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계획의 개요 18

제1절 계획의 수립 목적 및 범위 19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19

2. 계획의 범위 20

제2절 계획의 기본방침 21

1. 기본 방향 21

2. 빗물이용시설 보급 확대 22

3. 중수도 개발 및 보급 확대 23

4. 하ㆍ폐수 처리수 재이용 수요처 개발 및 보급 확대 23

5. 타 계획과의 연계성 확보 24

제3절 제2단계 물 재이용 관리계획 수립 개요 25

1. 물 이용 전망 25

2. 빗물이용시설 관리계획 26

3. 중수도시설 관리계획 28

4. 하ㆍ폐수처리시설 관리계획 30

5. 물 재이용 관리계획 총 목표량 및 사업비 31

제4절 제1단계 물 재이용 관리계획 실적 평가 32

1. 실적 평가 개요 32

2. 빗물이용시설 설치실적 평가 33

3. 중수도 보급실적 평가 34

4. 하ㆍ폐수 처리수 재이용 실적 평가 34

제2장 기초 조사 36

제1절 자연적 조건에 관한 조사 37

1. 지역의 개황 37

2. 하천 및 수계 현황 42

3. 기상 현황 48

제2절 사회적 특성에 관한 조사 56

1.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 56

2. 하천이용 현황 59

3. 취ㆍ정수시설 현황 62

4. 하수처리시설 현황 63

5. 지하수 현황 66

6. 물 재이용 산업현황 70

7. 토지이용현황 72

제3절 관련 계획에 대한 조사 75

1. 국내 물 재이용 관련 정책 및 계획 75

2. 대구광역시 물 재이용 관련 정책 및 계획 90

3. 해외 물 재이용 현황 99

4. 물 수급 현황 100

제4절 물 이용 전망 114

1. 물 이용 실적 114

2. 인구의 증감 117

3. 장래 급수량 추정 119

제3장 물 재이용 현황 및 목표설정 122

제1절 빗물이용시설 현황 및 목표 123

1. 빗물이용 관련 법률 123

2. 빗물이용시설 현황 128

3. 빗물이용시설 설치 규모 산정 144

4. 빗물이용 가능량 산정 148

5. 개발계획 빗물이용 가능량 산정 159

6. 단계별 빗물이용시설 관리계획 목표량 160

제2절 중수도 현황 및 목표 162

1. 중수도 관련 법률 162

2. 중수도 이용 대상시설 현황 166

3. 중수도 설치 규모 산정 169

4. 중수도 이용가능량 산정 172

5. 중수도 관리계획 목표량 173

제3절 하ㆍ폐수 처리수 재이용 현황 및 목표 175

1. 하ㆍ폐수 처리수 재이용 관련 법률 175

2. 하ㆍ폐수 처리수 재이용 법적 의무대상 검토 178

3. 하ㆍ폐수 처리수 재이용 현황 180

4. 하ㆍ폐수 처리수 재이용 용도 및 수요 검토 185

5. 하ㆍ폐수 처리수 재이용 관리계획 목표량 192

제4절 물 재이용 총 목표량 197

제4장 물 순환 분석 199

제1절 물 순환 분석방법 및 요소 200

1. 물 순환 분석 방법 200

2. 물 순환 분석 요소 207

3. 물수지 분석 방법 207

제2절 물 순환 분석대상 유역 215

1. 현황 215

2. 기상 및 기후 특성 217

제3절 물 순환 분석 결과 219

1. 유역모형 구축 219

2. 유역모형 검보정 결과 221

3. 유역모형 모의 결과 228

4. 물 재이용에 따른 물 순환 변화 229

5. 관련지역 물 순환 분석 결과 231

제5장 물 재이용 사업계획 수립 233

제1절 물 재이용 정책 목표 및 주요 지표 234

1. 정책 비전 및 방향 234

2. 주요 지표 235

제2절 물 재이용시설 설치사업 추진계획 237

1. 빗물이용시설 237

2. 중수도 242

3. 하ㆍ폐수 처리수 247

제6장 물 재이용 사업시행 및 재정계획 252

제1절 소요 사업비 253

1. 소요 사업비 산정 253

2. 사업시행 우선순위 258

제2절 재정계획 260

1. 부문별 재원조달 방안 260

2. 재원조달 계획 262

제3절 민간자본 조달방안 265

1. 민간투자사업의 사업시행방식 265

2. 관련법령 및 지침 266

3. 민간투자사업 추진절차 266

4. 국내 하수처리수 재이용 민간투자 사업계획 269

제7장 물 재이용 교육 및 홍보 270

제1절 교육 및 홍보 현황 271

1. 대구시 교육 및 홍보 현황 271

제2절 국내ㆍ외 교육 및 홍보 사례 273

1. 국내 교육 및 홍보 사례 273

2. 국외 교육 및 홍보 사례 276

