3
제1절 해외 기술개발 동향 33
1. EU의 제동시스템 연구개발 동향 (Shift2Rail) 33
2. 일본의 제동시스템 연구개발 동향 46
3. 중국의 제동시스템 연구개발 동향 52
4. 주행장치 연구개발 기술 동향 54
제2절 국내 연구개발 현황 58
1. 국내 EMB 개발현향 58
2. 국내 고속철도 제동시스템 개발현황 59
4. 국내 주행장치 핵심설계 기술 연구개발 동향 65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69
제1절 고속열차용 주행장치 설계기반 및 핵심기술 개발 69
1. 접촉집중 완화형 차륜형상에 대한 현가특성 설계기술 개발 69
2. 고속대차용 1차 현가장치 특성 분석 및 자기유변탄성체(MRE) 적용 가능성 검토 139
3. 소결론 163
제2절 고속열차용 고출력 Electro-Mechanical Brake 핵심기술개발 164
1. EMB 2차 시작품 성능/설계 개선안 도출 및 제작 164
2. EMB 제어로직 고도화 및 S/W 수정 233
3. 다이나모 시험을 통한 EMB 시작품 동적 압부력 성능검증 259
4. EMB 시작품 온도시험 실시 (KS R 9213) 275
5. 소결론 284
제3절 결론 286
1. 고속열차용 주행장치 설계기반 및 핵심기술 개발 286
2. 고속열차용 고출력 EMB 핵심기술 개발 287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91
제1절 성과목표 달성도 291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93
가. 기술적 진보사항 293
나. 기타 특이사항 293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296
제1절 연구결과의 활용성 및 계획 296
1. 성과활용 계획 296
2. 성과확산 계획 296
제2절 파급 기대효과 297
1. 정량적 기대효과 297
2. 정성적 기대효과 297
참고문헌 298
판권기 299
그림 2-1-1. Knorr의 차세대 제동시스템 아키텍처 적용 시 장점 33
그림 2-1-2. Knorr의 Brake-by-Wire 장점 발표 34
그림 2-1-3. Knorr의 EDV 아키텍처 34
그림 2-1-4. Knorr WSP 제어패턴 : 로템 전기기관차 적용 35
그림 2-1-5. TSI에서 WSP 기준만족을 위하여 필요한 Module 36
그림 2-1-6. TSI에서 WSP에 요구하는 다양한 기술기준(1) 36
그림 2-1-7. TSI에서 WSP에 요구하는 다양한 기술기준(2) 37
그림 2-1-8. TSI에서 WSP에 요구하는 다양한 기술기준(3) 37
그림 2-1-9. WSP adaptive control and sander 38
그림 2-1-10. Adhesion Management Solutions 38
그림 2-1-11. 독일 Knorr 사의 EWB 154R 와전류 제동시스템 39
그림 2-1-12. Linear Eddy Current 제동시스템의 효과 검증(ICE3 적용, Knorr 제품) 39
그림 2-1-13. ICE-3 부수대차에 취부된 선형 와전류 제동 시스템 40
그림 2-1-14. ICE-S 시험열차의 대차에 취부된 선형 와전류 제동 시스템 40
그림 2-1-15. ICE3 차량의 동력대차 및 차륜디스크 취부 41
그림 2-1-16. 독일 LZB 궤도회로 41
그림 2-1-17. 독일 Knoor와 DLR 개발 세라믹 디스크 다이나모 시험 42
그림 2-1-18. 이노트랜스 2018 Knorr 전시 부스 사진 42
그림 2-1-19. 경량 캘리퍼 적용 시 이산화탄소 저감량 43
그림 2-1-20. Knorr 경량화 캘리퍼 실물 사진 43
그림 2-1-21. Knorr의 자사제품군에 대한 LCA 분석 결과 홍보 44
