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01 발달 이론
1. 발달이란 무엇인가?
2. 주요 발달 이론의 관점
3. 발달 연구의 동향

02 인지발달
1.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 이론
3. 최근의 인지발달 이론

03 뇌 발달과 지능
1. 뇌 발달
2. 대뇌 피질의 분화와 성장
3. 청소년기 뇌 발달
4. 지능 이론과 측정의 역사

04 인지주의 학습 이론
1. 초기 인지주의 학습 이론
2. 정보 처리 이론
3. 인지 전략과 초인지 전략

05 행동주의 학습 이론
1. 학습이란?
2. 고전적 조건화
3. 조작적 조건화

06 사회 학습 이론
1. 사회 학습 이론
2. 자기효능감
3. 학업적 자기효능감

07 목표 행동과 성취 목표
1. 목표 설정과 목표 내용
2. 성취동기
3. 성취 목표

08 기질, 성격 특성과 학업
1. 기질과 성격
2. 학업 성취와 관련된 성격 특성
3. 성격 유형과 학습

09 정서발달과 사회정서 학습
1. 애착
2. 정서와 사회정서 학습

10 성격발달 이론
1. 프로이트의 성격발달 이론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발달

11 자율성과 흥미
1. 자율성
2. 내재동기
3. 흥미

12 자기와 사회 인지
1. 자기의 발달
2. 사회 인지

13 도덕성, 친사회성, 공격성
1. 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
2. 친사회성의 발달
3. 공격성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교육심리학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74408 370.15 -23-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74409 370.15 -23-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71639 370.15 -23-4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실천 지향적 학문인 교육심리학을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하게 돕는 책
교육심리학은 교육 현상을 연구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며 학습자의 변화를 다루기 때문에 실천 지향적이다. 교육 현장의 실제와 개선에 관심 있는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부분에 교육심리학은 중요한 열쇠가 된다. 이 책에서는 교사와 예비 교사들의 실제 고민을 고려하여 교육심리학의 최근 동향을 중심으로 교육 실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와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위주로 담고자 하였다.

이 책의 구성 특징과 장점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 상황을 함께 고민하고, 학습한 이론에서 해법을 찾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교육심리학의 최신 동향을 담은 개정판에는 교육심리학의 필수 지식은 물론, 초판 출간 이후 달라진 것과 새롭게 등장한 것까지 모두 담겨 있다. 발달 이론부터 도덕성과 친사회성 발달까지 열세 가지 주제를 다루며, 초판보다 간결하고 활용하기 쉽게 썼다. 교육심리학에서 학습자를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따라 각 장을 배치하였으나 순서를 바꾸어 학습해도 좋다.

‣ 학습에 앞서 & 활동

실제 교육 방법이나 사례로 이론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한다. 각 장의 활동지와 연계해 브레인스토밍 활동을 한다.

‣ 연습

각 장의 이론을 점검하고 질문에 답하며 사고력을 넓힌다. 집단 토의 활동으로 주어진 문제 상황에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을 논의한다.

‣ 보충 읽기 자료, 심화 읽기 자료

신문, 책, 영상, 연구 결과 등의 자료를 읽으며 각 장의 이론을 더 탐색하고 생각한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38] 학습에 앞서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대부분 어느 정도 우리 사회의 규범과 도덕적 가치를 자연스럽게 배워 가지만, 오늘날 우리는 학생들에게 좀 더 인간적으로 타인을 대하는 방법을 반드시 가르칠 필요가 있다. 도덕성 발달은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평가하는 데 기준이 되는 옳고 그름의 개념을 익혀 가는 인간 발달 과정이다. 이 장에서는 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대해 도덕적 판단에 초점을 둔 이론들, 이와 관련된 특성인 타인을 도와주려는 경향성(친사회성)과 때로 타인에게 해를 입히고 상처 주는 경향성(공격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활동 13ᐨ
1).

연습 2ᐨ
2. 학교에서 만나는 아이들의 인지발달

다음은 다른 연령대의 아동에 대한 설명이다. 각 아동들에 대한 설명을 잘 읽고, 이 장에서 학습한 인지발달 이론과 개념을 토대로 각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을 조별로 논의한 후 그 내용을 적어 보자.

▶ 다섯 살짜리 민희가 뛰다가 의자에 걸려 넘어졌다. 민희는 울면서 엄마에게 “저 의자가 나 괴롭혔어. 때찌 해 줘”라고 했다. 민희는 왜 의자에게 화풀이를 하는 것일까?
활동 2ᐨ
1. 아동의 놀이와 인지발달

다양한 연령대의 아동들이 블록 놀이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다음의 지시문에 따라 활동해 보고, 조별로 이야기를 나누어 보자.


사진 속 아동들의 나이를 추정해 보고, 나이 순서대로 기호를 적어 보자.

사진 속 아동이 블록을 가지고 어떻게 놀고 있는지 기술해 보자.

위에서 기술한 내용처럼 각 아동이 블록을 갖고 놀기 위해서는 어떤 인지적 능력이 필요할지 다양한 의견을 적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