제3절 물 재이용 교육 및 홍보 계획 280

1. 물 재이용 교육 및 홍보 방향 280

2. 교육계획 281

3. 홍보계획 283

4. 단계별 실천계획 수립 285

제8장 물 재이용 관리계획 추진성과평가 287

1. 물 재이용 관리계획의 평가체계 및 기본방향 288

2. 물 재이용 관리계획의 관리성과 평가계획 289

3. 물 재이용 관리 성과 평가 체계 293

표목차

〈표 1-1〉 장래 용수수요량 25

〈표 1-2〉 장래 대구광역시 용수 수급 26

〈표 1-3〉 단계별 빗물이용시설 설치 목표량 27

〈표 1-4〉 단계별 빗물이용 가능량 28

〈표 1-5〉 중수도 시설 설치 목표 28

〈표 1-6〉 중수도 시설 관리계획 29

〈표 1-7〉 하ㆍ폐수 처리시설 재이용수 관리계획 30

〈표 1-8〉 물 재이용 관리계획 총괄표 31

〈표 1-9〉 제1단계 물 재이용 총 목표량 32

〈표 1-10〉 빗물이용시설 목표량 및 실적 평가 33

〈표 1-11〉 중수도시설 목표량 및 실적 평가 34

〈표 1-12〉 하ㆍ폐수 처리수 재이용 목표량 및 실적 평가 35

〈표 2-1〉 대구광역시 연혁1 38

〈표 2-2〉 대구광역시 연혁2 38

〈표 2-3〉 지리적 위치 39

〈표 2-4〉 주요 도시간 거리 40

〈표 2-5〉 행정구역 면적 및 현황 40

〈표 2-6〉 대구광역시 표고 분석 41

〈표 2-7〉 대구광역시 경사 분석 41

〈표 2-8〉 하천별 길이 및 구간 44

〈표 2-9〉 관측소별 유량 현황 45

〈표 2-10〉 관측소별 수위 현황 45

〈표 2-11〉 대구권 낙동강의 수질측정망 현황 46

〈표 2-12〉 대구권 낙동강의 하천수 수질 현황 47

〈표 2-13〉 대구권 호소수 수질측정망 현황 47

〈표 2-14〉 대구권 호소수 수질 현황 48

〈표 2-15〉 대구권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현황 48

〈표 2-16〉 대구기상대 지상기상관측지점 및 환경 49

〈표 2-17〉 연도별 기온 현황 49

〈표 2-18〉 과거 20년간 월평균 기온 49

〈표 2-19〉 과거 20년간 월별 강수량 51

〈표 2-20〉 월평균 풍속(2011~2020) 52

〈표 2-21〉 월평균 상대습도(2011~2020) 52

〈표 2-22〉 대구시 과거 20년간 침수피해 현황 54

〈표 2-23〉 대구시 수해상습지 현황 55

〈표 2-24〉 행정구역 현황 56

〈표 2-25〉 연도별 인구 추이 57

〈표 2-26〉 1인 가구 변화 추이 58

〈표 2-27〉 구ㆍ군별 인구 현황 58

〈표 2-28〉 생활용수 하천이수 현황 59

〈표 2-29〉 공업용수ㆍ농업용수 하천 이수 현황 60

〈표 2-30〉 하수처리시설 방류하천 61

〈표 2-31〉 수원지 현황 62

〈표 2-32〉 취수시설 현황 62

〈표 2-33〉 전국 취수장 가동률 현황 62

〈표 2-34〉 대구광역시 취수장 가동률 현황 63

〈표 2-35〉 정수시설 현황 63

〈표 2-36〉 대구시 공공하수처리장 현황 64

〈표 2-37〉 행정구역별 유출지하수 이용계획 67

〈표 2-38〉 역사별 평균 지하수 유입량 및 이용량 68

〈표 2-39〉 유출지하수 이용량 및 이용률 69

〈표 2-40〉 시설물별ㆍ용도별 유출지하수 이용현황 69

〈표 2-41〉 물 재이용 관련 산업 분류 현황 70

〈표 2-42〉 물 재이용 관련 산업 세부분류 현황 70

〈표 2-43〉 규모별 물 재이용관련 산업 세부분류 현황 71

〈표 2-44〉 지목별 이용 현황 72

〈표 2-45〉 용도별 이용 현황 73

〈표 2-46〉 개발가능지 분석 기준 73

〈표 2-47〉 개발가능지 분석 74

〈표 2-48〉 2020년 물 수요 전망(연간) 80

〈표 2-49〉 수자원 장기계획의 목표 및 세부 추진전략 80

〈표 2-50〉 장래인구 추정 82

〈표 2-51〉 유수율 전망 82

〈표 2-52〉 급수량 원단위 전망 82

〈표 2-53〉 일최대 상수도 수요 전망 83

〈표 2-54〉 2025년 용수수급 전망 83

〈표 2-55〉 대표 정책 지표 84

〈표 2-56〉 지자체별 규모별 수도요금 현실화 목표 84

〈표 2-57〉 2025 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 용수수요량 산정결과 87

〈표 2-58〉 2025 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 부분별 주요 내용 및 추진계획 87

