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1. 연구개요 21
1. 연구배경 및 목적 22
2. I-MOD 사업 개요 및 연구내용 23
1) I-MOD 사업 개요 및 연구 필요성 23
2) 연구내용 및 방법 25
3. 연구 범위 25
4. 연구 절차 27
2. 사례조사 및 법률검토 28
1.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개요 29
1) DRT의 개념과 역할 29
2) DRT 서비스 유형 30
2. 국외 DRT 운영사례 33
3. 국내 DRT 도입 연혁 및 관련 법제도 38
1) 국내 DRT 운영을 위한 법적 근거 38
2) 국내 DRT 도입 연혁 40
3) 국내 규제샌드박스 DRT 도입 42
4. 국내 DRT 운영 사례 조사 43
1) 농어촌 DRT 운영 사례 43
2) 대중교통 부족지역 DRT 운영 사례 52
3) 도심형 DRT(규제 샌드박스 DRT) 현황 54
5. 소결 65
3. I-MOD 운영 현황 분석 68
1. 운영 개요 및 현황 69
1) I-MOD 운영 개요 69
2) I-MOD 운영 연혁 71
3) 초기개념 및 솔루션 73
4) I-MOD 호출 74
2. 이용행태 분석 75
1) I-MOD 운영자료 항목 및 수집기간 75
2) 분석 내용 및 방법 76
3) 분석 결과 77
3. I-MOD의 타교통수단 영향 분석 96
1) 분석 데이터 96
2) 분석 내용 및 방법 97
3) I-MOD의 타교통수단 영향 분석 98
4. 운송수지 분석 116
1) 운송수지 분석개요 116
2) I-MOD 운송수지 분석 117
3) 시나리오별 운송수지 비교분석 122
5. 시사점 125
4. I-MOD 관련 설문조사 128
1. 설문조사 개요 129
1) 인천시민 및 이용자 의견조사 개요 130
2) 인천시 운송관계자 의견조사 개요 131
2. 인천시민 및 이용자 의견조사 분석 결과 132
1) 응답자 특성 분석 132
2) 대중교통 이용 환경 135
3) I-MOD 이용행태 및 만족률 139
4) I-MOD 향후 운영 방향 153
5) 기존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 159
3. 운송관계자 의견조사 분석 결과 161
1) 응답자 특성 분석 161
2) I-MOD 지속 운영 방향 및 운영방식 162
4. 시사점 168
5. I-MOD 운영 개선 방안 171
1. I-MOD 적정 운영지역 선정 172
1) 분석개요 및 분석과정 172
2) 인천시 대중교통 기초 DB 구축 174
3) 대중교통 취약지역 진단기준 정립 175
4) 대중교통 확보ㆍ취약ㆍ사각 지역 진단 결과 177
5) I-MOD 적정 운영지역 선정 190
2. I-MOD 개선효과 시뮬레이션 192
1) 시뮬레이션 개요 192
2) 시뮬레이션 분석방법론 192
3) 운영효율 개선효과 시뮬레이션 결과 197
4) 서비스성공률 개선효과 시뮬레이션 결과 202
3. 시사점 207
6. 결론 및 정책제언 209
1. 결론 210
2. 정책제언 211
1) I-MOD 지속 운영시 고려사항 211
2) I-MOD 유지 및 폐지 대안의 비교 212
3) 지속운영 판단시 운영관리 방안 214
참고문헌 219
[부록] 222
판권기 242
[그림 1-1] 스마트 시티 챌린지 사업 I-MOD 운영 현황 24
[그림 1-2] 연구 절차 27
[그림 2-1]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DRT의 위치 29
[그림 2-2] 노선 운행 방식에 따른 DRT 유형 31
[그림 2-3] 일본 DRT 도입지역 및 운행 차량 37
[그림 2-4] 국내 농촌형ㆍ도시형 DRT 도입 연혁 40
[그림 2-5] 경기도 파주시 셔클(파주 부르미) 52
[그림 2-6] 파주시 셔클 운영지역 현황 53
[그림 2-7] 서울시 은평뉴타운 셔클 55
[그림 2-8] 세종시 셔클 서비스(좌)와 로보셔틀 서비스(우) 56
[그림 2-9] 세종시 셔클 서비스 지역(좌)과 로보셔틀 서비스 지역(우) 58
[그림 2-10] 과천시 콜버스 바로 DRT 59
[그림 2-11] 과천콜 버스 운영지역 61
[그림 2-12] 포항시 TAP! 61
[그림 2-13] 포항시 TAP! 운영지역 62
[그림 3-1] I-MOD 운행지역 (2022년 기준) 69
[그림 3-2] 인천시 I-MOD 운행차량 사진 70
[그림 3-3] I-MOD 사업 추진 연혁 72
[그림 3-4] I-MOD의 기능 및 역할, 서비스 수준 컨셉 73
[그림 3-5] I-MOD의 버스 솔루션 74
[그림 3-6] I-MOD 사용자 앱 화면 예시 74
[그림 3-7] I-MOD 운영자료의 데이터 구조 75
[그림 3-8] I-MOD 운영자료 등 분석자료의 수집기간 76
[그림 3-9] 월별 지역별 호출 건수 78
[그림 3-10] 월별 지역별 이용 완료 건수 79
[그림 3-11] 월별 지역별 전체 호출 건수 대비 이용 완료율 81
[그림 3-12] 사람 기준 I-MOD 서비스 시행 후 배차 성공률 82
[그림 3-13] 월별 지역별 이용상태 구성비율 83
[그림 3-14] 월별 지역별 승차 대기시간 85
