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 윤석진, 김중철, 김태훈, 김홍대, 김규광, 김지연, 박종윤, 이근영, 신다슬, 박미경 외 참고문헌: p. 286-296 충남대학교 2022년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출판하였음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머리말ㆍ4
제1장 신화와 과학 너머의 그것을 상상하다 김중철 | 과학기술 시대의 문학적 상상력ㆍ14 김태훈 | SF의 신화적 본질ㆍ28 김홍대·윤석진 | 과학 기술의 상상적 구현과 표상으로서의 SF 콘텐츠ㆍ53
제2장 현실 너머의 그것을 상상하다 : 시네마틱 드라마 〈SF8〉 김규광 | 〈블링크〉에 나타난 한국 인공지능 이미지와 욕망ㆍ84 김지연 | 파국 이후, ‘바깥’으로의 탈주 욕망을 보여주는 〈우주인 조안〉ㆍ110 박종윤 | 〈인간 증명〉, 인간 개념의 수정 가능성에 대한 고찰ㆍ142 이근영 | 〈간호중〉에 나타난 SF드라마의 자기반영성ㆍ163 신다슬 | 〈만신〉 속 능동적 삶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ㆍ188
제3장 경계 너머의 그것을 상상하다 : 〈나 홀로 그대〉·〈시지프스〉·〈고요의 바다〉·〈그리드〉 박미경·윤석진 | 〈나 홀로 그대〉의 과학기술과 극적 상상력ㆍ218 김민주 | 〈시지프스 The Myth〉에 나타난 과학과 신의 대결ㆍ242 오명숙 | 〈고요의 바다〉에서 만난 인간과 복제인간ㆍ259 이미옥 | 〈그리드〉의 태양풍과 미래 인간에 대한 고찰ㆍ271
참고문헌ㆍ286 필자약력ㆍ297
이용현황보기
K-SF 드라마, 현실 너머의 미래를 상상하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14667
791.450951 -2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14668
791.450951 -2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71762
791.450951 -23-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 집필진 소개
윤석진(尹錫辰, Suk-Jin Yun)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2000년 8월 한양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 취득, 2021년 7월부터 2년 임기의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소장 겸직, 2021년 3월부터 『한겨레』에 ‘윤석진의 캐릭터로 보는 세상’ 칼럼 연재, 문화방송(MBC) 시청자위원회 위원·한국극예술학회 회장 등 역임, 서울드라마어워즈와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심사위원으로 활동, 「텔레비전드라마 <시크릿 가든>의 경제적 타자성과 판타지 장치」와 「과학기술의 상상적 구현과 표상으로서의 SF콘텐츠」(공저) 등 다수의 논문 발표, 『텔레비전드라마 역사를 전유하다』(공저, 소명출판, 2020) 등의 텔레비전드라마 관련 저서 출판, 현재 K-SF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의 미학적 특성과 문화산업적 동향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
김중철(金重哲, Kim, Joong-Chul) 안양대학교 아리교양대학 교수, 2000년 2월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 취득, 한양대학교 연구교수와 한양사이버대학교 전임강사 역임, 한국교육개발원 OECD AHELO사업의 채점위원, 한국장학재단 수기공모 심사위원, 겨레얼살리기 전국대학생 토론대회 심사위원 등으로 활동하였고, 한국언어문화학회, 대중서사학회, 문학과영상학회 등에서 이사를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부회장으로 활동 중임, 「<프랑켄슈타인>과 언어의 문제」, 「소설 <오토포이에시스>를 통해 본 인공지능 시대의 글쓰기」, 「영화를 통한 공학교육과 인문학의 만남」 등 다수의 논문과 『소설을 찾는 영화, 영화를 찾는 소설』(2008, 월인), 『영화에서 글쓰기를 보다』(2021, 북마크), 『과학기술글쓰기』(공저, 새문사, 2017) 등의 저서가 있음, 언어와 사고, 매체와 표현의 관계에 대한 강의와 연구를 계속하고 있음.