〈표 2-59〉 단계별 물 재이용 계획량 89

〈표 2-60〉 빗물이용시설 계획량(목표연도 2030년) 89

〈표 2-61〉 중수도 계획량(목표연도 2030년) 89

〈표 2-62〉 하수처리수 재이용 계획량(목표연도 2030년) 90

〈표 2-63〉 인구구조 전망 91

〈표 2-64〉 생활환경지표 전망 92

〈표 2-65〉 중심지체계와 광역권 연계 92

〈표 2-66〉 도시발전축 계획 93

〈표 2-67〉 자연보전축 계획 93

〈표 2-68〉 대구광역시 계획급수인구 및 수요량 95

〈표 2-69〉 대구광역시 상수도 장래수요량 및 과부족량 96

〈표 2-70〉 단계별 목표연도 97

〈표 2-71〉 기본계획 주요변경내용 1(2001년 대비) 98

〈표 2-72〉 기본계획 주요변경내용 2(2001년 대비) 98

〈표 2-73〉 국가별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비교 99

〈표 2-74〉 재이용 촉진을 위한 주요국가 정책 100

〈표 2-75〉 대구광역시 상수도 급수현황 101

〈표 2-76〉 구ㆍ군별 용수사용 현황(2019년) 102

〈표 2-77〉 구ㆍ군별 공업용수 사용 현황 103

〈표 2-78〉 연도별 간이ㆍ전용 상수도현황 104

〈표 2-79〉 구ㆍ군별 지하수 이용량 현황(2019년) 105

〈표 2-80〉 연도별 유수율 및 누수율 현황 106

〈표 2-81〉 인구 규모별 첨두 부하율 107

〈표 2-82〉 대구광역시 첨두 부하율 108

〈표 2-83〉 대구광역시 취수시설 현황(2019년) 108

〈표 2-84〉 대구광역시 공업용수 정수시설 현황(2019년) 109

〈표 2-85〉 대구광역시 연도별 관로시설 현황 110

〈표 2-86〉 전국 상수도관의 GIS 구축 현황(2019년) 111

〈표 2-87〉 대구광역시 상수도관의 GIS 구축 현황(2019년) 113

〈표 2-88〉 상수도 사용실적 현황 114

〈표 2-89〉 상수도 용도별 소비 현황 115

〈표 2-90〉 용도별 지하수 시설수 및 이용량 현황 116

〈표 2-91〉 자연적 인구 증감 추정 117

〈표 2-92〉 사회적 인구 증감 추정 118

〈표 2-93〉 장래계획인구 전망 118

〈표 2-94〉 구ㆍ군별 장래계획인구 118

〈표 2-95〉 장래 생활용수 수요량 119

〈표 2-96〉 장래 공업용수 수요량 120

〈표 2-97〉 장래 용수수요량 총괄 120

〈표 2-98〉 대구광역시 용수 수급 전망 121

〈표 3-1〉 물 재이용법의 빗물이용시설 주요 내용 123

〈표 3-2〉 물 재이용법 시행령의 빗물이용시설 주요 내용 124

〈표 3-3〉 물 재이용법 시행규칙의 빗물이용시설 주요 내용 125

〈표 3-4〉 대구광역시 물 재이용 조례의 주요 내용 126

〈표 3-5〉 자연재해대책법의 빗물이용시설 관련 내용 126

〈표 3-6〉 빗물이용시설의 시기별 법적의무 대상 구분 128

〈표 3-7〉 빗물이용대상시설 선정기준 (설치대상(건축물대장상), 개발계획) 128

〈표 3-8〉 빗물이용시설 법적 의무 시설 132

〈표 3-9〉 빗물이용시설 법적 비의무 시설 133

〈표 3-10〉 연도별 빗물이용시설 저류조 설치용량 및 사용량 139

〈표 3-11〉 특ㆍ광역시 빗물이용시설 시설 이용 현황 140

〈표 3-12〉 달성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의 시설현황 141

〈표 3-13〉 서대구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의 시설현황 141

〈표 3-14〉 달성2차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의 시설현황 142

〈표 3-15〉 염색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의 시설현황 143

〈표 3-16〉 성서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의 시설현황 143

〈표 3-17〉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의무시설 현황 145

〈표 3-18〉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의무시설 설치규모 산정 146

〈표 3-19〉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비의무시설 설치규모 산정 146

〈표 3-20〉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구ㆍ군별 빗물이용시설 설치규모 산정 146

〈표 3-21〉 대구광역시 평균강우량 및 평균강우발생횟수 149

〈표 3-22〉 대구광역시 연도별 평균강우량 150

〈표 3-23〉 대구광역시 연도별 유효강우량 151

〈표 3-24〉 대구광역시 연도별 평균강우횟수 152

〈표 3-25〉 대구광역시 연도별 유효강우횟수 153

〈표 3-26〉 대구광역시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한 월별 저장율 154

〈표 3-27〉 토지이용도별 기초유출계수의 표준값 155

〈표 3-28〉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의무시설 빗물이용가능량 산정 155

〈표 3-29〉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비의무시설 빗물이용가능량 산정 156

〈표 3-30〉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구ㆍ군별 빗물이용가능량 산정 156

〈표 3-31〉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대상건축물 보급률별 빗물이용가능량 158