그림 2-1-22. EMB 적용 시 제거가능한 하부 제동장치 개념도 44
그림 2-1-23. 아우디에 적용된 EMB 45
그림 2-1-24. 독일 Knorr EMB용 제동캘리퍼 45
그림 2-1-25. Shift2Rail 브로셔 내 EMB 소개자료 46
그림 2-1-26. 일본 N700 고속열차에 적용된 디스크 방식 와전류 제동장치 47
그림 2-1-27. 일본 자체 개발 Flexible 제동 PAD 47
그림 2-1-28. JR Central의 신규 고속열차 N700S WCRR 2019 소개 48
그림 2-1-29. N700S 제동성능 향상 48
그림 2-1-30. JR EAST의 ALFA-X 차량 WCRR2019 전시부스 49
그림 2-1-31. JR EAST의 ALFA-X 차량 WCRR2019 소개 49
그림 2-1-32. JR EAST의 ALFA-X 차량 사양서 50
그림 2-1-33. Fastech360 공력제동 시스템 51
그림 2-1-34. ALFA-X 공력제동 시스템 51
그림 2-1-35. CETROVO 개발 키워드 52
그림 2-1-36. CETROVO 측면 52
그림 2-1-37. CETROVO 정면 52
그림 2-1-38. CETROVO 기술사양 #1 53
그림 2-1-39. CETROVO 기술사양 #2 53
그림 2-1-40. CETROVO 제동 캘리퍼 사진 53
그림 2-1-41. 독일(좌), 프랑스(우) 복합소재 대차프레임 54
그림 2-1-42. 영국의 화차용 복합소재 대차프레임 54
그림 2-1-43. 일본 가와사키 중공업 복합소재 대차 55
그림 2-1-44. SIEMENS S7000 대차 56
그림 2-1-45. Hitachi inner frame bogie 56
그림 2-1-46. Bombardier FLEXX Eco bogie 56
그림 2-1-47. SIEMENS Velaro NOVO 시험열차의 밀폐형 대차구조 56
그림 2-1-48. SIEMENS Velaro NOVO 인보드 고속대차 57
그림 2-2-1. 국내 자동차용 EMB 주요 개발 사양 58
그림 2-2-2. DGIST 자동차용 EMB 개발품 59
그림 2-2-3. HEMU-430X 제동시스템 구성요소 60
그림 2-2-4. 속도단계별 감속도 제어 패턴 60
그림 2-2-5. 분산형고속열차 제동 블렌딩 제어 61
그림 2-2-6. 모듈집약형 제동제어장치 61
그림 2-2-7. 차량 MVB 통신과 제동제어장치간 인터페이스 및 BCN 개념도 62
그림 2-2-8. 제동디스크 국산화 개발품 차축(왼쪽), 차륜(오른쪽) 62
그림 2-2-9. 차륜 디스크 내부 방열 핀 설계 및 열전달 해석 62
그림 2-2-10. Compact 설계 제동 캘리퍼 국산화 63
그림 2-2-11. 개발 제동시스템 실차 제동시험결과 및 블렌딩 제어 검증 63
그림 2-2-12. 120 km/h 초저점착 시험결과 64
그림 2-2-13. 100 km/h Drag 시험결과 64
그림 2-2-14. 한국 철도연 복합소재 대차 66
그림 2-2-15. 용인 경전철용 인보드 대차 66
그림 3-1-1. 기존 차륜형상과 접촉집중 완화형 차륜형상의 접촉점 분포 70
그림 3-1-2. 각 차륜 형상에 대한 등가답면구배 70
그림 3-1-3. 접촉집중 완화형 차륜형상(안) 주요 치수 71
그림 3-1-4. 설계 데이터와 도면화 데이터의 접촉특성 비교 72
그림 3-1-5. 주행 진동모드 해석 흐름도 [2] 74
그림 3-1-6. HEMU-430X M1 차량 주행 진동모드 해석 결과 75
그림 3-1-7. HEMU-430X M1 차량 속도에 따른 감쇠비 변화 76
그림 3-1-8. HEMU-430X M1 차량의 300km/h 최소감쇠비 모드 78
그림 3-1-9. 대차 진동(헌팅) 모드 78
