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연구결과 요약문 2

목차 3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

1) 연구의 필요성 4

2) 연구가설 및 최종연구목표 5

3) 연구범위 6

① 1차년도 연구: 신의료기술의 조기 경제성평가 방법 및 정책적 적용방안 개발 6

② 2차년도 연구: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의료기술의 비용과 재정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방법의 개발 6

③ 3차년도 연구: 1차, 2차년도에 개발된 방법론에 근거하여 실제 신의료기술에 대한 조기 경제성평가 시범 연구 및 결과의 해석 및 적용방안 제시 6

2. 연구수행내용 및 연구결과 6

2-1. 1차년도 연구 6

1) 신의료기술의 조기 경제성평가 시 발생 가능한 불확실성에 대한 문헌고찰 6

2) 연구개발 초기 신의료기술의 평가방법에 대한 문헌고찰 6

3) 불확실성에 따른 조기 경제성평가를 위해 도입을 고려해야할 가장 타당한 평가방법의 선택 7

4) VOI의 분석 8

2-2. 2차년도 연구 10

1) 신의료기술의 조기평가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 10

2) 국내에서 적용 가능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고찰 10

3) 신의료기술 도입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인한 보건의료 재정영향 평가를 위한 문헌 고찰 - 영국의 위험분담제(the Managed Entry Agreements, MEA)에서 지불자의 재정부담 추정 (Reference로 최종 채택한 모형) 11

4) 빅데이터를 활용한 비용분석 및 재정영향 추정방법의 표준지침에 대한 연구 (영국의 MEA에서 재정 영향평가에서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에서의 예시) 13

2-3. 3차년도 연구 13

1) 신약의 조기 경제성평가의 불확실성 평가를 위한 실제 연구사례에서 VOI 분석의 타당성 평가 13

2) VOI 적용관련 조기경제성 평가의 정책적 적용방안 도출 14

3) 지금까지의 신약의 보험급여결정에 활용된 경제성평가 및 임상근거를 분석하여 새로운 방법론에 대한 수요와 적용가능성 평가 16

4) VOI에 근거한 의사결정에 대한 실증분석 및 정책적 활용방안 개발 16

3.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6

1) 경제성평가 모델링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신약의 비교대안이 되는 현 치료제(요법)의 비용과 효과 추정 16

2) VOI 연구의 의미 및 중요성 17

4. 참고문헌 17

5. 연구성과 20

주관연구책임자(공동연구원 포함) 대표적 연구실적 22

〈별첨〉 주관연구기관의 자체평가 의견서[내용없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