〈표 3-32〉 개발사업 대상 구ㆍ군별 빗물이용가능량 산정 159

〈표 3-33〉 개발사업 대상 보급률별 빗물이용가능량 159

〈표 3-34〉 단계별 빗물이용시설 설치 목표량 160

〈표 3-35〉 단계별 빗물이용 가능량 161

〈표 3-36〉 물 재이용법 중수도 주요 내용 162

〈표 3-37〉 물 재이용법 시행령 중수도 주요 내용 163

〈표 3-38〉 물 재이용법 시행규칙의 주요 내용 163

〈표 3-39〉 중수도의 용도별 수질기준 164

〈표 3-40〉 대구광역시 물 재이용 조례의 주요 내용 165

〈표 3-41〉 대구광역시 수도급수 조례 166

〈표 3-42〉 대구광역시 하수도 사용 조례 166

〈표 3-43〉 중수도의 시기별 법적 의무 대상 167

〈표 3-44〉 중수도 시설 선정 기준 167

〈표 3-45〉 중수도 법적 시설 운영현황 168

〈표 3-46〉 중수도 비법적 시설 운영현황 168

〈표 3-47〉 특ㆍ광역시 중수도 이용률 169

〈표 3-48〉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중수도 법적시설 대상 현황 170

〈표 3-49〉 개발사업 대상 중수도 설치 규모 산정 170

〈표 3-50〉 대구광역시 중수도 설치대상 공장시설 172

〈표 3-51〉 중수도 이용량을 고려한 잠재적 이용 가능량 172

〈표 3-52〉 중수도 보급률을 고려한 잠재적 이용 가능량 173

〈표 3-53〉 특ㆍ광역시 중수도 계획량(목표연도 2030년) 173

〈표 3-54〉 단계별 중수도 설치 목표량 174

〈표 3-55〉 단계별 중수도 이용 목표량 174

〈표 3-56〉 물 재이용법의 하ㆍ폐수 처리수 재이용 주요 내용 175

〈표 3-57〉 물 재이용법 시행령의 주요 내용 176

〈표 3-58〉 하ㆍ폐수 처리수 재처리수 및 온배수 재처리수의 용도별 수질기준 176

〈표 3-59〉 하수처리수재이용의 대표적 용도 및 제한조건 177

〈표 3-60〉 대구광역시 공공하수처리시설 하수재이용 의무대상 여부 179

〈표 3-61〉 대구광역시 공공폐수처리시설 폐수재이용 의무대상 여부 180

〈표 3-62〉 대구시 공공하수처리시설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181

〈표 3-63〉 하ㆍ폐수처리수 재처리수의 용도별 수질기준 182

〈표 3-64〉 하수처리장별 방류수 (운영) 수질 현황 183

〈표 3-65〉 대구시 공공폐수처리시설 폐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184

〈표 3-66〉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공급 가능 지역 및 용도 검토 185

