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8
제1장 서론 12
제2장 선행 연구 18
제1절 내용 심의 제도 19
1. 내용 심의에 대한 헌법적 근거 19
2. 규제제도에 대한 정책설계 21
3. 제도 도입의 목적 22
4. 제도혁신의 당위성과 규제의 역효과 23
제2절 자율규제의 정의와 유형 24
1. 자율규제의 정의와 내용 심의 24
2. 행정규제와 자율규제의 관계 25
제3절 방송영상 콘텐츠 사업자의 자율심의제도 28
1. 방송사업자 28
2. OTT사업자의 등급 분류 34
3. 부가통신사업자의 시청 등급 분류 38
4. 소결 39
제3장 연구 문제와 연구방법 41
제4장 전문가 자문인터뷰 분석 결과 43
제1절 전문가 자문인터뷰 개요 44
제2절 방송사업자의 자율심의 현황 46
1. 심의 조직 운영 현황 및 심의 절차 46
2. 시청자기구 운영 현황 및 심의 기능 57
3. 등급 분류 현황 및 실태 64
제3절 OTT사업자의 자율규제 운영 현황 및 실태 66
1. OTT사업자의 심의 조직 운영 현황 66
2. OTT사업자의 등급 분류 절차 69
제4절 자율심의기구의 자율심의 실태 및 운영 현황 71
1. 방송 관련 협회 및 단체의 자율심의 실태 및 현황 71
2. 방송사 자체심의 기능 강화와 심의 교육 73
제5절 방송 사후 심의 제도와 자율규제 80
1. 방송심의위원회와 사후 규제 80
2. OTT 자율등급제와 사후 규제 88
3. 방송사의 자체 심의 기능 강화와 등급 통합 96
제6절 통합형 자율기구 설립과 운영 103
제7절 위임형 자율규제를 비롯한 공동규제의 방향 108
제5장 논의 및 결론 114
제1절 OTT에 대한 정의와 내용 규제 115
제2절 온라인 영상콘텐츠에 대한 자율심의 도입 122
참고문헌 127
판권기 130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 및 방법 15
〈그림 1-2〉 공적규제와 공동규제의 규제영역 16
〈그림 1-3〉 공적규제와 공동규제의 절차도 17
〈그림 2-1〉 방송/OTT/유튜브 시청 등급 규제 정도 비교 40
〈그림 5-1〉 규율화된 공동규제제도 운영의 절차도 12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71893 | 384.5 -23-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71894 | 384.5 -23-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