그림 3-1-10. 2차 횡방향 댐퍼 감쇠계수 변화에 따른 최소 감쇠비 해석 결과 [2] 79
그림 3-1-11. 2차 횡방향 강성계수 변화에 따른 최소 감쇠비 해석 결과 [2] 80
그림 3-1-12. 요댐퍼 감쇠계수에 따른 최소 감쇠비 해석 결과 [2] 81
그림 3-1-13. 요댐퍼 시리즈 강성계수에 따른 최소 감쇠비 해석 결과 [2] 82
그림 3-1-14. PT04형상 및 기존 현가특성 조합에 대한 감쇠비 해석결과 83
그림 3-1-15. PT05형상 및 기존 현가특성 조합에 대한 감쇠비 해석결과 83
그림 3-1-16. PT04 및 PT05 형상에 대한 현가특성 설계 결과 85
그림 3-1-17. 마모 차륜에 대한 주행 진동모드 해석결과 86
그림 3-1-18. 등가답면구배 변화에 따른 선형 임계속도 해석결과 87
그림 3-1-19. PT04 및 PT05 형상에 대한 현가특성 설계 조정안 88
그림 3-1-20. 현가특성 조정안에 대한 선형 임계속도 해석결과 89
그림 3-1-21. 4량 1편성 VI-Rail 열차 해석모델 90
그림 3-1-22. PT04 형상 임계속도 해석 결과 91
그림 3-1-23. PT05 형상 임계속도 해석 결과 91
그림 3-1-24. 기존 열차의 UIC518 OR 분석결과 [1] 92
그림 3-1-25. PT04 형상 및 신규 현가특성 적용 열차의 UIC518 OR 분석결과 93
그림 3-1-26. 곡선구간 주행안전도 해석을 위한 선로 모델 94
그림 3-1-27. ISO 2631 횡방향 가속도 필터 98
그림 3-1-28. PT04 형상 및 신규 현가특성 적용 열차모델의 차체 횡방향 가속도 99
그림 3-1-29. PT04 형상(위), PT05 형상(아래) 및 신규 현가특성 적용 열차모델 승차감 지수 향상 정도 106
그림 3-1-30. 주행속도 300km/h, PT04 형상의 직선 주행거리에 대한 최대 마모 깊이 해석결과 107
그림 3-1-31. 주행속도 300km/h, PT04 형상의 직선주행에 대한 마모저감 성능 108
그림 3-1-32. 주행속도 300km/h, PT04 형상의 직선주행에 대한 등가답면구배 변화 108
그림 3-1-33. 주행속도 300km/h, PT05 형상의 직선 주행거리에 대한 최대 마모 깊이 해석결과 109
그림 3-1-34. 주행속도 300km/h, PT05 형상의 직선주행에 대한 마모저감 성능 110
그림 3-1-35. 주행속도 300km/h, PT05 형상의 직선주행에 대한 등가답면구배 변화 110
그림 3-1-36. 주행속도 250km/h, PT04 형상의 직선주행에 대한 마모특성 해석결과 111
그림 3-1-37. 주행속도 200km/h, PT04 형상의 직선주행에 대한 마모특성 해석결과 111
그림 3-1-38. 주행속도 300km/h, PT04 형상의 R7000 주행에 대한 마모특성 해석결과 112
그림 3-1-39. 누적주행거리 37,000km, 각 형상의 곡선구간 마모깊이 113
그림 3-1-40. 누적주행거리 37,000km, 급곡선 구간 주행에 따른 각 차륜형상의 변화 114
그림 3-1-41. 마모차륜 형상에 대한 임계속도 해석결과 115
그림 3-1-42. 2차 현가 요댐퍼 단품시제 개념도 119
그림 3-1-43. 2차 현가 요댐퍼 단품시제 119
그림 3-1-44. 2차 현가 요댐퍼 단품시제 설계/시험 비교 (1단 강성) 126
그림 3-1-45. 2차 현가 요댐퍼 단품시제 설계/시험 비교 (2단 강성) 126
그림 3-1-46. 가이드 스프링 방식 1차 현가 조립체 단품시제 개념도 128
그림 3-1-47. 가이드 스프링 방식 1차 현가 조립체 단품시제 128
그림 3-1-48. 가이드 스프링 방식 1차 현가 조립체 단품시제 등가강성 특성시험 129
그림 3-1-49. 1차 현가 조립체 단품시제 등가강성 설계/시험 비교 133