〈표 3-67〉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공급 가능 산업단지 검토 187

〈표 3-68〉 대구시 관내 하천 주변 처리시설 현황 188

〈표 3-69〉 대구광역시 도로청소용수 사용량 및 비율 189

〈표 3-70〉 물 순환시스템 대상원수 현황 189

〈표 3-71〉 물 순환시스템 용수 생산량 190

〈표 3-72〉 물 순환시설 공급관로 계획 191

〈표 3-73〉 재이용량 목표 달성을 위한 하수처리장별 재이용 필요량 192

〈표 3-74〉 처리수 재이용수 공급 계획 193

〈표 3-75〉 통합 지하화 하수처리시설 재이용수 이용량 산정 194

〈표 3-76〉 법적 의무대상 폐수처리시설 재이용량 195

〈표 3-77〉 하ㆍ폐수 처리시설 재이용수 관리계획 목표 196

〈표 3-78〉 물 재이용 총 목표량 197

〈표 4-1〉 물 순환 해석모형의 특성 비교 206

〈표 4-2〉 건축물, 지표 및 표층토양, 대수층 물 순환계에 대한 물수지 207

〈표 4-3〉 대구기상대 월별 평년값 변화 218

〈표 4-4〉 기상청 현황 220

〈표 4-5〉 SWAT-CUP에서의 유출 매개변수 223

〈표 4-6〉 모형의 보검증시 모형 효율 범위와 신뢰구간(Donigan, 2000) 223

〈표 4-7〉 수위관측 현황 225

〈표 4-8〉 유량 보정 결과 226

〈표 4-9〉 유량 검증 결과 228

〈표 4-10〉 대상유역 유출량 229

〈표 5-1〉 물 재이용 총 목표량 236

〈표 5-2〉 빗물이용시설 추진 계획 241

〈표 5-3〉 목표 단계별 빗물이용 관리목표량 242

〈표 5-4〉 중수도 시설 추진 계획 246

〈표 5-5〉 목표 단계별 중수도 이용 관리목표량 247

〈표 5-6〉 하ㆍ폐수 시설 추진 계획 250

〈표 5-7〉 목표 단계별 하ㆍ폐수 이용 관리목표량 251

〈표 6-1〉 빗물이용시설 용량별 투자비 및 가중평균값 253

〈표 6-2〉 중수도 시설 용량별 투자비 및 가중평균값 254

〈표 6-3〉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하천유지용수) 용량별 투자비 및 가중평균값 254

〈표 6-4〉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농업용수) 용량별 투자비 및 가중평균값 255

〈표 6-5〉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공업용수) 용량별 투자비 및 가중평균값 255

〈표 6-6〉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생활용수ㆍ기타 도시재이용수) 용량별 투자비 및 가중평균값 255

