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일러두기 3

인사말(Greetings) / 조규일 ; 장상훈 5

목차 9

국립진주박물관 11

기획의 글 : 한국 채색화의 흐름 : 삼국시대부터 근대까지 13

에세이 : 한국의 전통채색화 : 우리 옛 그림의 큰 주류 / 이원복 15

I. 머리말 - 두 가닥으로 짠 비단[견(絹)] 15

II. 지정학적(地政學的) 요인 - 풍토(風土)의 미학(美學) 18

III. 채색화의 점진적인 조명 - 우리 전통채색화 특별전 19

IV. 조선시대 채색화의 흐름 - 문인화가 중심으로 30

V. 맺음말 - 조선 채색화의 진면(眞面) 38

제1부 한국회화의 시작: 삼국~고려의 채색화 76

제2부 삶을 그린 채색화: 조선시대의 새로운 조류 84

제3부 소망을 담은 채색화: 회화 감상의 대중화 108

제4부 전통의 계승과 외국 화법의 수용: 근대 회화로의 이행 126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141

기획의 글 : 한국 채색화의 흐름 : 근대부터 현대까지 143

에세이 : 20세기 한국 채색화의 흐름 - 전통에 당대성을 입혀 새로운 전통을 만들다 / 김진녕 145

I. 머리말 145

II. 독보적인 세필의 미인도, 김은호 146

III. 각자의 방식으로 모던을 받아들이다, 김기창, 박래현 부부 147

IV. 월전 장우성과 현초 이유태 149

V. 서울대 미대 1기, 박노수와 장운상 152

VI. 평면성의 실험, 풍곡 성재휴 153

VII. 왜색의 굴레를 극복한 파격, 천경자 154

VIII. 김기창의 홍대 제자, 산동 오태학 158

IX. 네 가지 색의 여성 화가, 오낭자, 이화자, 이숙자, 원문자 158

X. 한국적이고 현대적인, 재평가되는 화가 박생광 165

XI. 수묵-채색, 서예-추상의 경계를 허물다, 황창배 167

XII. 맺음말 168

제1부 전통의 계승과 발전 204

제2부 채색의 흐름 212

제3부 참 진주 234

제4부 현대적 변용 238

도판 목록 261

전시 풍경 277

판권기 281

뒷표지 282

Contents 9

Jinju National Museum 11

Curatorial Statement : The Flow of Korean Polychrome Painting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the Modern Era 14

Essay : Traditional Korean Polychrome Painting: The Mainstream of Ancient Korean Painting / Lee Won-bok 40

I. Preface - Double Woven Silk 40

II. Geopolitical Factors - Aesthetics of Natural Characteristics 43

III. Gradual Lighting on Polychrome Paintings - Special Exhibitions of Korean Traditional Polychrome Paintings 46

IV. Flow of Polychrome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Literary Painters 60

V. Closing Remarks - Real Faces of Polychrome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72

The Roots of Korean Painting: Polychrome Painting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the Goryeo Dynasty 75

Polychrome Paintings of Life: A New Trend for the Joseon Dynasty 83

Wishes Embedded in Polychrome Paintings: The Popularization of Appreciating Paintings 107

Inheritance of Tradition and the Adoption of Foreign Painting Techniques: A Transition into Modern Painting 125

Rhee Seund ja Jinju Art Museum 141

Curatorial Statement : The Flow of Korean Polychrome Paintings: From the Modern through the Contemporary Era 144

Essay : The Flow of Korean Polychrome Paintings in the Twentieth Century: Creating a New Tradition with Modernity / Kim Jin-nyeong 169

I. Preface 169

II. Kim Eun-ho, Portraits of Beautiful Women Depicted in Fine Brush Strokes 170

III. Kim Gi-chang and Park Rae-hyeon, Accepting Modernity in Their Own Way 173

IV. Jang U-seong and Yi Yu-tae 176

V. Park No-su and Jang Un-sang, First Group of Graduates from the College of Arts, SNU 179

VI. Seong Jae-hyu, Experiments with Two-Dimensional Space 181

VII. Cheon Gyeong-ja, Deviation Attained through Freedom from the Fetters of Japanese Style 184

VIII. Oh Tae-hak, Kim Gi-chang's Pupil at Hongik University 188

IX. Four-color female painters, Oh Nang-ja, Yi Hwa-ja, Lee Sook-ja and Won Mun-ja 189

X. Park Saeng-kwang as Korean Traditional Painter and Modern Painter Is Reevaluated 198

XI. Hwang Chang-bae Tears Down the Boundary between Ink India Painting and Polychrome Painting, Calligraphy and Abstract Art 200

XII. Closing Remarks 202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radition 203

The Progress of Color 211

Charm Jinju 233

Contemporary Transformation 237

List of Plates 269

Installation Views 277

Copyright 281

Back Cover 282

이용현황보기

한국 채색화의 흐름 : 참(眞) 색과 참 빛이 흐르는 고을(晉州) : 2022 특별전 = The flow of Korean polychrome paintings : special exhibition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68460 759.951 -23-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68461 759.951 -23-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