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연구결과 요약문 2

목차 3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

가. 연구개발의 필요성 4

1) 연구 추진의 배경 4

2) 연구의 필요성 5

나. 연구의 최종 목표 5

다. 연구 범위 6

2. 연구수행내용 및 연구결과 7

가. 뇌허혈에서 뇌손상을 유발하는 새로운 인자로서 리소인지질 수용체 규명 7

1) 뇌허혈 손상에서의 LPA₁ 역할 규명 7

2) 뇌허혈 손상에서의 SIP₃ 역할 규명 7

나. 뇌허혈의 손상된 뇌에서 리소인지질 수용체에 의한 미세아교세포 활성화 조절 규명 8

1) 뇌허혈 미세아교세포 활성화 및 극성 변동에서 LPA₁ 역할 규명 8

2) 뇌허혈 미세아교세포 활성화 및 극성 변동에서의 S1P₃ 역할 규명 10

3) 뇌허혈 극성 변동에서의 SIP₁ 역할 규명 11

4) 뇌허혈 미세아교세포 활성화 및 극성 변동에서 S1P₂ 역할 규명 12

다. 리소인지질 수용체에 의한 뇌허혈 뇌손상 및 미세아교세포 활성화 조절 기전 규명 14

1) LPA₁ 14

2) SIP₃ 16

3) SIP₁ 17

4) SIP₂ 17

3.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8

가. 학문적 측면 18

나. 기술적/산업적 측면 18

4. 참고문헌[내용없음] 18

5. 연구성과 19

주관연구책임자(공동연구원 포함) 대표적 연구실적 21

〈별첨〉 주관연구기관의 자체평가 의견서[내용없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