김태훈(金台勳, Kim, Tae-hoon) 배재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강사,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현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졸업, 동 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박사과정 수료, 현재 신화, 고전학, 구비문학 등에 기초한 신화비평(神話批評, myth criticism)의 관점에서 지금의 미디어와 문화콘텐츠, 특히 OTT와 모바일 콘텐츠에서 나타난 스토리텔링 작법, 장 르, 세계관, 소재 및 테마에 대해 연구 중.
김홍대(金弘大, Kim, Hong-Dae)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 전문위원.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수료 (2021). 대한항공의 항공기술연구원에서 유무인 항공기 시스템 개발, 항공기 탑 재장비 및 소프트웨어, 시뮬레이터 등의 연구 개발업무 수행. SF에 담긴 첨단 과 학과 인문적 통찰력의 조화를 통해 인류의 미래를 조망하는 데 흥미를 느끼며,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가 주최한 콜로키움(2021), 문원국제학술대회(2022)에서 SF콘텐츠와 인류문명의 관계에 관해 발제한 바 있음.
김규광(金奎光, Kim, Kyu Kwang)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 박사과정 수료. 2020년 2월 충남대 대학 원에서 「1950년대 대중소설의 ‘아프레 걸’ 재현 양상 연구」로 석사 학위 취득. 2020년 「박탈된 존재의 “인공의 날개”-「날개」의 상승 구도와 가치 전도-」 논문 발표. 현재 한국에서 정상성의 척도로 작동하는 ‘인간’ 형상이 문학 담론 내에서 어떤 욕망에 의해 구체화 되었는지 관심을 갖고 연구 중.
김지연 (金志蓮, Kim, Jiyeon)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과 청소년교육학을 공부한 뒤, 2013년 서울 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허무주의 극복에 관한 연 구」로 석사학위 취득.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 박사과정 수료. 현재 대중서사와 아동청소년문학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
박종윤(朴鍾允, Park, Jong-Yoon)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2020년 8월 충남대학교 대학 원에서 문학석사학위 취득, 1987년 2월 KAIST 대학원에서 공학석사학위 취득(전 기 및 전자공학과), 1989년 2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주)KT 연구원 역임, 2001년 3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주)KT-Skylife에서 방송연구팀장, 마케팅기획팀장, 감사실장, 서부총괄지사장 등 역임. 2022년 3월에 『월간문학』 신인 작품상(시 부문) 수상하면서 등단. 「김춘수 시 〈유월에〉의 반복성 고찰」 등의 논문 발표. 2022년 7월부터 11월까지 대전문인 사진·영상 아카이빙 사업(대전문학관 주관) 및 대전원로예술인구술채록사업(대전문화재단 주관)에 연구원으로 참여. 현재 박사학위논문으로 오세영의 시세계를 연구 중.
이근영(李謹永 Lee, Keun-Young)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 박사과정 수료.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김동인의 예술가소설 연구」로 석사학위 취득. 「저항과 떠남을 통한 세계 인식 과정-김주영의 「아들의 겨울」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 발표. 현재 1960년대 소설가 이제하의 작품을 중심으로 주체와 타자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 중.
신다슬(申다슬, Shin, Da-Seul)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봉준호 영화의 등장인물 연구」로 석사학위 취득, 「김현석 영화의 비극적 과거 재현 양상 고찰 -<YMCA 야구단>, <스카우트>, <아이 캔 스피크>를 중심으로」와 「불안정한 세계에서 능동적 삶의 가능성 모색하기–SF 드라마 <만신>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 발표. 현재 한국 SF 영화 및 드라마 장르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
박미경(朴美慶, Park, Mi-Kyoung)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재학,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화교육을 위한 전통 의례 교수 방안 연구-오영진의 '민속 3부작'을 중심으로」로 석사학위 취득, 현재 충청대학교 한국어 강사. 『K-Culture로 만나는 한국/한국인 [1]』(공저), 2022년 10월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주최 콜로키움에서 SF드라마 <그리드>를 대상으로 SF드라마의 재현과 알레고리 양상에 관한 논문 발표. SF드라마의 과학기술과 극적 리얼리티 구현 양상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