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一 성령 취객(圣灵的醉客)

노인의 마음(老人的心思) 20
*곡 호수(*戈赫湖水) 21
어머님 쉰 목소리(母亲沙哑的声音) 22
연놀이(放风筝) 23
청둥오리(野鸭子) 24
어머님이 오신다(母亲来了) 26
타향살이(异乡生活) 27
성령 취객(圣灵的醉客) 28
아내 모습(妻子的模样) 29
사랑(爱情) 30
마지막 잎새(最后) 31
고난(痛苦) 32
나도 포식자(我也是捕食者) 33
선거와 천국 백성(选举与天堂百姓) 34
가난(贫困) 35

二 돌아가리(回首)

갈대 인생(芦苇人生) 38
어머님 떠나신 밤(母亲离开的夜) 39
그리운 고향(思念的故乡) 40
산불 난리(不灭的山火) 41
소망(心愿) 42
돌아가리(回首) 44
가을 숲(秋日森林) 45
호랑이 해(虎年) 46
어머님의 타는 음성(母亲的声音) 48
천국 길(天国的路) 49
가을 향(秋香) 50
첫눈(初雪) 52
낮달 같은 사람(充满光亮的人) 53
마음속의 태양(心中的太阳) 54
코로나(新型冠状病毒肺炎) 55

三 나무도 눈치가(看眼色的树)

인생살이(人生) 58
은행나무(银杏树) 59
소풍 가던 날(郊游的日子) 60
삭제(删除) 61
어머님 사랑(母亲的爱) 62
나무도 눈치가(看眼色的树) 63
사랑의 십자가(爱的十字架) 64
네 민낯(素颜的你) 66
그 눈길(雪路) 67
시조인(时调人) 68
고향 맛(故乡的味道) 69
돌무덤(石墓) 70
짝 잃은 두루미(失去伴侣的丹顶鹤) 72
기분 좋은 날(快乐的一天) 74
밀린 짐(堆积的行李) 75

四 품팔이 남매(卖工兄妹)

자연인(自然人) 78
품팔이 남매(卖工兄妹) 80
헛걸음(空跑) 84
시조를 준 여인(赋予时调的女人) 85
시조를 준 여인 2(赋予时调的女人 2) 86
본향의 만남(故土重逢) 87
불면증(失眠症) 88
이별 후(离别后) 90
눈 옷(雪衣) 91
기쁜 날(高兴的日子) 92
새벽 기도 길(凌晨祈祷的路) 93
너와 나(你和我) 94
그 사람(那人) 98
구원(救援) 100
남북통일(南北统一) 102

五 울사랑(我们的爱)

발자국(足迹) 104
봄소식(春的消息) 105
살아있어 감사하다(感恩, 活着) 106
고향 맛(故?的味道) 108
꽃 바람(花信风) 109
불효자(不孝子) 110
봄 향기(春的香气) 112
젊은 날(年轻时节) 113
봄은 온다네(春来了) 114
엄마 얼굴(母亲的脸庞) 115
새벽 기도(凌晨祈祷) 116
나의 고백(我的告白) 117
울 사랑(我们的爱) 118
봄이 오는 길목(春来的路口) 122
가버린 사람(离开的人) 124

六 손주들(孙子们)

그리운 고향(思念的故乡) 126
꿈속의 어머님(梦中的母亲) 127
세마포가 보인다(看见细麻布) 128
싱숭생숭(忐忑不安) 129
그림자(影子) 130
요양 병원(疗养院) 131
회개(悔改) 132
응급차(救护车) 133
손주들(孙子们) 134
내 고통(我的痛) 135
무궁화야(木槿花) 136
사람의 마음(人心) 137
봄소식(春的消息) 138
저무는 가을(深秋) 139
내 고향(我的故乡) 140

이용현황보기

사선(死線)에서 부른 노래 : 포도원의 품꾼 4 : 민사무엘 시조집. 2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97060 811.135 -23-49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97061 811.135 -23-49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파독광부로 젊음을 바치고, 순복음 사랑의 교회 원로목사로 시무하는 민사무엘 시조시인이 네 번째 시조집 『사선(死線)에서 부른 노래 2』를 오늘의문학사에서 발간하였습니다.

민사무엘 시조시인은 독일에서 한국에 정착하면서 1시조집 ‘포도원의 품꾼’ 2시조집 ‘포도원의 품꾼 2’ 다음에 ‘사선(死線)에서 부른 노래’를 발간한 바 있습니다. 이어 ‘오늘의문학 특선시조 95호’로 발간된 이 시조집에는 한국어와 중국어 대역본으로 발간되었습니다.

그의 시조집마다 ‘서시’로 「파독인」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 숨결 깊은 골에 검은 물이 흐른다
산처럼 쌓여있는 탄 더미 파 헤치며
내일의 행복을 위해 금화를 캐던 사람

오빠야 형제들아 부탁해 부모님을
3년을 약속하고 울면서 떠난 누이
백의의 천사가 되어 애국 혼을 심었다

탄 속에 묻힌 형제 영혼도 검어질라
이국 땅 고이 잠든 시든 꽃 누나 얼굴
달 밝은 호수에 떠서 고향 하늘 기린다.

= 서평
#1
우리의 시가 전통은 자연 서정 편향성을 보인다. ‘자연 속의 자아’, 자연과 자아가 일체화된 세계관을 주조로 한다. 민사무엘 시조에서도 그러한 경향을 보인다.

고요가 숨을 쉬는 물안개 아침 호수
찾아든 청둥오리 젖은 땀이 싫어선지
흐르는 시냇물 찾아 씻고 오라 ㅤㅉㅗㅈ고 있다 - 〈곡 호수〉

초장에서 자연 현장이 제시되고, 중장에 역동적인 활물(活物)이 기척을 한다. 종장에서는 자연 배경이 주체로 부각되며 시상(詩想)이 전환의 계기를 이룬다.

#2
인간은 관계적 존재다.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회, 인간과 절대 진리의 관계가 인간의 존재 의의를 자리매김한다.

여덟 폭 병풍 뒤로 술래 없이 숨으셨다
하늘 끝 산을 향해 불러도 답이 없네
멧바람 해거름 좇아 어머님이 오신다
- 〈어머님이 오신다〉

유명을 달리하신 어머님을 그리워하는 ‘사모곡’이다. ‘하늘 끝 산을 향해’ 불러도 대답 없으신, 기막히게 그리운 이름이 ‘어머니’다. 일찍이 우리가 김소월의 〈초혼(招魂)〉에서 접하였던 애절한 어조를, 시인은 애써 눅이고 있다.

#3
자연, 사람, 고향, 사회 · 역사와의 관계 표상을 조명한 시의 화자는 이제 자아의 정체성을 확신하기에 이른다.

나이가 더할수록 주머니는 얇아져도
고운 말 한마디에 모든 걸 주고 싶다
이 한 몸 저 단풍 같은 소멸하는 불이다
- 〈노인의 마음〉

나이가 드는 것은 버리는 것임을 체현(體現)코자하는 자아상이 역연하다. 버린다 함은 모든 것을 주는 것이다. 탐욕의 무화(無化)요 사랑의 충일경(充溢境)이다. ‘단풍 같은 소멸’이 ‘역설적 충만의 자아상’을 표상한다. 초월적 자아상의 절정이다.
― 김봉군 문학평론가의 ‘평설’ 중에서 발췌하여 인용.