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3
보고서 요약서 4
요약문 6
SUMMARY 8
Contents 10
목차 11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8
제1절 연구개발 배경 및 필요성 18
1. 연구개발 배경 18
2. 연구개발 필요성 19
제2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20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20
2. 연구개발 내용 20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4
제1절 국내 장대레일 관리 현황 24
제2절 장대레일 응력 측정 기술개발 현황 27
1. 레일 절단을 통한 응력 측정 27
2. 하중-변위 관계를 이용한 응력 측정 27
3. 변형률 측정을 통한 응력 측정 28
4. 가속도 측정을 통한 응력 측정 33
5. 초음파 전달 특성을 이용한 응력 측정 34
6. XRD를 이용한 응력 측정 36
7. 자기 특성을 이용한 응력 측정 37
8. 장대레일 응력 측정 기술 현황 요약 39
제3절 라만 분광법 기술 현황 41
1. 라만 스펙트로스코피 원리 41
2. 레이저 분광 기술 현황 45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50
제1절 레이저 스펙트럼을 이용한 장대레일 응력 측정 50
1. 적정 레이저 스펙트럼 선정 50
2. 형광분광법을 통한 레일 용접부 응력 측정 51
제2절 장대레일 용접부 응력 특성 분석 53
1. 장대레일 용접부 응력 특성 분력 53
2. 레일 압축 시험을 통한 용접부 알파-알루미나의 기계적 특성 파악 54
3. 가열 실험을 통한 알파-알루미나의 열역학적 특성 파악 58
4. XRD를 이용한 레일 용접부 잔류응력 측정 및 조성분석 64
제3절 레이저 스펙트럼 장비 개발 70
1. 레이저 스펙트럼 장비 스펙 도출 70
2. 국내외 유사 장비 조사 71
3. 최종 장비 요구조건 74
4. 레이저 스펙트럼 장비 도입 76
5. 라만 레이저 스펙트럼을 이용한 신호 처리 기법 개발 77
제4절 레이저 프로브 프로토타입 개발 90
1. 실내 실험을 위한 레일 전용 레이저 프로브 프로토타입 제작 90
2. 현장 적용 시험을 위한 프로브 케이지 프로토타입 설계 92
제5절 레일 시험을 위한 테스트 베드 계획 수립 95
1. 수직 가력 시험의 한계 95
2. 수평 재하 시험 97
3. 자주식 축력 재하 시험 106
4. 테스트 베드 계획 119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130
제1절 목표 달성도 130
1. 기술 혁신 사항 세부 내역 131
2. 특허 출원 실적 134
3. 논문 게재 실적 134
4. 학술발표 실적 135
제2절 관련 분야 기여도 136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140
제1절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140
제2절 연구개발 결과의 기대 효과 140
참고문헌 142
판권기 146
그림 1-1-1. 장대레일의 부동구간 및 가동구간 18
그림 1-1-2. 장대레일의 좌굴 19
그림 2-1-1. 장대레일의 응력 발생 체계 26
그림 2-1-2. 레일 제작시 잔류 응력 26
그림 2-2-1. 레일 절단을 통한 레일 응력 측정 27
그림 2-2-2. 하중-변위 관계를 이용한 VORTOK社의 VERSE 장비 28
그림 2-2-3. 호주 BMT WBM Rail Monitoring 레일 장기 유지관리 시스템 29
그림 2-2-4. 관통형 센서 VORTOK社의 Multi-Sensor 30
그림 2-2-5. Bi-directional 변형률을 이용한 레일 축응력 측정 센서 32
그림 2-2-6. Bi-directional 변형률을 이용한 레일 축응력 측정 센서 시험 결과 33
그림 2-2-7. 가속도 측정을 통한 레일 응력 측정 (미, Illinois) 34
그림 2-2-8. 레일 고유진동수를 이용한 레일 응력 측정 (일, RTRI) 34
그림 2-2-9. 초음파 전달 특성을 이용한 레일 중위온도 측정 장비 Rail-NT (미, UCSD) 35
그림 2-2-10. UCSD 레일 축력 측정 시험 테스트 베드 35
그림 2-2-11. Rail-NT 현장 계측 사진 및 계측 결과 36
그림 2-2-12. XRD 측정 개념 및 측정 장비 36
그림 2-2-13. 휴대용 XRD 응력 측정 장비 37
그림 2-2-14. Villari Effect 기본 개념 37
그림 2-2-15. Rail Stress Tester (RST) using Villari Effect 38
그림 2-2-16. 바크하우젠 노이즈를 이용한 레일 응력 측정 장비 Rail Scan (헝가리, Metal Elektro) 38
그림 2-2-17. 바크하우젠 노이즈를 이용한 레일 응력 측정 장비 Rail Scan (독일, Elektro-Thermit) 39
그림 2-3-1. Light-Matter interaction 41
그림 2-3-2. Light-matter interaction : Scattering & absorption 41
그림 2-3-3. Photoluminescence reaction : fluorescence and photophorescence 42
그림 2-3-4. Comparison between Raman and fluorescence spectrum 43
그림 2-3-5. Conventional raman spectrum signal 44
그림 2-3-6. Raman spectrum information 44
그림 2-3-7. Raman spectrum shift due to stress 45
그림 2-3-8. fluorescence spectrum shift due to crystal deformation 46
그림 2-3-9. Stress coefficients for R-line shifts in alumina 46
그림 3-1-1. 라만 및 형광 분광신호 비교 (좌) 라만 (우) 형광 50
그림 3-1-2. portable spectrometer (a) photo (b) schematic design 51
그림 3-1-3. Alumina samples in different crystalline structures. (a) Single crystal a-Al2O3... 52
