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2
연구 협력진(1차 연구) 4
연구 협력진(2차 연구) 6
목차 7
연구 개요 14
Chapter I. 서론 1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2. 연구 내용 19
3. 연구 방법 20
가. 문헌 자료 연구 및 사례 조사 20
나. 델파이 조사 21
다. 전문가 협의회 및 자문회의 21
라. 초·중등 핵심교원 워크숍 22
마. 공청회 22
바. 국민참여소통채널 23
사. 총론-각론 합동 워크숍 및 세미나 23
아. 연구진 협의회 24
자. 기타 26
Chapter II. 선행 연구 분석 29
1. 해외 미술과 교육과정 변화 동향 29
가. 국가별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에 따른 시사점 29
나. 국가별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에 따른 제언 33
2. 미술과 교육과정 개선 관련 연구 33
가. 국가·사회적 요구에 따른 미술과 역량 33
나. 미적 체험의 의미와 내용 체계의 변화 39
다. 미술과에 적절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 45
Chapter III. 학교급별 개선 방안 55
1. 초등학교 55
가.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요구 분석 55
나. 전문가 자문회의 요구 분석 61
다. 현장 적합성 검토 67
라. 공개토론회 의견 수렴 70
2. 중학교 71
가.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요구 분석 71
나. 전문가 자문회의 요구 분석 72
다. 현장 적합성 검토 77
라. 공개토론회 의견 수렴 86
3. 고등학교 87
3-1.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87
3-2.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100
Chapter IV.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주요 내용 111
1. 개정 중점 사항 111
가.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방향 111
나.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주요 개정 내용 112
2. 초등학교·중학교 공통 교육과정 주요 내용 115
가. 설계의 개요 116
나. 성격 및 목표 117
다.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19
라. 교수·학습 및 평가 126
3.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주요 내용 132
3-1.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137
3-2.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155
Chapter V. 결론 173
1. 요약 173
2. 논의 및 제언 176
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개발부터 모니터링까지 긴밀한 연구 협력 체제 구축 176
나. 미술교과교육의 발전을 위한 미술 교과 연구 체제의 필요 177
다.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을 위한 의견 수렴 절차와 방법의 개선 177
라. 교육과정 개발에서 현장 교사 참여 방식의 다양화 177
마. 고등학교 과목 개편 시 신설 또는 폐지 이유 및 과목 설명 명시 필요 178
바. 차기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미술 교과의 시작은 1, 2학년부터 178
사. 개인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미술교육에 대한 믿음을 굳건하게 하는 교육과정 개발 179
Chapter VI. 참고문헌 및 부록 183
참고문헌 183
부록 189
부록1. 2015 개정 및 2022 개정 교육과정 비교표 189
부록2. 미술과 교육과정 198
부록3. 예술 계열 선택 과목 교육과정 262
판권기 320
[뒷표지] 321
〈표 I-2-1〉 문서 체제별 1차 및 2차 연구 개발 19
〈표 I-2-2〉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 및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예술계열 포함) 교과목 20
〈표 I-3-1〉 델파이 조사(1차 및 2차)(2차 연구) 21
〈표 I-3-2〉 전문가 협의회 및 자문회의(1차 및 2차)(2차 연구) 21
〈표 I-3-3〉 초등교원 및 중등교원으로 구분하여 진행된 초·중등 핵심교원 워크숍(2차 연구) 22
〈표 I-3-4〉 공청회 내용(2차 연구) 22
〈표 I-3-5〉 총론-각론 합동 워크숍 및 세미나(2차 연구) 23
〈표 I-3-6〉 연구진 협의회(2차 연구) 24
〈표 II-1-1〉 한국, 독일 바이에른주, 일본, 캐나다 BC, 호주 미술과 교육과정 역량/목표 비교 31
〈표 II-2-1〉 교육과정별 미술과 내용 체계 영역별 비교 40
〈표 II-2-2〉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47
〈표 II-2-3〉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48
〈표 II-2-4〉 미술과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제안 49
〈표 III-1-1〉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의견 수렴 기간 및 내용 55
〈표 III-1-2〉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총론과의 연계 56
〈표 III-1-3〉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성격과 목표 56
〈표 III-1-4〉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59
〈표 III-1-5〉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교수·학습 및 평가 60
〈표 III-1-6〉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초등학교급 61
〈표 III-1-7〉 초등학교 델파이 조사 의견 및 개선 방안 62
〈표 III-1-8〉 초등학교급 영역별 핵심적 개념 설정 및 총론과의 지향점 연계 방안 64
〈표 III-1-9〉 초등학교 전문가 협의회 의견 및 개선 방안 66
〈표 III-1-10〉 초등 교육과정 현장 네트워크 제안 의견 68
〈표 III-1-11〉 초등 교육과정 핵심교원 연수 제안 의견 69
〈표 III-1-12〉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 관한 공청회 의견 70
〈표 III-2-1〉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의견 수렴 기간 및 내용 72
〈표 III-2-2〉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중학교급 72
〈표 III-2-3〉 중학교 델파이 조사 개요 73
〈표 III-2-4〉 중학교 델파이 조사 의견 및 반영 내용 73
〈표 III-2-5〉 중학교 전문가 협의회 내용 75
〈표 III-2-6〉 중학교 전문가 협의회 의견 및 반영 내용 - 성취기준 75
〈표 III-2-7〉 중학교 전문가 협의회 의견 및 반영 내용 - 성취기준 해설 및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76
〈표 III-2-8〉 중학교 전문가 협의회 의견 및 반영 내용 - 교수·학습 및 평가 76
〈표 III-2-9〉 중학교 전문가 협의회 의견 및 반영 내용 - 수업 예시안 설계를 통한 현장 적합성 확인 76
〈표 III-2-10〉 교육과정 현장 네트워크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성격 및 목표 78
〈표 III-2-11〉 교육과정 현장 네트워크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목표 78
〈표 III-2-12〉 교육과정 현장 네트워크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성취기준 79
〈표 III-2-13〉 교육과정 현장 네트워크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교수·학습 및 평가 80
