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연구결과 요약문 3
목차 4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5
(1) 연구의 필요성 5
1)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서 발생하는 호르몬 저항성을 극복 치료법의 한계 5
2) 타목시펜(Tamoxife)에 대한 저항성 극복 부재 5
(2) 수행하고자 했던 연구가설 및 최종목표 5
1) 연구가설 5
2) 최종 연구 목표 5
(3) 수행하고자 했던 연구범위 6
1) miRNA 변화 - mRNA 변화 - 단백질 발현변화 - 단백질인산화효소 활성변화 사이의 상호관계 정립을 통한 타목시펜 저항성 획득 신규 경로 정립: 분자생물학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연구를 수행 6
2) 동정된 네트워크의 기능 분석: in vitro와 in vivo 분석 및 환자 조직 분석을 통한 입체적 분석 6
3) 가장 활성이 뛰어난 두개 이상의 네트워크 동정을 목표로 함 6
2. 연구수행내용 및 연구결과 6
(1) 전령 RNA와 미세 RNA 서열의 통합분석 6
(2) miR-135a-5p → CTGF → FAK → TamR-MCF7 세포 생존 경로의 분자생물탁적 기전 확립 7
1) miR-135a-5p → CTGF → FAK 경로의 검증 7
2) miR-135a-5p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새로운 표적유전자 동정 및 분자생물학적 기전 분석 8
(3) miR-653-5p, 653-3p → 유전자 → TamR-MCF7 세포 생존경로 동정 10
1) miR-653-5p, 653-3p에 의해 발현이 변화되는 유전자발현 변화의 기전 분석 10
(4) 신규 miRNA → 유전자 → 단백질인산화효소 활성 → TamR-MCF7 세포 생존경로 동정 12
1) 타목시펜-저항성 세포주에서 활성화된 단백질인산화효소 경로의 동정 12
2) 타모시펜-저항성 세포주의 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신규 miRNA의 동정 13
3.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4
(1) 연구결과의 중요성 14
1) 유방암 발생률의 지속적인 증가와 우리나라의 상황 14
2) 호르몬 저항성 획득 기전의 다양성 14
3) 타모시펜-저항성 유방암 세포주에서 저항성 기전 연구의 중요성 14
4) 유전적 기전과 비유전적 기전의 통합 분석의 필요성 14
(2) 연구결과의 의미 15
1) miRNA와 유방암 15
2) 타모시펜-저항성 세포주의 성장기전 조절 과정 15
3) 타모시펜 저항주 세포주의 성장을 저해하기 위한 방법 15
4)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서 호르몬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신약 창출의 기반 마련 16
4. 참고문헌 16
별첨[내용없음] 4
〈별첨1〉 자체평가 의견서[내용없음] 4
〈별첨2〉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서[내용없음] 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