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9

Abstract 12

Ⅰ. 서론 / 현승수 16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7

2. 연구 내용 19

Ⅱ. 이론적 검토 / 현승수 23

1. 국가와 종교 관계 24

2. 체제전환국 국가ㆍ종교 관계 33

Ⅲ. 중동부 유럽의 국가ㆍ종교 관계 / 김신규 40

1. 중동부 유럽의 체제전환과 종교 41

2. 중동부 유럽의 국가ㆍ종교 관계 44

가. 중동부 유럽 주도교회의 형성 44

나. 종교의 쇠퇴, 부흥 혹은 개인화 47

다. 종교 자유화와 국가-교회 관계 설정 51

3. 권위주의와 국가ㆍ종교 관계 61

가. 종교규제, 개입, 차별 61

나. 민주주의 퇴보와 국가의 규제, 차별 65

다. 권위주의 정부와 교회 관계 73

4. 소결 87

Ⅳ. 러시아의 국가ㆍ종교 관계 / 현승수 90

1.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종교 91

2. 러시아의 국가ㆍ종교 관계 97

가. 러시아정교회의 부상과 정교 교육의 확대 97

나. 정교 이외 종교에 대한 제약과 차별 107

다. 종교 과격주의 대처를 위한 법 제정 115

3. 권위주의와 국가ㆍ종교 관계 119

가. 푸틴 정권과 러시아정교회 119

나. 교회와 국가의 '심포니' 121

다. 이념과 세계관의 공유 126

4. 소결 130

Ⅴ. 중국의 국가ㆍ종교 관계 / 박만준 132

1. 개혁ㆍ개방과 중국 국가ㆍ종교 관계 133

가. 개혁ㆍ개방과 중국 사회주의 국가ㆍ종교 관계 133

나. 개혁ㆍ개방 시기 종교에 대한 국가능력과 종교영역의 상대적 자율성 141

2. 덩샤오핑ㆍ장쩌민 시기 국가ㆍ종교 관계의 특징 150

가. 독립반교의 문제 150

나. 신흥종교의 문제 158

3. 후진타오 시기 국가ㆍ종교 관계의 특징 166

가. 반사이비종교법이 국가ㆍ종교 관계에 미치는 영향 166

나. 반국가분열법이 중국 국가ㆍ종교 관계에 미치는 영향 173

4. 시진핑 시기 중국 국가ㆍ종교 관계 문제의 해법 179

5. 소결 185

Ⅵ. 북한에 대한 함의 / 현승수;김신규;박만준 188

1. 북한 종교 실태 189

2. 북한에 대한 함의 194

가. 완전한 체제전환의 경우 195

나. 부분적 체제전환의 경우 198

참고문헌 204

최근 발간자료 안내 218

판권기 3

표목차

표 Ⅱ-1. 2021년 체제전환국 민주화 지수 36

표 Ⅱ-2. 2022년 미 국무부 국제종교자유위원회 보고서 37

표 Ⅲ-1. 체제전환 이후 종교발전 모델 51

표 Ⅲ-2. 종교의 사회적 측면(주도교회) 52

표 Ⅲ-3. 종교의 주관적 측면 54

표 Ⅲ-4. 중동부 유럽의 종교 변화 1970-2005 55

표 Ⅲ-5. 탈공산주의 국가의 교회-국가 관계 61

표 Ⅲ-6. 종교규제, 개입과 차별 63

표 Ⅲ-7. 폴란드 총선과 PiS 65

표 Ⅲ-8. 헝가리 총선과 Fidesz 67

표 Ⅲ-9. EIU 민주주의 지수, 2006-2021 69

표 Ⅲ-10. 자유화 지수 70

표 Ⅲ-11. 폴란드 헝가리의 법치 2012-2021 70

표 Ⅲ-12. 폴란드와 헝가리의 종교자유 71

표 Ⅲ-13. 폴란드와 헝가리의 종교단체 억압 73

표 Ⅲ-14. 정부규제(GRI), 사회적 적대(SHI) 74

표 Ⅳ-1. 러시아 종교단체 국가등록 92

표 Ⅳ-2. 1997년 제정된 러시아연방 종교법 94

표 Ⅳ-3. 어떤 공적 기관을 신뢰하는가? 96

표 Ⅳ-4. 당신의 종교는 무엇인가? 97

표 Ⅵ-1. 북한 종교 실태(2020년) 193

이용현황보기

체제전환국 국가·종교 관계와 북한에 대한 함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73192 통일 322.1 -23-2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
0002973193 통일 322.1 -23-2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