〈표 III-2-14〉 중등 교육과정 핵심교원 연수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총론과의 연계 82
〈표 III-2-15〉 중등 교육과정 핵심교원 연수 수정 요구 사항 및 반영 내용 - 성격 및 목표 82
〈표 III-2-16〉 중등 교육과정 핵심교원 연수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내용 체계 83
〈표 III-2-17〉 중등 교육과정 핵심교원 연수 주요 의견 및 반영 내용 - 성취기준 84
〈표 III-2-18〉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 관한 공청회 의견 86
〈표 III-3-1〉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의견 수렴 기간 및 내용 87
〈표 III-3-2〉 고등학교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과정심의위원회 검토 의견 반영 내용 88
〈표 III-3-3〉 일반 선택 과목 '미술' 델파이 조사 의견 반영 내용 90
〈표 III-3-4〉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델파이 조사 의견 반영 내용 90
〈표 III-3-5〉 진로 선택 과목 '미술 감상과 비평' 델파이 조사 의견 반영 내용 91
〈표 III-3-6〉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매체' 델파이 조사 의견 반영 내용 91
〈표 III-3-7〉 일반 선택 과목 '미술' 1차 전문가 협의회 의견 및 반영 내용 93
〈표 III-3-8〉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1차 전문가 협의회 의견 및 반영 내용 93
〈표 III-3-9〉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매체' 1차 전문가 협의회 의견 수렴 내용 94
〈표 III-3-10〉 일반 선택 과목 '미술',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매체' 2차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의견 수렴 및 반영 내용 95
〈표 III-3-11〉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일반 선택 '미술'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 반영 내용 96
〈표 III-3-12〉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 반영 내용 97
〈표 III-3-13〉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매체'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 반영 내용 98
〈표 III-3-14〉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일반 선택 과목 '미술',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매체' 공청회 의견 및 반영 내용 98
〈표 III-3-15〉 일반 선택 과목 '미술',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매체' 국민참여소통채널 의견 및 반영 내용 100
〈표 III-3-16〉 고등학교(특목고) 델파이 조사 개요 101
〈표 III-3-17〉 고등학교 예술 계열 미술과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이론', '드로잉', '미술사', '미술 전공 실기', '조형 탐구', 융합 선택 과목 '미술 매체 탐구', '미술과 사회' 델파이 조사 의견 반영 내용 101
〈표 III-3-18〉 고등학교 예술 계열 미술과 융합 선택 과목 '미술 매체 탐구', '미술과 사회' 델파이 조사 의견 및 반영 내용 103
〈표 III-3-19〉 고등학교(특목고) 전문가 협의회 개요 104
〈표 III-3-20〉 고등학교 예술 계열 미술과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이론', '드로잉', '미술사', '미술 전공 실기', '조형 탐구' 전문가 협의회 의견 반영 내용 104
〈표 III-3-21〉 고등학교 예술 계열 미술과 융합 선택 과목 '미술 매체 탐구', '미술과 사회' 전문가 협의회 의견 반영 내용 106
〈표 III-3-22〉 고등학교 예술 계열 미술과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이론', '드로잉', '미술사', '미술 전공 실기', '조형 탐구'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 및 반영 내용 107
〈표 III-3-23〉 고등학교 예술 계열 미술과 융합 선택 과목 '미술 매체 탐구', '미술과 사회'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 및 반영 내용 107
〈표 III-3-24〉 고등학교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 과목 공청회 의견 및 반영 내용 108
〈표 IV-1-1〉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초·중학교(공통 교육과정) 목표에 반영된 역량 113
〈표 IV-1-2〉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역량 비교표 114
〈표 IV-1-3〉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문서 체계 115
〈표 IV-2-1〉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 따른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 구성 115
〈표 IV-2-2〉 현행 교육과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성격'의 구성 변화 117
〈표 IV-2-3〉 현행 교육과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성격 비교 117
〈표 IV-2-4〉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 구성 변화 119
〈표 IV-2-5〉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의 목표 진술 비교 119
〈표 IV-2-6〉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구조 변화 120
〈표 IV-2-7〉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의 영역명 변화 120
〈표 IV-2-8〉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의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 121
〈표 IV-2-9〉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비교 - 초등학교 122
〈표 IV-2-10〉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비교 - 중학교 123
〈표 IV-2-11〉 초등학교 '미술' 3~4학년 표현 영역 성취기준 결합 원리 예시 124
〈표 IV-2-12〉 중학교 '미술' 표현 영역 성취기준 결합 원리 예시 124
〈표 IV-2-13〉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수 비교 124
〈표 IV-2-14〉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비교 - 초등학교 125
〈표 IV-2-15〉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비교 - 중학교 126
〈표 IV-2-16〉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공통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및 평가 비교 128
〈표 IV-3-1〉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과목 구성 비교표 132
〈표 IV-3-2〉 고등학교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신구 대조 비교표 133
〈표 IV-3-3〉 2022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내용 구성 체계 136
