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연구결과 요약문 3

목차 4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5

2. 연구수행내용 및 연구결과 5

(1)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지역 선정 5

가. 전국단위 수문시계열 자료 수집 및 분석 5

나. 전국단위 수자원 이용 현황 조사 5

다. 도심/내륙지역, 연안/도서지역 분류 및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 지역 선정 6

(2) 도심/내륙지역의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화 기법 개발 8

가. 대상지역의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 8

나.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 지역 및 취약 시기 평가 9

다. 모델링을 통한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관리 기법 별 지하수위 변동 분석 및 기법 별 지하수위 변동 분석 및 관리 기법 우선순위화 10

(3) 연안/도서지역의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화 기법 개발 12

가. 대상지역의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 12

나. 모델링을 통한 지하수자원 관리 방안 적용 및 지하수자원 관리 대책 우선순위화 12

3.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6

(1) 지하 수자원관리 취약 지역 선정 16

(2) 시공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하수자원 관리 방안의 개발 16

(3) 지하수자원 최적 운영 및 관리 방안 수립 16

(4) 기후변화에 대비한 지하수자원 관리 방안 마련 17

4. 참고문헌 17

5. 연구성과 17

주관연구책임자(공동연구원 포함) 대표적 연구실적 19

〈별첨〉 주관연구기관의 자체평가 의견서[내용없음]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