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9
Abstract 12
Ⅰ. 서론 / 현승수 16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7
2. 연구 내용 19
Ⅱ. 이론적 검토 / 현승수 23
1. 국가와 종교 관계 24
2. 체제전환국 국가ㆍ종교 관계 33
Ⅲ. 중동부 유럽의 국가ㆍ종교 관계 / 김신규 40
1. 중동부 유럽의 체제전환과 종교 41
2. 중동부 유럽의 국가ㆍ종교 관계 44
가. 중동부 유럽 주도교회의 형성 44
나. 종교의 쇠퇴, 부흥 혹은 개인화 47
다. 종교 자유화와 국가-교회 관계 설정 51
3. 권위주의와 국가ㆍ종교 관계 61
가. 종교규제, 개입, 차별 61
나. 민주주의 퇴보와 국가의 규제, 차별 65
다. 권위주의 정부와 교회 관계 73
4. 소결 87
Ⅳ. 러시아의 국가ㆍ종교 관계 / 현승수 90
1.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종교 91
2. 러시아의 국가ㆍ종교 관계 97
가. 러시아정교회의 부상과 정교 교육의 확대 97
나. 정교 이외 종교에 대한 제약과 차별 107
다. 종교 과격주의 대처를 위한 법 제정 115
3. 권위주의와 국가ㆍ종교 관계 119
가. 푸틴 정권과 러시아정교회 119
나. 교회와 국가의 '심포니' 121
다. 이념과 세계관의 공유 126
4. 소결 130
Ⅴ. 중국의 국가ㆍ종교 관계 / 박만준 132
1. 개혁ㆍ개방과 중국 국가ㆍ종교 관계 133
가. 개혁ㆍ개방과 중국 사회주의 국가ㆍ종교 관계 133
나. 개혁ㆍ개방 시기 종교에 대한 국가능력과 종교영역의 상대적 자율성 141
2. 덩샤오핑ㆍ장쩌민 시기 국가ㆍ종교 관계의 특징 150
가. 독립반교의 문제 150
나. 신흥종교의 문제 158
3. 후진타오 시기 국가ㆍ종교 관계의 특징 166
가. 반사이비종교법이 국가ㆍ종교 관계에 미치는 영향 166
나. 반국가분열법이 중국 국가ㆍ종교 관계에 미치는 영향 173
4. 시진핑 시기 중국 국가ㆍ종교 관계 문제의 해법 179
5. 소결 185
Ⅵ. 북한에 대한 함의 / 현승수;김신규;박만준 188
1. 북한 종교 실태 189
2. 북한에 대한 함의 194
가. 완전한 체제전환의 경우 195
나. 부분적 체제전환의 경우 198
참고문헌 204
최근 발간자료 안내 218
판권기 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73192 | 통일 322.1 -23-2 |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 이용가능 | |
0002973193 | 통일 322.1 -23-2 |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