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연구결과 요약문 3

목차 4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5

2. 연구수행내용 및 연구결과 6

2.1. 조선 중기 이후 한국 건축 경계 공간의 변화 6

2.1.1. 조선 중기 이후 내부 공간의 형식 변화와 첨하 마루의 발생 6

2.1.2. 툇마루의 도입을 위한 3량 상부가구의 대응 7

2.1.3. 툇마루의 보편화와 이를 위한 5량 상부가구의 조절 과정 9

2.2. 조선 중기 이후 사찰 염불 공간의 형성과 전개 13

2.2.1. 염불당 등장의 시대적 배경 13

2.2.2. 염불 결사의 성행과 염불당의 등장 13

2.2.3. 염불당 건축의 새로운 유형과 의의 15

2.3. 조선 중기 이후 한국 건축의 격식 기법 유형과 소멸 16

2.3.1. 격식 기법의 의미와 사례 16

2.3.2. 격식 기법의 소멸과 변천 과정 18

2.3.3. 격식 기법 사용과 변화에 대찬 고찰의 의의 19

3.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20

3.1. 한국 건축의 조선 중기 이후 시대사 재구성 20

3.2. 조선시대 건축의 복원 연구 가능성 구체화 20

3.2. 조선 후기 건축의 전형성에 대한 이해 심화 20

4. 참고문헌 21

5. 연구성과 26

주관연구책임자(공동연구원 포함) 대표적 연구실적 28

〈별첨〉주관연구기관의 자체평가 의견서[내용없음]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