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6
Ⅰ. 토속어류 자원조성을 위한 연구 8
1. 잉어류(잉어, 붕어) 종자생산 및 방류 / 임현주;유동재 9
2. 동자개 종자생산 및 방류 / 임현주;유동재 22
3. 버들치 종자생산 및 방류 / 박재민;유동재 28
Ⅱ. 내수면 고부가품종 산업화 시험연구 37
1. 미꾸리 종자생산 / 손준혁;유동재 38
2. 친환경 논 생태양식 시험연구 / 손준혁;박재민;유동재 50
3. 빙어 종자생산 및 시험방류 / 박재민;유동재 61
Ⅲ. 토속관상어류 신품종 개발 시험연구 72
1. 납자루 종자생산 연구 / 박재민 73
2. 망둑어류(밀어, 민물검정망둑) 종자생산 연구 / 박재민 83
3. 비단잉어 우량품종 개발 연구 / 박재민 92
Ⅳ. 낙동강 지류하천 어자원 생태계 조사 103
1. 내성천 어류 생물상 조사 결과 / 임현주;유동재 104
Ⅴ. 언론에 비친 센터 모습 126
1. 토종 민물고기 방류사업 본격 돌입 127
2. 어린 토종 미꾸리 60만 마리 방류ㆍ분양 130
3. 내수면 수산식품 개발 및 시장조사 착수보고회 개최 132
4. 내수면 상반기 전문인력 양성 교육 실시 133
5. 내수면 상반기 기술교육캠프 실시 135
6. 경북도 내수면 기술교육캠프로 선진 기술 보급 137
7. 내수면 수산식품 경북 식품박람회서 각광받아 139
8. 낙동강 생물자원보전 생태하천 조성 국비 지원 확정 141
9. 국내 최초 어린 빙어 대량 생산 성공 142
10. 어린 동자개 50만 마리 방류 145
판권기 150
1. 잉어류(잉어, 붕어) 종자생산 및 방류 / 임현주;유동재 10
그림 1. 종자생산에 사용된 잉어류 친어 10
그림 2. 배양된 물벼룩 12
그림 3. 잉어류 친어 선별작업 15
그림 4. 잉어류 종자생산 과정 15
그림 5. 잉어류 부화자어 및 치어 16
그림 6. 잉어류 자치어 시군별 자원조성 20
2. 동자개 종자생산 및 방류 / 임현주;유동재 23
그림 1. 동자개 친어 산란유도 23
그림 2. 동자개 인공수정 및 알뿌리기 24
그림 3. 동자개 부화자어 및 치어 25
그림 4. 동자개 치어방류 27
3. 버들치 종자생산 및 방류 / 박재민;유동재 30
그림 1. 버들치 친어 30
그림 2. 어미확보 및 사육관리 30
그림 3. 채란을 위한 호르몬(Ovaprim) 주사 30
그림 4. 버들치 채란 및 인공수정 과정 31
그림 5. 버들치 자치어 사육 32
그림 6. 버들치 치어방류 35
1. 미꾸리 종자생산 / 손준혁;유동재 39
그림 1. 미꾸리 친어 39
그림 2. 미꾸리 암(위)ㆍ수(아래) 39
그림 3. 미꾸리 성성숙 유도 호르몬 주사 40
그림 4. 자연 산란유도 바구니 41
그림 5. 반죽형태 만들기 전 상태의 배합사료 41
그림 6. 미꾸리의 난발생 과정 45
그림 7. 미꾸리의 자치어 형태발달 47
그림 8. 금년도 생산한 미꾸리 치어 48
2. 친환경 논 생태양식 시험연구 / 손준혁;박재민;유동재 56
그림 1. 동자개 논 생태양식 시험포 56
그림 2. 미꾸리 민관 공동 시범사업 58
그림 3. 미꾸리 치어 방류 사진 60
3. 빙어 종자생산 및 시험방류 / 박재민;유동재 62
그림 1. 빙어 친어확보 및 관리 62
그림 2. 빙어 인공 채란 63
그림 3. 빙어 정액 혼합 및 인공수정 63
그림 4. 파판에 부착된 빙어 수정란 64
그림 5. 사육 중인 빙어 자어 64
그림 6. 빙어의 난발생 과정(Han et al., 1998) 66
그림 7. 빙어 자어의 형태발달 67
그림 8. 빙어 종자생산 및 언론홍보 70
1. 납자루 종자생산 연구 / 박재민 75
그림 1. 납자루 친어(좌 : 수컷, 우 : 암컷) 75
그림 2. 납자루 채란 및 인공수정 76
그림 3. 납자루 수정란 관리 77
그림 4. 납자루의 난발생 과정(Suzuki and Jeon, 1990) 78
그림 5. 납자루의 자치어 형태발달(Suzuki and Jeon, 1990) 80
그림 6. 금년도 생산 납자루 치어 81
2. 망둑어류(밀어, 민물검정망둑) 종자생산 연구 / 박재민 85
그림 1. 수조 내 산란한 밀어(좌), 민물검정망둑(우) 수정란 85
그림 2. 사육관리 중인 밀어 어미 85
그림 3. 포획한 민물검정망둑 어미 85
그림 4. 밀어의 난발생 과정 87
그림 5. 밀어의 자치어 형태발달 90
그림 6. 토속관상어(망둑어류) 시험생산 91
3. 비단잉어 우량품종 개발 연구 / 박재민 94
그림 1. 비단잉어 산란유도 수조 및 어소 94
그림 2. '22년도 비단잉어 종자생산 활용 어미(황금, 공작) 94
그림 3. '22년도 비단잉어 종자생산 활용 어미(대정삼색, 홍백) 94
그림 4. 수조에서 부화된 비단잉어 자어 96
그림 5. 선별된 비단잉어 우량 치어 96
그림 6. 사육중인 비단잉어 치어 97
그림 7. 제7회 한국관상어박람회 참가 100
1. 내성천 어류 생물상 조사 결과 / 임현주;유동재 107
그림 1. 서원교 조사지점(St. 1) 107
그림 2. 예천교 조사지점 및 채집광경(St. 2) 107
그림 3. 대왕교 조사지점(St. 3) 108
그림 4. 형호교 조사지점(St. 4) 108
그림 5. 오천교 조사지점 및 채집광경(St. 5) 108
그림 6. 경진교 조사지점 및 수질환경측정(St. 6) 109
그림 7. 봄철 채집된 어류의 상대풍부도(2022. 3. 15.~16.) 111
그림 8. 여름철 채집된 어류의 상대풍부도(2022. 6. 28.~29., 2022. 8. 25.) 113
그림 9. 가을철 채집된 어류의 상대풍부도(2022. 10. 13.~14.) 115
그림 10. 겨울철 채집된 어류의 상대풍부도(2022. 11. 16.~17.) 117
그림 11.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의 상대풍부도 120
그림 12.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의 계절별 상대풍부도 120
그림 13. 조사 중 채집된 어종 12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76315 | 639.31 -2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76316 | 639.31 -2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