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연구결과 요약문 2
목차 3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
I. 연구의 필요성 4
1) 희귀유전질환 연구의 중요성 4
2) 차세대 시퀀싱 데이터의 범람, 유전체 데이터 관리 및 분석의 필요성 4
3) 국내 및 해외 희귀유전질환 데이터 분석 현황 5
4)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결과 공유의 중요성 5
II. 연구 목표 6
1) 질환 관련 데이터 표준화 6
2) 관련성 탐색을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 6
3) 데이터베이스화 및 유저 인터페이스 공유 7
2. 연구수행내용 및 연구결과 7
I. 기구축 데이터베이스 현황 및 데이터 프로파일링 7
1) 시퀀싱 (Sequencing) 기술에 기반한 희귀 유전질환 관련 개괄 정리 7
2) 해외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특징 파악 (그림 1, 테이블 1-4) 7
3) 데이터베이스 컨텐츠 조사 및 취합 8
II. 임상 데이터 확보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10
1) 임상과 협력을 통한 데이터 수집 10
2) 데이터 입력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 11
3.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3
1) 희귀유전변이에 대한 한정된 리소스 극복 13
2) 통합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심화 연구 활로 개척 13
3) 임상 분과 확대 및 네트워크 형성 14
4. 참고문헌 14
5. 연구성과 15
주관연구책임자(공동연구원 포함) 대표적 연구실적 16
〈별첨〉주관연구기관의 자체평가 의견서[내용없음] 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