〈표 6-7〉 하수관로정비사업 ㎥당 표준하수관로 시설비(강관 기준) 256

〈표 6-8〉 시설부대경비 요율 256

〈표 6-9〉 소요사업비 총괄 257

〈표 6-10〉 단계별 소요사업비 총괄 257

〈표 6-11〉 물 재이용 사업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배점기준 258

〈표 6-12〉 하수처리수 사업우선순위 선정 259

〈표 6-13〉 2023년도 하수도사업의 국고 보조율 261

〈표 6-14〉 물 재이용사업 재원조달 계획 262

〈표 6-15〉 빗물이용시설 재원조달 계획 263

〈표 6-16〉 중수도시설 재원조달 계획 263

〈표 6-17〉 하ㆍ폐수처리수 재이용 재원조달 계획 264

〈표 6-18〉 교육ㆍ홍보 재원조달 계획 264

〈표 6-19〉 하수처리수 재이용 민간투자 사업계획 대상 269

〈표 7-1〉 물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실천계획 286

〈표 8-1〉 물 재이용 성과 평가 항목 구성 290

〈표 8-2〉 대구시 물 재이용 관리 성과 평가기준 체계 294

그림목차

〈그림 1-1〉 물 재이용 관리계획 공간적 범위 20

〈그림 1-2〉 제1단계 물 재이용 총 목표량 33

〈그림 2-1〉 대구광역시 표고분석도 41

〈그림 2-2〉 대구광역시 경사 분석도 42

〈그림 2-3〉 대구광역시 유역현황도 43

〈그림 2-4〉 연도별 전국 가뭄 피해 건수 53

〈그림 2-5〉 연도별 전국 가뭄 피해 인구 53

〈그림 2-6〉 공공하수처리시설 위치도 64

〈그림 2-7〉 지하수 이용량 및 개소수 66

〈그림 2-8〉 개발가능지 분석도 74

〈그림 2-9〉 제5차 국토종합계획의 비전과 목표 75

〈그림 2-10〉 성별ㆍ연령별 인구구조 91

〈그림 2-11〉 대구광역시 상수도 비전 94

〈그림 2-12〉 대구광역시 상수도 목표 및 세부전략 95

〈그림 2-13〉 생활용수 용도별 사용수량 비율(2019년) 102

〈그림 2-14〉 용도별 지하수이용량 비율 105

〈그림 2-15〉 구ㆍ군별 지하수이용량 비율 105

〈그림 2-16〉 연도별 유수율 및 누수율 변화 추이 107

〈그림 2-17〉 대구광역시 용도별 관로연장 비율(2019년) 110

〈그림 2-18〉 대구광역시 매수년수별 관로현황(2019년) 111

〈그림 2-19〉 대구광역시 배수관망 형태 113

〈그림 2-20〉 대구시 상수도보급률 추정 116

〈그림 3-1〉 빗물이용 의무시설 연도별 설치 개수 및 용량 131

〈그림 3-2〉 빗물이용 비의무시설 연도별 설치 개수 및 용량 133

〈그림 3-3〉 대구광역시 빗물이용시설 저류조 용량 및 연간사용량 140

〈그림 3-4〉 달성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141

〈그림 3-5〉 서대구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142

〈그림 3-6〉 달성2차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142