그림 3-1-4. Comparison of the R1 and R2 peak locations 52
그림 3-2-1 α-Al₂O₃ 결정의 기계적, 열역학적, 화학적 특성 53
그림 3-2-2. Compressive loading test setup with the rail sample, portable fluorescence spectrometer system, and 3D motor stage 54
그림 3-2-3. Laboratory test setup 54
그림 3-2-4. Three-cycle compressive test using sample 1 (Test 1-4) 56
그림 3-2-5. Five-cycle compressive test using sample 2 (Test 2-4) 56
그림 3-2-6. Sample piezospectroscopic properties of R1 and R2 of three-cycle compressive test using sample 1 (Test 1-4) 57
그림 3-2-7. Sample piezospectroscopic properties of R1 and R2 of three-cycle compressive test using sample 2 (Test 2-4) 57
그림 3-2-8. Temperature test setups using pure alumina powder sample 59
그림 3-2-9. Temperature test setups using a full-scale rail-weld sample 59
그림 3-2-10. The fingerprint peaks of the alumina powder at different temperatures 60
그림 3-2-11. The fingerprint peaks of the rail-weld sample (weld 1) at location 1 at different temperatures 60
그림 3-2-12. The fingerprint peaks of the rail-weld sample (weld 1) at location 2 at different temperatures 61
그림 3-2-13. Thermal test results of the powder sample 62
그림 3-2-14. Thermal test results of the rail-weld sample (weld 1) at location 1 62
그림 3-2-15. Thermal test results of the rail-weld sample (weld 1) at location 2 63
그림 3-2-16. Thermal coefficients of alumina in the pure powder sample 63
그림 3-2-17. Thermal coefficients of alumina in the rail-weld sample (weld 1) at location 1 64
그림 3-2-18. Thermal coefficients of alumina in the rail-weld sample (weld 1) at location 2 64
그림 3-2-19. 레일 용접부 시편의 XRD 분석을 위한 Wire Cutting 과정 65
그림 3-2-20. 레일 용접부 시편의 XRD 분석을 위한 시편 및 시편 위치 65
그림 3-2-21. 레일 용접부의 위치별 FESEM 조직 이미지 66
그림 3-2-22. Bare Sample (모재) 및 Position별 용접부의 EDS 결과 67
그림 3-2-23. XRD 분석을 위한 Rigaku 사의 Ultrama-IV 장비 68
그림 3-2-24. 레일 용접부의 2차 XRD 분석 및 Peak Fitting 결과[그림없음] 69
그림 3-3-1. 국외 유사 장비 조사 73
그림 3-3-2. 레이저 스펙트럼 도입 장비 (예시) 76
그림 3-3-3. 라만 레이저 스펙트럼을 이용한 신호 처리 기법 개요 78
그림 3-4-1. 상용화된 기본 라만 프로브 90
그림 3-4-2. 편광 실험을 위한 광학프로브 91
그림 3-4-3. 라인 렌즈를 통과한 빛의 형태 92
그림 3-4-4. 라인 레이저 콜리메이터와 파라볼릭 미러를 활용한 실험셋업 및 라인 레이저 콜리메이터 93
그림 3-4-5. Micro lens array 93
그림 3-4-6. Schematic design of Micro-array type probe 94
그림 3-5-1. 수직 가력 시험 전경 95
그림 3-5-2. 수직 가력 시험 결과 (일부) 96
그림 3-5-3. 유압잭을 이용한 수평 가력 시험 장치 97
그림 3-5-4. 유압잭을 이용한 수평 가력 시험 장치 도면 98
그림 3-5-5. 레일 strain gauge 배치도 99
그림 3-5-6. 유압잭을 이용한 1차 수평 재하 시험 결과 그래프 102
그림 3-5-7. 모터스테이지를 활용한 볼트 가압 위치 변경 103
그림 3-5-8. 강봉을 이용한 레일 수평 재하 시험 전경 106
그림 3-5-9. 강봉을 이용한 레일 수평 재하 장치 도면 107
그림 3-5-10. 강봉을 이용한 자주식 재하 시험 (1) 결과 그래프 109
그림 3-5-11. 강봉을 이용한 자주식 재하 시험 (2) 결과 그래프 113
그림 3-5-12. 강봉을 이용한 자주식 재하 시험 (3) 결과 그래프 116
그림 3-5-13. 강봉을 이용한 자주식 재하 시험 분석 118
그림 3-5-14. UCSD 테스트 베드 개념도 119
그림 3-5-15. 고정단 콘크리트 블록의 상세도와 철근망 제작 120
그림 3-5-16. 이동단 콘크리트 블록 철근망과 상세도 120
그림 3-5-17. 레일의 전단 연결을 위한 채널판 121
그림 3-5-18. UCSD 테스트 베드 건설 사진 121
그림 3-5-19. 레일 용접 및 체결 122
그림 3-5-20. 레일 가열 시스템 122
그림 3-5-21. 센서 설치도 123
그림 3-5-22. UCSD 테스트 베드 및 열화상 카메라 124
그림 3-5-23. 테스트 베드 구축 계획 개념도 125
그림 3-5-24. 테스트 베드 압축 하중 재하시 도면 125
그림 3-5-25. 테스트 베드 인장 하중 재하시 도면 126
그림 4-1-1. 압축 하중 재하 시험 132
그림 4-1-2. 온도 하중 재하 시험 133
그림 4-1-3. 테스트 베드 구축 계획 개념도 133
그림 4-1-4. 테스트 베드 압축 하중 재하시 도면 134
그림 4-1-5. 테스트 베드 인장 하중 재하시 도면 134
그림 4-1-6. 해외 게재 논문 표지 13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