그림 3-1-50. HEMU-430X M1 차량 차체 횡진동 주파수 특성 135
그림 3-1-51. HEMU-430X M1 차량의 차체진동 감쇠비 개선 136
그림 3-1-52. HEMU-430X M1 차량의 교체된 요댐퍼 136
그림 3-1-53. HEMU-430X M1 차량 요댐퍼 교체 후 차체 횡가속도 비교 137
그림 3-1-54. HEMU-430X M1 차량 요댐퍼 교체 후 횡방향 승차감 평가 (후위 위치) 138
그림 3-1-55. HEMU-430X M1 차량 요댐퍼 교체 후 횡방향 승차감 평가 (전위 위치) 138
그림 3-1-56. Zvi Rigbi and Leif Jilken에 의해 제안된 자기유변탄성체 시편 특성 시험[6] 139
그림 3-1-57. 천연고무 기반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차동마운트[7] 140
그림 3-1-58. 가변강성 차동마운트의 방향에 따른 최대 동적 강성 변화[7] 140
그림 3-1-59. Cross member rear bush의 자기유변탄성체 이용 메커니즘 3D 모델[8] 141
그림 3-1-60. 자기장 인가 코일의 전류 및 자기유변탄성체 두께에 따른 자기장 해석 결과[9] 141
그림 3-1-61. 실리콘 매트릭스 기반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가변강성 메커니즘[10] 142
그림 3-1-62. 철도차량 곡선주행 조향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종방향 가변강성 메커니즘[10] 142
그림 3-1-63. 철도차량용 가변강성 메커니즘의 동적강성 측정실험 및 결과[10] 143
그림 3-1-64. 구형 CIP 20% 혼입 자기유변탄성체의 15% strain 시험 결과, (좌)전단강성, (우)자기유변효과 144
그림 3-1-65. 구형 CIP 40% 혼입 자기유변탄성체의 15% strain 시험 결과, (좌)전단강성, (우)자기유변효과 145
그림 3-1-66. 구형 CIP 20% 혼입 자기유변탄성체의 40% strain 시험 결과, (좌)전단강성, (우)자기유변효과 145
그림 3-1-67. 구형 CIP 40% 혼입 자기유변탄성체의 40% strain 시험 결과, (좌)전단강성, (우)자기유변효과 145
그림 3-1-68. 시제 1의 자기유변탄성체 및 코일 배치(원뿔대형) 147
그림 3-1-69. 시제 2의 자기유변탄성체 및 코일 배치(적층형) 147
그림 3-1-70. 자기유변탄성체 이용 조인트 시제 1(원뿔대형)의 구성품 148
그림 3-1-71. 시제 2(적층형)의 구성품 149
그림 3-1-72.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 150
그림 3-1-73. FEM을 이용한 자기장 해석 154
그림 3-1-74. 전류 인가 방식 1 154
그림 3-1-75. 전류 인가 방식 2 155
그림 3-1-76. 전류 인가 방식 1에 따른 자기선속밀도 FEM 해석 결과 156
그림 3-1-77. 전류 인가 방식 2에 따른 자기선속밀도 FEM 해석 결과 157
그림 3-1-78. 시제 1(원뿔대형)의 최종 3D 모델 158
그림 3-1-79. 시제 1(원뿔대형)의 구성품 제작 158
그림 3-1-80. 시제 2(적층형)의 최종 3D 모델 159
그림 3-1-81. 가변강성 현가시제 특성시험을 위한 계측시스템(1) 159
그림 3-1-82. 가변강성 현가시제 특성시험을 위한 계측시스템(2) 160
그림 3-1-83. 코일 전류 인가 유무에 따른 충격 반응의 FFT 선도 161
그림 3-1-84. 코일 전류 인가 유무에 따른 주파수 변화 161
그림 3-1-85. 자기유변탄성체 자기장 생성 코일의 전류 인가에 따른 온도 변화 [12] 162