[그림 3-15] 월별 지역별 평균 이용시간 86
[그림 3-16] 월별 지역별 평균 이용거리 87
[그림 3-17] 월별 지역별 평균 접근거리 89
[그림 3-18] 월별 지역별 평균 공차거리 90
[그림 3-19] 월별 지역별 평균 승차인원 91
[그림 3-20] 월별 지역별 공급좌석수 대비 이용 완료 건수 92
[그림 3-21] 월별 지역별 운영면적 대비 이용 완료 건수 93
[그림 3-22] I-MOD 지역별 호출지점 기준 밀도분석(Point density analysis) 94
[그림 3-23] GIS 기반 지역별 OD분석 95
[그림 3-24] 데이터 수집 시기 97
[그림 3-25] 일평균 시간대별 승하차수요(주중/주말) 100
[그림 3-26] GIS 기반 지역별 OD분석 102
[그림 3-27] 일평균 시간대별 승하차수요 103
[그림 3-28] GIS 기반 지역별 OD분석 104
[그림 3-29] I-MOD 운영지역 교통수단별 일평균 시간대별 승하차 비율 105
[그림 3-30] I-MOD 운영지역 교통수단별 일평균 승하차 비율(주중/주말) 106
[그림 3-31] I-MOD 운영지역 교통수단별 일평균 시간대별 승차 및 하차 비율(주중/주말) 108
[그림 3-32] 지역별 택시 수입금 분석 결과(법인택시 기준) 111
[그림 3-33] 지역별 통행유형별 택시 수입금 분석 결과(법인택시 기준) 111
[그림 3-34] 지역별 월별 I-MOD 수요의 택시 수요 전환에 따른 택시 수입금 환산액 추정 결과 113
[그림 3-35] I-MOD로 인한 택시 수입금 변화 추정 115
[그림 3-36] I-MOD 운영기간 내 월 운송수지 추이 119
[그림 3-37] 지역별 월별 I-MOD 운송수지 120
[그림 3-38] I-MOD 운송수지 시나리오 122
[그림 3-39] I-MOD 운송수입금 조정 시나리오 - 운송원가 조정 124
[그림 4-1] 설문조사 개요 129
[그림 4-2]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응답자 특성 요약 비교 132
[그림 5-1] DRT 적정 운영지역 분석흐름도 173
[그림 5-2] 인천광역시 기초 DB 174
[그림 5-3] 대중교통 취약지역 진단 기준 176
[그림 5-4] 면적당 정류장 수 177
[그림 5-5] 통과 노선 수 178
[그림 5-6] 배차간격 179
[그림 5-7] 공간적 접근성 분석 180
[그림 5-8] 공간적 접근성 결과 181
[그림 5-9] 시간적 접근성 분석 예시 182
[그림 5-10] 시간적 접근성 결과 183
[그림 5-11] 대중교통 서비스 부족 지역 평가 개념도 184
[그림 5-12] 대중교통 서비스 부족 지역 평가 결과 184
[그림 5-13] 대중교통 이동성 185
[그림 5-14] 일 평균 대중교통 수요 186
[그림 5-15] 대중교통 시설ㆍ서비스ㆍ이용 부족 지역 비교 187
[그림 5-16] 대중교통 확보, 취약, 사각지역 종합 결과 189
[그림 5-17] I-MOD 운행지역의 집계단위(행정동, 집계구)간 분석 결과 비교 191
[그림 5-18] I-MOD 적정 운영지역 선정시 참고사항 191
[그림 5-19] 운영효율 개선을 위한 운행대수 조정 시나리오(A) 설계 및 예시 194
[그림 5-20] 서비스 성공률 개선 시나리오(B) 설계 및 예시 195
[그림 5-21] 운영지역 제한방식 (Red Zone 및 Green Zone) 개념도 196
[그림 5-22] 행정동 및 집계구 기준 종합 대중교통 취약지역 196
[그림 5-23] 운영제한 지역 설정(Red Zone 및 Green Zone 도입) 197
[그림 5-24] 송도 전역 운영효율 개선 시나리오(A-1) 시뮬레이션 결과 198
[그림 5-25] 송도 운영지역 제한 및 운영효율 개선 시나리오(A-2) 시뮬레이션 결과 200
[그림 5-26] 영종도 운영효율 개선 시나리오(A) 시뮬레이션 결과 201
[그림 5-27] 송도 서비스 성공률 개선 시나리오(B-1) 시뮬레이션 결과 203
[그림 5-28] 송도 운영지역 제한 및 서비스 성공률 개선 시나리오(B-2) 시뮬레이션 결과 204
[그림 5-29] 영종도 서비스 성공률 개선 시나리오(B-1) 시뮬레이션 결과 206
[그림 6-1] I-MOD 지속 운영시 고려사항 211
[그림 6-2] I-MOD 서비스 유지 및 폐지 대안의 비교 212
[그림 6-3] I-MOD 운영유지관련 정책결정 판단지표 종합 213
[그림 6-4] I-MOD 지속운영 판단시 운영관리 방안 214
[그림 6-5] I-MOD 지속운영시 운영관리 주체 설정(안) 215
[그림 6-6] 조직구성 및 업무분장(안) 216
[그림 6-7] I-MOD의 본사업 운영을 위한 요구사항 217
[그림 6-8] 예산규모(안) 217
[그림 6-9] 정책제언 요약 21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75678 | 388.40951954 -2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75679 | 388.40951954 -2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