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참여 연구진 4
요약문 5
목차 8
Abstract 18
I. 서론 23
II. 유전체 정보 확보 및 적응·진화 연구 25
1. 주요 자생 무척추동물 소기관유전체 분석 25
가. 연구배경 25
나. 시료 및 연구방법 26
다. 연구결과 27
라. 고찰 29
2. 딱정벌레류의 딱지날개 및 복부 분비샘 진화 연구 29
가. 연구배경 29
나. 시료 및 연구방법 30
다. 연구결과 33
라. 고찰 38
3. 담수·해수·육상 서식지별 거머리류 비교유전체 연구 38
가. 연구배경 38
나. 시료 및 연구방법 39
다. 연구결과 44
라. 고찰 55
4. 새우류 유전체 분석을 통한 면역 유전자 규명 56
가. 연구배경 56
나. 시료 및 연구방법 60
다. 연구결과 65
라. 고찰 75
5. 수염하늘소속의 재선충 매개 진화 연구 76
가. 연구배경 76
나. 시료 및 연구방법 79
다. 연구결과 91
라. 고찰 99
III.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관련종 집단 분석 연구 101
1. 열대거세미나방 유입·정착 가능성을 위한 집단분석 연구 101
가. 연구 배경 101
나. 시료 및 연구방법 102
다. 연구결과 108
라. 고찰 116
2. 비래곤충 된장잠자리 집단분석 연구 117
가. 연구배경 117
나. 시료 및 연구방법 117
다. 연구결과 120
라. 고찰 126
IV. 유전자 정보를 활용한 분류 실체 규명 연구 128
1. 갈색여치 은폐종 및 종 실체 규명 연구 128
가. 연구배경 128
나. 시료 및 연구방법 129
다. 연구결과 131
라. 고찰 135
2. 유전 및 형태 분석을 통한 새뱅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137
가. 연구배경 137
나. 시료 및 연구방법 140
다. 연구결과 141
라. 고찰 147
V. 참고문헌 150
뒷표지 159
그림 1. 개야길앞잡이 25
그림 2. 개야길앞잡이 소기관유전체 지도 28
그림 3. 개야길앞잡이와 근연종의 ML-Tree 28
그림 4. 청딱지개미반날개 시료 확보 31
그림 5. 청딱지개미반날개 해부 및 분석용 시료 31
그림 6. 청딱지개미반날개 gDNA 추출 시료 31
그림 7. 청딱지개미반날개의 k-mer histo graph calculated by Jellyfish 34
그림 8. 청딱지개미반날개의 k-mer histo graph 35
그림 9. 청딱지개미반날개의 HiFi Read Length Distribution 36
그림 10. 청딱지개미반날개의 HiFi Read Quality Distribution 37
그림 11. 대표적 육상 서식성 독실산거머리 39
그림 12. 독실산거머리 구기 및 흡반 40
그림 13. 독실산거머리 근육 추출 40
그림 14. H&E 염색을 통한 독실산거머리 식도 및 침샘 조직 41
그림 15. 유전체 어셈블리 워크플로어 43
그림 16. FALCON & FALCON-Unzip 44
그림 17. 독실산거머리 k-mer histo graph 45
그림 18. 독실산거머리 k-mer histo graph calculated by... 46
그림 19. 독실산거머리의 HiFi Read Length Distribution 47
그림 20. 독실산거머리의 HiFi Read Quality Distribution 48
그림 21. 독실산거머리 Hi-C & HiRise를 이용한 Assembly 51
그림 22. Hirudo nipponia k-mer histo graph 52
그림 23. Hirudo nipponia k-mer histo graph 53
그림 24. Notostomum cyclostomum k-mer histo graph 54
그림 25. Notostomum cyclostomum k-mer histo graph 55
그림 26. 2013~2014년간 새우소비량 분석 56
그림 27. 도화새우 생태학적 특징 57
그림 28. 새우 유전체 연구의 중요성과 이동성 유전인자 연구의 필요성 59
그림 29. 연구 목적 및 분석방법 개요 59
그림 30. 실험 샘플용 도화새우 60
그림 31. 도화새우 분석 모식도 60
그림 32. 도화새우 샘플링 61
그림 33. NGS sequencing 분석 62
그림 34. sequencing 데이터 생물정보학적 분석 및 novel miRNA 발굴... 63
그림 35. 도화새우 여러 조직에서 RNA 추출 및 qRT-PCR 발현 분석 63
그림 36. 도화새우 유전체 기반 이동성 유전인자 식별 및 분포 분석 64
그림 37. dot plot을 통해 Lysozyme, Caspase 2, C-type lectin의 인간과 새... 66
그림 38. 면역 관련 유전자의 생물학적 유연관계 (A) C-type lectin, (B)... 66
그림 39. 공통 새우 면역 관련 유전자들의 생물학적 역할 분석 67
그림 40. 공통 새우 면역 관련 유전자들의 분자적 기능 분석 67
그림 41. 도화새우 시퀀싱 분석을 위한 조직 DNA, RNA 추출 결과 68
그림 42. small RNA sequencing read 생산 결과 및 quailty check 69