그림 3-2-1. ASTM E8 피로시험 시편 규격-1 165
그림 3-2-2. ASTM E8 피로시험 시편 규격-2 165
그림 3-2-3. ASTM E8 피로시험 시편 제작 도면 165
그림 3-2-4. 피로시험 시편 제작을 위한 원소재 166
그림 3-2-5. 피로시험 시편 제작을 위한 원소재 가공: 열처리 166
그림 3-2-6. 피로시험 시편 제작을 위한 원소재 가공: 표면처리 166
그림 3-2-7. 각 소재별 최종 피로물성치 측정 시편 167
그림 3-2-8. SM45C 피로시험 결과 및 S-N Curve 168
그림 3-2-9. SCM440 피로시험 결과 및 S-N Curve 169
그림 3-2-10. SM490A 피로시험 결과 및 S-N Curve 169
그림 3-2-11. 피로해석 S/W 검증을 위한 시편 모델 170
그림 3-2-12. 피로해석 S/W 검증을 위한 시편 모델의 경계조건 부여 171
그림 3-2-13. 피로해석 S/W 및 모델 검증결과 171
그림 3-2-14. EMB 시제품 구조해석 및 피로해석을 위한 3D 모델링 172
그림 3-2-15. EMB 시제품 구조해석 및 피로해석을 위한 Mesh - 1 172
그림 3-2-16. EMB 시제품 구조해석 및 피로해석을 위한 Mesh - 2 173
그림 3-2-17. EMB 시제품 구조해석을 위한 경계조건 부여 175
그림 3-2-18. EMB 시제품의 토크 및 축력 적용 위치 175
그림 3-2-19. EMB 시제품 구조해석을 위한 Interaction 조건 부여 176
그림 3-2-20. 모터샤프트 최대응력 및 최소 수명 위치 178
그림 3-2-21. 편심샤프트 최대응력 및 최소 수명 위치 178
그림 3-2-22. 기어-1 최대응력 및 최소 수명 위치 179
그림 3-2-23. 기어-2 최대응력 및 최소 수명 위치 179
그림 3-2-24. EMB 시제품 개선안 구조해석 및 피로해석 결과 181
그림 3-2-25. EMB 2차년도 시제품 (감속기 수직연결) 182
그림 3-2-26. Spiral Bevel 기어 적용 감속기 183
그림 3-2-27. 실제 HEMU 차량 공기제동 캘리퍼 하부공간(주차제동장치) 184
그림 3-2-28. EMB 감속기 연결 구조 설계 변경 (좌: 기존, 우: 개선) 185
그림 3-2-29. EMB 2차 시제품에 적용되는 직각형 감속기 186
그림 3-2-30. 직각형 감속기가 적용된 EMB 시제품 1차도면 187
그림 3-2-31. 직각형 감속기와 EMB Bottom plate 인터페이스 실물 검증 187
그림 3-2-32. 전형적인 도그 클러치 구조 188
그림 3-2-33. 도그 클러치 구조가 포함된 EMB 동력 전달 및 차단 기구구조 189
그림 3-2-34. 도그 클러치의 구동 구조 개념설계 190
그림 3-2-35. 도그 클러치 구조의 EMB 시제품 적용 상세설계 191
그림 3-2-36. 도그 클러치 구조 동작 메커니즘 검증 시제품 192
그림 3-2-37. 도그 클러치 결합 상태에서 모터축 회전에 따른 편심축의 회전 검증 193
그림 3-2-38. 도그 클러치 조정나사 회전에 따른 도크 클러치 분리 메커니즘 검증 194
그림 3-2-39. IPMSM 최적화설계 절차 197
그림 3-2-40. 초기 IPMSM 출력특성 그래프 200
그림 3-2-41. 민감도 분석 결과 (a) 토크출력 (b) 리플률 203
그림 3-2-42. 토크출력 및 토크리플에 대한 FEM 해석결과 207
그림 3-2-43. 최적설계에 따른 IPMSM의 토크 출력 207
그림 3-2-44. 전류 / 토크 및 극전압 파형 209
그림 3-2-45. 전류 / 출력 파형 및 역률 파형 210
그림 3-2-46. 전류 / 효율 파형 및 선간전압 파형 211