〈그림 3-7〉 염색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143

〈그림 3-8〉 성서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144

〈그림 3-9〉 5㎜ 초과 유효강우량 및 유효강우횟수 149

〈그림 3-10〉 공공하수처리시설별 재이용률 181

〈그림 3-11〉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재이용 현황 및 추가 공급지역 검토(안) 186

〈그림 3-12〉 물 순환시설 대상부지 위치도 191

〈그림 3-13〉 물 순환시스템 공급관로 노선도 192

〈그림 3-14〉 서대구 통합 지하화 하수처리시설 조감도 194

〈그림 3-15〉 물 재이용 총 목표량 198

〈그림 4-1〉 SWAT의 소유역 내 물 순환 개념도 201

〈그림 4-2〉 SWMM 유출모의 개념도 202

〈그림 4-3〉 WEP 모형의 수직구조 개념도 204

〈그림 4-4〉 HSPF 모의 특성 205

〈그림 4-5〉 대상유역 구분도 215

〈그림 4-6〉 대구광역시 하천 물수지 모식도 216

〈그림 4-7〉 대상유역 토지이용현황도 217

〈그림 4-8〉 연평균 기온 및 강우량 추세 218

〈그림 4-9〉 모형구축을 위한 자료 현황도 220

〈그림 4-10〉 SWAT-CUP 모의 흐름도(Abbaspour, 2008) 222

〈그림 4-11〉 SUFI-2 알고리즘 흐름도(Abbaspour, 2008) 224

〈그림 4-12〉 SWAT-CUP 매개변수 설정 224

〈그림 4-13〉 유량 관측 지점 225

〈그림 4-14〉 모형의 보정 결과 227

〈그림 4-15〉 단계별 물 순환 변화 230

〈그림 5-1〉 물 재이용 정책 비전 및 목표 235

〈그림 5-2〉 빗물이용시설 관리계획 추진 방향 237

〈그림 5-3〉 목표 단계별 빗물이용 관리목표량 242

〈그림 5-4〉 중수도 관리계획 추진 방향 243

〈그림 5-5〉 목표 단계별 중수도 관리목표량 246

〈그림 5-6〉 하ㆍ폐수 처리수 관리계획 추진 방향 248

〈그림 5-7〉 목표 단계별 하ㆍ폐수 처리수 관리목표량 251

〈그림 6-1〉 목표 단계별 하ㆍ폐수 처리수 관리목표량 261

〈그림 6-2〉 정부고시사업 추진절차 267

〈그림 6-3〉 민간제안사업 추진절차 268

〈그림 7-1〉 화성시 에코센터 빗물저금통 273

〈그림 7-2〉 찾아가는 수원이 환경교실 홍보 포스터 275

〈그림 7-3〉 서울시 물 순환 시민문화제 홍보 포스터 276

〈그림 8-1〉 대구시 녹색환경국 조직 현황 295

〈그림 8-2〉 추진성과 및 의견수렴 절차 296

이용현황보기

(제2단계) 대구광역시 물 재이용 관리계획 : 최종보고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95520 628.11 -2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95521 628.11 -2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