그림 43. small RNA seq 결과 요약 및 기등록 miRNA 분석 결과 70
그림 44. novel miRNA 예측을 위한 서열 ortholog 분석 70
그림 45. 비교 3종에 대한 추가적인 mapping 분석 71
그림 46. 근육 대비 간췌장에서 감소하는 miRNA 72
그림 47. 근육 대비 간췌장에서 증가하는 miRNA 72
그림 48. 간췌장에서 발현 증가 novel miRNA에 대한 mature 보존 확인 73
그림 49. 간췌장에서 발현 감소 novel miRNA에 대한 mature 보존 확인 73
그림 50. 간췌장 특이적 발현 novel miRNA 2차 구조 분석 74
그림 51. 독도새우 연구를 통한 학문적·산업적·실용적 기대효과 76
그림 52. 소나무재선충 전파 관계도(산림청 및 임업연구소) 76
그림 53. 전 세계 소나무재선충 전파 현황 78
그림 54. 국내 수염하늘소속 소나무재선충 매개-비매개종 비교 모식도 78
그림 55. 표준유전체 분석 진행 중인 수염하늘소 79
그림 56. 제작한 하늘소 전용 채집기(A)와 수염하늘소 페로몬 유.. 80
그림 57. 국내 수염하늘소속 개체 채집 위치 81
그림 58. 채집 지역별 환경. A. 소나무림 B. 전나무림 C. 혼합림 D.... 82
그림 59. A. 설치한 하늘소 전용 채집기 B. 채집된 수염하늘소 83
그림 60. 여러 방법을 통한 수염하늘소속(Monochamus) 개체 채집(C.... 84
그림 61. A. 베르만 깔때기 설치 사진 B. 시료를 올린 뒤 물을... 85
그림 62. A. 소나무재선충 접종 직후 배지 모습 B. 접종 일주일... 86
그림 63. 표준유전체 구축용 자료 생성 순서 88
그림 64. 전장유전체 조립 및 주석 달기 90
그림 65. 채집된 국내 수염하늘소속(Monochamus) 5종 91
그림 66. A. 어리소나무재선충(100 ×) B. 어리소나무재선충(200 ×) 93
그림 67. 추출한 DNA의 전기영동 결과 94
그림 68. 수염하늘소 Bioanalyzer DNA 12000 kit를 이용한 Library QC 결과 95
그림 69. 수염하늘소 Agilent 2100 Bioanalyzer를 이용한 Library QC 결과 96
그림 70. PacBio HiFi 긴길이염기서열 분석 결과, Read 길이 분포 그래프 97
그림 71. 열대거세미나방 원산지 및 확산 경로 102
그림 72. 육안 조사 및 열대거세미나방 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채집.... 106
그림 73. 2020~2022년도 경북지역 열대거세미나방 발생 현황 108
그림 74. 국내 3 지역(경주, 예천, 울릉도) 내에 채집한 열대거세미나방의... 109
그림 75. 네팔의 열대거세미나방 정보. A. 네팔 열대거세미나방 채집지역,... 110
그림 76. 방글라데시의 열대거세미나방 정보. A. 열대거세미나방 채집지역, B.... 111
그림 77. 콩고민주화공화국의 열대거세미나방 정보. A. 채집지역, B.Tpi 유...[원문불량;p.89] 111
그림 78. 거세미나방 2종의 온도 스트레스에 대한 생존율 비교 113
그림 79. 거세미나방 2종의 hsp19(A), hsp20(B), hsp70(C), hsp90(D)의 발... 114
그림 80. 온도에 따른 열대거세미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성충에 대한 생존, 산란... 115
그림 81. 야외 및 온실에서의 열대거세미나방 3령, 6령 유충의 생존력 116
그림 82. 된장잠자리 생태 사진(좌), 조사 모습(우) 117
그림 83. 체세포 DNA(gDNA) 추출용 tissue 및 gDNA QC 119
그림 84. 된장잠자리 채집지 정보 121
그림 85. 된장잠자리의 형태. 유충(좌), 성충(우) 121
그림 86. 된장잠자리 420개체의 단상형 네트워크(haplotype network) 123
그림 87. 갈색여치 128
그림 88. mtDNA COI 영역을 이용한 갈색여치 집단의... 132
그림 89. 갈색여치 mtDNA COI 기반 집단별 유전적... 133
그림 90. 16S rRNA 영역을 이용한 갈색여... 133
그림 91. 갈색여치 집단의 COI 단상형 네트워크 134
그림 92. 단상형 분석에 기반한 갈색여치 집단별 지역 분포도 135
그림 93. 확보된 새뱅이과(Family Atyidae) 새우류의 채집 지역 142
그림 94.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 소장 한반도 새뱅이 표본 143
그림 95. COI 염기서열 기반 한반도 서식 새뱅이류의 분자계통도 144
그림 96. 한반도 및 GenBank 등록 새뱅이류 COI 염기서열 기반 분자... 14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76241 | 592 -23-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76242 | 592 -23-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