그림 3-2-47. 속도 / 토크 및 선간전압 파형 212
그림 3-2-48. 속도 / 출력 및 극전압 파형 213
그림 3-2-49. 속도 / 효율 및 역률 파형 214
그림 3-2-50. 영역별 메쉬모델 215
그림 3-2-51. 무부하 코깅토크 및 FFT 216
그림 3-2-52. 무부하 상전압 및 FFT 217
그림 3-2-53. 무부하 선간전압 및 공극에서의 힘 218
그림 3-2-54. 부하시 상전압 및 선간전압 219
그림 3-2-55. 부하상태의 출력토크 220
그림 3-2-56. 자속밀도 분포 220
그림 3-2-57. 토크곡선 및 효율맵 222
그림 3-2-58. 토크곡선 및 입력전류 222
그림 3-2-59. d-q축 전류입력에 따른 토크출력 223
그림 3-2-60. 토크에 따른 손실 맵 224
그림 3-2-61. 3D 와인딩 및 mesh구성 224
그림 3-2-62. 1차(좌) 및 2차(우) 시제품 중량 비교 225
그림 3-2-63. EMB 캘리퍼 2차 시제품 최종 조립 도면 226
그림 3-2-64. EMB 캘리퍼 구동 본체 조립 도면 227
그림 3-2-65. EMB Motor Assembly 도면 228
그림 3-2-66. EMB 캘리퍼 시제품 조립 절차서 229
그림 3-2-67. EMB 캘리퍼 2차 시제품 최종 조립 결과 – 1 231
그림 3-2-68. EMB 캘리퍼 2차 시제품 최종 조립 결과 – 2 232
그림 3-2-69. d-q축 전류와 β와의 관계도 234
그림 3-2-70. IPMSM 제어로직 235
그림 3-2-71. d-q축 전류제어 기준값 설정도 235
그림 3-2-72. 안티와인드업 피드백 전류제어 개념도 237
그림 3-2-73. 제어로직 적용전의 전류제어결과 237
그림 3-2-74. 제어로직 적용전의 모터 토크 및 압부력 238
그림 3-2-75. 제어로직 적용시 전류제어결과 239
그림 3-2-76. 제어로직 적용시 모터 토크 및 압부력 239
그림 3-2-77. 제어로직 적용 전과 후의 제어전류 비교 240
그림 3-2-78. 제어로직 적용 전과 후의 모터토크 및 압부력 비교 240
그림 3-2-79. EMB 실험 구성도 241
그림 3-2-80. 제어로직 적용 전과 후의 전류제어 및 압부력 242
그림 3-2-81. 속도제어기에 의한 IPMSM 회전속도 및 압부력 242
그림 3-2-82. 속도제어기 제어로직 적용 전과 후의 전류제어 및 압부력 243
그림 3-2-83. 제어로직 적용 전과 후의 입력 전류 비교 243
그림 3-2-84. 외부제어장치 개념도 244
그림 3-2-85. 외부제어장치 GUI 현시 화면 및 제작품 245
그림 3-2-86. 제동 지령 B7에 따른 압부력제어 246
그림 3-2-87. 제동 지령 B7에 따른 위치제어 246
그림 3-2-88. 제동 지령 B7에 따른 속도제어 247
그림 3-2-89. 제동 지령 B6에 따른 압부력제어 247
그림 3-2-90. 제동 지령 B6에 따른 위치제어 248
그림 3-2-91. 제동 지령 B6에 따른 속도제어 248
그림 3-2-92. 제동 지령 B5에 따른 압부력제어 249
그림 3-2-93. 제동 지령 B5에 따른 위치제어 249
그림 3-2-94. 제동 지령 B5에 따른 속도제어 250
그림 3-2-95. 제동 지령 B4에 따른 압부력제어 250
그림 3-2-96. 제동 지령 B4에 따른 위치제어 251
그림 3-2-97. 제동 지령 B4에 따른 속도제어 251
그림 3-2-98. 제동 지령 B3에 따른 압부력제어 252
그림 3-2-99. 제동 지령 B3에 따른 위치제어 252
그림 3-2-100. 제동 지령 B3에 따른 속도제어 253
그림 3-2-101. 제동 지령 B2에 따른 압부력제어 253
그림 3-2-102. 제동 지령 B2에 따른 위치제어 254
그림 3-2-103. 제동 지령 B2에 따른 속도제어 254
