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제출문 2

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초록 4

기술개발사업 주요 연구성과 10

국문 요약문 15

목차 19

제1장 서론 25

제1절 개발기술의 중요성 및 필요성 25

1. 개발 대상 기술·제품의 필요성 25

2. 개발 대상 기술·제품의 중요성 26

제2절 국내‧외 관련 기술 및 시장의 현황 26

1. 국내의 관련 기술 동향 및 수준 26

2. 국외의 관련 기술 동향 및 수준 28

제3절 기술개발 시 예상되는 기술적‧경제적 파급효과 30

1. 기술적 측면 30

2. 경제적‧산업적 측면 30

3. 사회적 측면 30

제2장 기술개발 내용 및 방법 31

제1절 최종 목표 및 평가 방법 31

1. 최종 목표 31

2. 평가 방법 33

제2절 연차별 개발 내용 및 개발범위 34

1. 당해년도(2018년) 34

제3장 결과 및 향후계획 37

제1절 연구개발 결과 37

1. 연차 연구개발 추진 일정 37

2. 연차 연구개발 추진 실적 38

3. 기술개발 결과의 유형 및 무형 성과 50

제2절 연구개발 추진 체계 75

1. 기술개발 추진 방법·전략 75

2. 기술개발 추진 체계 75

3. 기술개발팀 편성도 76

제3절 시장현황 및 사업화 전망 76

1. 물류 자동화 시장의 특성 76

2. 물류 자동화 시장 현황 77

3. 물류 자동화 시스템 업체 현황 78

4. 사업화 전망 79

5. 사업화 진행 사항 82

제4절 사업비 사용현황 86

1. 비목별 총괄표 86

2. 참여연구원 87

3. 위탁 및 용역과제 88

제5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88

1.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개요 88

2. 제품 사업화 이행계획 89

별첨 92

별첨 1. 자체평가서[내용누락;p.93-96] 92

별첨 2. 자체보안관리진단표 93

부록 97

[부록 1] 시험 결과보고서 97

[부록 2] 시험 성적서 117

[부록 3] 출원번호통지서 125

[부록 4] 딥러닝 기반 싱귤레이터 기술 요구사항 정의서 127

[부록 5] 기술문서(딥러닝 기반 싱귤레이터 기술 기능규격서 141

[부록 6] 딥러닝 환경 구축 문서 151

[뒷표지] 169

표목차 21

(표 2-1) 기술개발 최종 목표 31

(표 2-2) 정량적 목표 항목 33

(표 2-3) 주관기관 개발 내용 및 범위 36

(표 2-4) 참여기관 개발 내용 및 범위 36

(표 3-1) 연구개발 추진 일정 38

(표 3-2) 연구개발 추진실적 50

(표 3-3) 시스템 관련 용어 및 약어 51

(표 3-4) 요구사항 번호 체계 53

(표 3-5) 사용자 일반 요구사항 53

(표 3-6) 시스템 요구사항 54

(표 3-7) 싱귤레이터 주요 기능 55

(표 3-8) 싱귤레이터 기능 정의 55

(표 3-9) 우편물 판단 기능 55

(표 3-10) 우편물 좌표 수신 기능 55

(표 3-11) 독립 제어 기능 56

(표 3-12) 소포 정렬 기능 56

(표 3-13) 소터 연계 기능 56

(표 3-14) 하차 자동화 장치 연계 기능 56

(표 3-15) 소포 감지 기능 56

(표 3-16) 1차 현장검증단 운영일지 70

(표 3-17) 2차 현장검증단 운영일지 73

(표 3-18) 기술개발 추진 체계 75

(표 3-19) 기술개발팀 편성도 76

(표 3-20) 국내 자동화 시장 규모 78

(표 3-21) 개발 대상 기술·제품의 경쟁력 분석 81

(표 3-22) 사업비 비목별 총괄표 86

(표 3-23) 참여연구원 87

(표 3-24) 위탁 및 용역과제 88

(표 3-25) 연구결과물 활용 계획 89

그림목차 22

(그림 1-1) 싱귤레이터 시스템 개념도 25

(그림 1-2)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26

(그림 1-3) 좌우 이동식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27

(그림 1-4) 고속 바코드 인식 기술 27

(그림 1-5) ETRI 소포 구분기 28

(그림 1-6) ETRI 소포 인입 자동화 시스템 28

(그림 1-7) Fives의 ACCORD Singulator 29

(그림 1-8) Beumer의 Automatic Parcel Singulator 29

(그림 1-9) Siemens의 VISICON 30

(그림 2-1) 딥러닝 기반 고속 싱귤레이터 기술 구성도 35

(그림 3-1) 싱귤레이터 시스템 개념도 52

(그림 3-2) 영상데이터 수집 환경 62

(그림 3-3) 이미지 라벨링 생성 예시1 62

(그림 3-4) 이미지 라벨링 생성 예시2 63

(그림 3-5) 고속 싱귤레이터 제어 기술 63

(그림 3-6) 이더켓 오퍼레이션 세팅 64

(그림 3-7) 싱귤레이터 UI 64

(그림 3-8) 딥러닝 기반 영상 처리 기술 65

(그림 3-9) 기존 영상처리 기술과 딥러닝 기술과의 차이 65

(그림 3-10) 물류센터 연계 기술 66

(그림 3-11) 크로스벨트 소포구분기 연계 66

(그림 3-12) 하역장비와의 동기화 67

(그림 3-13) 싱귤레이터와 딥러닝 시스템 및 전체 시스템 구성도 68

(그림 3-14) 자동화 시장 핵심 영향 요소 76

(그림 3-15) 세계 자동화 시장 규모 전망(2017~2026) 77

(그림 3-16) 다이후쿠 매출 및 영업이익 추이 78

(그림 3-17) 다이후쿠의 머트리얼 핸들링 자동화 시스템 79

(그림 3-18) 소포 인입 자동화 기술 79

(그림 3-19) 삼성웰스토리 자동화 시스템 개요 82

(그림 3-20) 삼성웰스토리 자동화 시스템 설계도 83

(그림 3-21) 자동화 시스템 구축 설비 83

(그림 3-22) 자동 분류기 투입부 84

(그림 3-23) 싱귤레이터+로봇 투입부 84

(그림 3-24) Viettel Post 물류센터 현황 85

(그림 3-25) Viettel Post 자동화 시스템 구축 모델 85

(그림 3-26) 제품 사업화 절차 89

(그림 3-27) 자동 투입 설비(Dumping Station) 90

(그림 3-28) Dumping Station Design Concept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