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연구결과 요약문 2
목차 3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
1-1. 최종목표 4
1) CD20의 STIM1에 의한 통로활성변화 및 각 종 항체에 의한 통로활성 측정방법 구축 5
2) 라이소좀 붕괘측정 방법의 정립 및 세포사멸의 측정방법 정립 5
3) 라이소좀의 칼슘통로 활성측정 및 이에 Obinutuzumab의 결합영향 확인방법 정립 5
1-2. 연구의 필요성 6
1) CD20항체를 이용 B세포 사멸을 통한 관절염 연구 동향 6
2) 결합만으로도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Obinutuzumab의 우수한 특성 7
2. 연구수행내용 및 연구결과 9
1) CD20의 성격파악을 토대로 한 Obinutuzumab의 세포결합만으로도 세포사멸을 이끄는 기전 연구 9
(1) CD20의 SOC통로 성격 규명 : CD20은 칼슘투과도를 보이는 통로로 기능하나 전형적인 SOC통로는 아니며 Orai1의존적으로 STIM1에 의해 조절되는 통로임 9
(2) 항체결합에 의한 CD20의 칼슘투과 및 그에 의한 항체역가의 변화 확인 10
(3) STIM1은 CD20과 결합하여 Triton insoluble 한 세포막에 CD20을 위치시켜 Obinutuzumab 결합을 증가시킴 10
(4) Onibutuzumab 처리후 라이소좀의 변화 확인 11
(5) B세포발현 라이소좀 TRPML2 채널 발현 확인 후 오비누투쥬맵에 의한 TRPML2칼슘통로 활성 억제 상황 발견 11
(6) 오비누투쥬맵의 세포내 유입 현상(internalization) 12
(7) Obinutuzumab의 수용체 X에 결합 가능성 13
2) 리툭시맵의 serine 12번에 O-GlcNAC결합은 2배 생산량을 보임 발견 13
(1) 리툭시맵의 생산량 증가방법의 구축 13
(2) 리툭시맵의 O-GlcNAc 존재 여부 규명 14
(3) Thiamet G 처리 리툭시맵의 생물학적 활성 및 열안정성 평가 15
3) 식물에서 항체의 생산 및 원형과의 역가 비교 15
1) 담배에서 Obinutuzumab의 생산-식물을 바이오시밀러 생산시스탬으로서의 가능성 타진 15
2) Obinutuzumab의 항원특이성 및 결합동등성 16
3.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7
4. 참고문헌 18
5. 연구성과 19
주관연구책임자(공동연구원 포함) 대표적 연구실적 21
〈별첨〉 주관연구기관의 자체평가 의견서[내용없음] 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