그림 3-2-104. 제동 지령 B1에 따른 압부력제어 255
그림 3-2-105. 제동 지령 B1에 따른 위치제어 255
그림 3-2-106. 제동 지령 B1에 따른 속도제어 256
그림 3-2-107. B1 ~ B7 연속상승 제동지령에 대한 압부력 출력 256
그림 3-2-108. B1 ~ B7 연속상승 제동지령에 대한 위치제어 257
그림 3-2-109. B7 ~ B1 연속하강 제동지령에 대한 압부력 출력 257
그림 3-2-110. B7 ~ B1 연속하강 제동지령에 대한 위치제어 특성 258
그림 3-2-111. HEMU-430X 차량 동력차륜 도면 259
그림 3-2-112. 다이나모 시험을 위한 동력차륜 자재 수급 260
그림 3-2-113. HEMU-430X 차륜디스크 도면 260
그림 3-2-114. 다이나모 시험을 위한 차륜디스크 자재 수급 261
그림 3-2-115. 원내 다이나모 시험기 전경 261
그림 3-2-116. 기존 KTX-산천 휠디스크 다이나모 시험 인터페이스 도면 262
그림 3-2-117. EMB, 차륜디스크와 제동 다이나모 시험 인터페이스 도면 262
그림 3-2-118. EMB 캘리퍼 고정 지그 설계 도면 263
그림 3-2-119. EMB 캘리퍼 고정 지그 제작 결과 263
그림 3-2-120. 스핀들 지그 –1 설계도면 264
그림 3-2-121. 스핀들 지그 –2 설계도면 264
그림 3-2-122. 스핀들 지그 –1 제작결과 265
그림 3-2-123. 스핀들 지그 –2 제작결과 265
그림 3-2-124. 스핀들 지그와 차륜디스크 조립 도면 266
그림 3-2-125. 차륜 디스크 및 차륜 자재 (조립 전) 266
그림 3-2-126. 차륜 디스크 및 차륜 자재 (조립 후) 267
그림 3-2-127. 차륜 압입선도 성적서 267
그림 3-2-128. 최종 압입된 차륜 디스크 268
그림 3-2-129. EMB 캘리퍼 시제품 다이나모 시험기 설치 작업 268
그림 3-2-130. 차륜디스크 및 EMB 캘리퍼 시제품 설치 결과 269
그림 3-2-131. HEMU MC차량 속도별 제동력 선도 270
그림 3-2-132. 다이나모 시험을 위한 계측장비 및 파워 서플라이 설치 271
그림 3-2-133. EMB 시제품 110km/h 다이나모 시험 결과 271
그림 3-2-134. 110km/h 다이나모 시험 영상 272
그림 3-2-135. EMB 시제품 300km/h 다이나모 시험 결과 273
그림 3-2-136. EMB 시제품 300km/h 다이나모 시험 영상 273
그림 3-2-137. EMB 시제품 다이나모 시험 결과와 기존 공압식 다이나모 시험결과 비교 274
그림 3-2-138. EMB 시제품 300km/h 다이나모 시험 시 전동기 파형 274
그림 3-2-139. EN 50125-1 온도시험 항목 276
그림 3-2-140. KS R 9213 온도시험 항목 276
그림 3-2-141. 제동 캘리퍼 대차 취부 인터페이스 도면 277
그림 3-2-142. EMB 캘리퍼 시제품 온도시험 지그 설계 도면 278
그림 3-2-143. EMB 캘리퍼 시제품 온도시험 지그 제작 결과 279
그림 3-2-144. EMB 캘리퍼 시제품 온도시험 챔버 내 설치 280
그림 3-2-145. EMB 캘리퍼 시제품 온도시험 챔버 및 동작성능 계측 사진 281
그림 3-2-146. 고온시험 온도 세팅 281
그림 3-2-147. 고온시험 동작거리 확인 (위)제동 (아래)완해 282
그림 3-2-148. 저온시험 온도 세팅 282
그림 3-2-149. 저온시험 동작거리 확인 (위)제동 (아래)완해 283
그림 3-2-150. 온도시험 공인기관 시험성적서 28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