〈표 IV-3-4〉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일반 선택 과목 '미술'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내용 138
〈표 IV-3-5〉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일반 선택 '미술' 성격 비교 140
〈표 IV-3-6〉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일반 선택 '미술' 목표 비교 140
〈표 IV-3-7〉 2015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반 선택 '미술' 내용 체계의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과 2022 개정 영역과 핵심 아이디어 진술 비교 141
〈표 IV-3-8〉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일반 선택 과목 '미술'의 내용 요소 비교 142
〈표 IV-3-9〉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미술' 성취기준 진술의 내용 요소 결합 원리(미적 체험 영역의 예시) 142
〈표 IV-3-10〉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미술' 성취기준 비교 143
〈표 IV-3-11〉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미술' 교수·학습 및 평가 비교 144
〈표 IV-3-12〉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미술 감상 및 비평' 성격 비교 146
〈표 IV-3-13〉 2015 개정과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목표 비교 147
〈표 IV-3-14〉 2015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미술 창작'과 '미술 감상과 비평' 내용 체계의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과 2022 개정 영역과 핵심 아이디어 진술 비교 148
〈표 IV-3-15〉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성취기준 149
〈표 IV-3-16〉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교수·학습 및 평가 149
〈표 IV-3-17〉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미술 감상과 비평' 교수·학습 및 평가 151
〈표 IV-3-18〉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매체' 성격과 목표 152
〈표 IV-3-19〉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매체'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153
〈표 IV-3-20〉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매체' 교수·학습 및 평가 153
〈표 IV-3-21〉 2015 개정 전문 교과 1 교육과정과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미술 이론', '드로잉', '미술사', '미술 전공 실기', '조형 탐구' 과목 성격 비교 156
〈표 IV-3-22〉 2015 개정 전문 교과 1 교육과정과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미술 이론', '드로잉', '미술사', '미술 전공 실기', '조형 탐구' 과목 성격 비교 159
〈표 IV-3-23〉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이론' 영역의 구성과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61
〈표 IV-3-24〉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진로 선택 과목 '드로잉' 영역의 구성과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62
〈표 IV-3-25〉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미술사' 영역의 구성과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63
〈표 IV-3-26〉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전공 실기' 영역의 구성과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64
〈표 IV-3-27〉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조형 탐구' 영역의 구성과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65
〈표 IV-3-28〉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 선택 과목 '미술 매체 탐구'의 성격과 목표 167
〈표 IV-3-29〉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사회'의 성격과 목표 167
〈표 IV-3-30〉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 선택 과목 '미술 매체 탐구'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68
〈표 IV-3-31〉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사회'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69
부록표목차 13
〈부록 표 1〉 2015 및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수 비교 189
〈부록 표 2〉 2015 개정 및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비교 표 190
〈부록 표 3〉 2015 개정 및 2022 개정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내용 요소 비교 191
〈부록 표 4〉 2015 개정 및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 '미술' 비교 표 192
〈부록 표 5〉 2015 개정 및 2022 개정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비교 표 193
〈부록 표 6〉 2015 개정 및 2022 개정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유지 과목 내용 요소 비교 196
[그림 I-1-1]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교육의 강조점 18
[그림 I-3-1] 홍보 포스터 23
[그림 I-3-2] 국민참여소통채널(http://educhannel.edunet.net/main/main.do) 메인 화면 및 초등학교 미술 교과 참여 소통방 23
[그림 III-2-1] 중학교 델파이 조사 과정 73
[그림 III-3-1] 고등학교(특목고) 델파이 조사 과정 101
[그림 III-3-2] 고등학교(특목고) 전문가 협의회 과정 104
[그림 IV-1-1] 총괄 목표 및 학교급별 중점 사항 111
[그림 IV-1-2]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113
[그림 IV-1-3] 2022 개정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116
[그림 IV-3-1] 2022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선택 과목 구성 135
[그림 IV-3-2] 2022 개정 미술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137
[그림 IV-3-3] 2022 개정 고등학교 예술 계열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155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70780 | 707.1 -23-2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970781 | 707.1 -23-2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